키워드, 작가 이름 검색하기
함께 성장하는 요즘IT인의 실무 라이브러리
어도비의 여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방대한 도구와 비교해, 피그마에서 제공하는 도구가 너무 적다고 느끼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피그마의 강점은 디자인 커뮤니티의 집단적 힘을 활용하는 데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디자이너가 각자의 요구 사항에 맞는 플러그인을 자유롭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그마는 혁신적인 생태계를 구축했습니다.디자이너라면 한 번쯤 사용해 볼 만한 AI 기반 플러그인 10가지를 엄선하여 소개합니다.
요즘IT의 번역글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아마 웹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하는 것에 관심이 있을 것이다. 웹사이트 로딩 시간을 줄이고, 물 흐르듯 자연스러운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것은 비즈니스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웹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빠질 수 없는 개념이 바로 캐싱이다. 이번 글에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알아야 할 캐싱의 종류와 개념을 살펴보려고 한다.
데브오웬
저는 뷰티 플랫폼에서 플랫폼에 정보(혹은 제품)를 공급하는 파트너사를 위한 서비스를 기획하는 PO(Product Owner)입니다. 서비스의 본래 목적은 고객에게 양질의 정보와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해야 하는 일도 있습니다. 셀러에 필요한 툴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듣는 일이죠. 이 글에서는 이렇게 셀러와 고객이라는 두 종류의 사용자를 연결하는 플랫폼 프로덕트에서 확인해야 할 지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서가희
우리는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일하는 데 사용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어떤가요? 과연 나는 들이는 시간만큼 결과물을 내고 있을까요? 혹시 본인이 다음 내용 중 해당하는 게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출근은 일찍 했는데 뭐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다, 오늘 온종일 일했는데 뭘 했는지 모르겠다, 일하는데 사소한 것을 빼먹어서 수정사항이 생긴다, 일정을 못 지켜서 야근하는 날이 자주 있다. 고개를 한 번이라도 끄덕이셨나요? 그렇다면 오늘 제가 공유할 내용이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개발자H
성장을 위한 IT 콘텐츠,
동료들과 함께 읽고 싶다면?
요즘IT 슬랙봇으로 간편하게 받아보세요!
올해 2월과 3월에 썼던 두 편의 설계 관련 글이 계기가 되어서 개인 브런치에 틈이 날 때마다 생각을 기록하기 시작했습니다. 19편의 기록을 남기면서 설계에 대한 생각을 꾸준히 하는 중에 마침 동료의 모델링 과정을 도우면서 새롭게 느끼는 점을 공유합니다.
안영회
기술 말고 개발자로 살아가는 데, 시니어를 넘어 테크 리더로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될 원칙을 알려주는 선배, 9가지 개발자 원칙을 제시한 마켓컬리 • 레몬트리 • 카카오 • 코드스쿼드 • 무신사 • 몰로코 • 데이블 • 인프런 • 패스트캠퍼스의 테크 리더 9명이 생애 가장 도움이 된 30가지 도서를 소개합니다.
골든래빗
글로벌 연구 조사 기업 ‘가트너(Gartner)’에서는 매년 주요 전략적 기술 트렌드를 발표하여, 가까운 미래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올해도 예외 없이 지난 10월 17일, 2024년 트렌드를 예측해 발표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가트너가 주목하는 2024년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어렵거나 새로운 용어가 많아, 각 키워드가 의미하는 바를 쉽게 풀어서 담아봤습니다.
이재훈
애플이 iOS 17.2 버전에서 아이폰에 일기(Journal)라는 앱을 출시했습니다. 이 17.2 버전의 릴리즈는 23년 12월쯤으로 예정되어 있지만, 개인적으로 애플 베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미리 사용해 봤습니다. 매일까진 아니어도 정기적으로 글을 쓰고 있기 때문에, 애플에서 만든 일기 앱은 기존의 앱들과 어떤 다른 점이 있을까 궁금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애플 일기 앱의 사용 방법과 특징, 애플이 일기 앱을 만들게 된 목적을 예측해 보고자 합니다.
애옹킴
프론트엔드에 관심이 있다면 기본적으로 HTML, CSS, JAVASCRIPT 등의 용어는 들어보셨을 텐데요. 비전공자&입문자라면 뭐부터 공부해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체적인 프론트엔드 로드맵을 살펴보고, 웹 개발자로서의 성장 과정을 조망해 보겠습니다.
길벗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이 직업의 정수인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는 효과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새로운 언어, 프레임워크, 도구를 빠르게 익힐 수 있다면 다른 개발자보다 획기적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죠. 이 글에서는 제가 학습하며 배운 것을 공유하고, 새로운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팀빌딩을 하면서 고민했던 내용과 FINDA 현금그로스 PG 개발문화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FINDA 내에는 다양한 PT가 있고, 여러 PT가 하나의 PG로 모여 일합니다. 다수의 인원과 다양한 직군이 만나 일하는 방식에서 더 일 잘하는 개발문화에 대한 주제가 필요해 보여서 해당 주제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사례 중심으로 개발문화란 무엇이고, FINDA 현금그로스 PG 자산/신용관리 PT의 개발문화는 어떻게 변화가 되었는지 알아볼게요!
핀다
많은 기획자(PM/PO)가 ‘데이터 분석’ 역량에 대해 고민할 것 같습니다. 실제 현업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위해 기획자가 봐야 할 지표도 다양합니다. 그러나 자주 사용하는 지표가 아닌 이상, 모든 지표를 기억하긴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현업에서 기획자가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 지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평소 제가 자주 사용하는 지표, 그리고 이 지표들의 목적과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Creative Owner
B2B SaaS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시작하면서 KOS팀은 인터페이스 정의 언어(이하 IDL, Interface Definition Language)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IDL은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명세 언어를 말하고, 특정한 언어에 국한되지 않는 방법으로 인터페이스를 정의하여 애플리케이션들의 언어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인터페이스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합니다.
강남언니
지금 회원가입하고, 요즘IT가 PICK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