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A 스타트업, 100억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성공” 이런 기사 제목 한 번쯤은 본 적 있으실 텐데요. 투자 유치 소식에서 시드, 시리즈 A, B, C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번 글에서는 스타트업의 핵심 평가 지표로 불리는 투자 라운드 개념과 더불어 창업자와 VC 입장에서 투자 목적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Creative Owner
쿡앱스 팀이 게임잼에서 만드는 게임은 ‘완벽한 게임’이 아니에요. 게임잼은 ‘작고 빠르게 시도’하는 행사거든요. 시장에 통하는 게임을 만들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작은 형태로 만들어 빠르게 시장 검증을 시도하는 것. 이것이 게임잼에서 쿡앱스 팀이 추구하는 목적이에요.
쿡앱스 기술 블로그
슬랙은 지난 8월,UI 리뉴얼을 발표했다. 그동안 버튼 위치가 바뀌거나 UI 디자인이 조정되는 업데이트가 있긴 했다. 그러나 이번처럼 크게 갈아엎는 것은 처음이다. 새 UI 업데이트는 공지가 올라온 8월부터 이미 시작했지만, 모두에게 배포된 것은 아니다. 일단 새롭게 슬랙에 가입하는 팀부터 적용되며, 향후 몇 달에 걸쳐 적용 대상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맨오브피스
당신이 SI 직무를 맡고 있다면 회사의 홈페이지를 보며 조금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도 있다. 많은 IT 서비스 기업이 홈페이지에서 SI를 숨기고 있기 때문이다. 공시 보고서에는 멀쩡히 존재하는 SI 사업이 홈페이지에서는 마치 치부처럼 감춰진다. 대신에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울리는 ‘DX·DT’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브루캐리
스크랩
기존에는 Node.js와 익스프레스를 사용해 웹 서버를 구축하고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익스프레스를 사용해서 서버를 구축할 때, 먼저 고민했던 부분이 무엇이었나요? 바로 디렉터리 구조입니다. 별거 아닌 것 같지만 구조에 따라서 아키텍처가 변경되므로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NestJS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웹 서버 프레임워크입니다. NestJS는 서버 개발 시의 아키텍처를 누구든 비슷하게 설계하도록 아키텍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골든래빗
저는 미국에서 프리랜서 개발자로 일하면서 한국에서 일할 때와 마찬가지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항상 느끼고 있습니다. 잘못된 커뮤니케이션은 프로젝트 납기를 놓치거나 고객의 신뢰를 잃게 만듭니다. 이번 글은 제가 미국에서 프리랜서 개발자로 일하며 겪은 커뮤니케이션 사례를 소개하고, 클라이언트와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과 툴, 더불어 알아둘만한 몇 가지 영어 표현을 정리해 봤습니다.
곰씨네 IT 블로그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는 앱 디자인의 놀라운 변화를 목격했습니다. 한때 인기를 끌었던 밝고 대담한 미학은 미니멀하고 세련된 스타일로 대체되었습니다. 이처럼 화려함에서 절제된 디자인으로의 변화는 충분히 흥미로웠는데요. 2023년 트렌드는 더 흥미로운 변화를 예정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2023년 모바일 앱 디자인 트렌드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요즘IT의 번역글
간혹 학습을 많이 하는데도 불구하고 성장하지 못하고 제자리걸음인 사람이 있다. 나는 그 사람과 대화하면서 피드백 없이 혼자서만 학습을 오래, 그리고 많이했음을 알 수 있었다. 주로 책이나 인터넷 강의로 혼자 학습했지만 실무 경험은 거의 없었다. 어떻게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혼자’보다는 ‘함께’해야 한다. 이제부터 그 이유를 풀어보겠다.
유영모
이번 글에서는 조직의 이야기를 하려 합니다. 조직에 변화를 만드는 것은 개인이 변화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일 텐데요. 그래서 많은 조직이 ‘애자일을 하자’ 하고도 성공하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토스에서 이 EoA를 활용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자생적인 모임이 전파되고 있다 하여 들여다봤습니다. 애초에 요즘IT가 EoA를 알게 된 것도 그 때문이었죠.
요즘IT
저는 지난 몇 달 동안 AI의 등장에 불안해하는 많은 주니어 개발자와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그들은 GPT-4와 같은 AI 툴이 단기간에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것을 보았고, 본인이 HTML/CSS/JS에 능숙해질 무렵에는 개발자로 취업할 기회가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미래가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저의 가설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상황은 분명히 지금과 달라지겠지만 사람들이 걱정하는 무서운 방향은 아닐 것입니다.
IT 조직에서는 구성원의 성장을 위해 조직에 최적화된 성장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폴란드의 데이터 컨설팅 기업 앱실론(Appsilon)에서 최근 엔지니어와 프로젝트 매니저를 대상으로 공개한 커리어 프레임워크 “Appsilon Career Paths document”(2022년 버전)를 소개하겠습니다. 개발자의 성장을 위한 가이드라인으로 적용해 볼 수 있길 바랍니다.
애옹킴
Spring Swagger를 처음 접하는 분들은 Swagger가 무엇인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할 것입니다. Swagger는 RESTful API를 문서화하고, 사용자가 쉽게 테스트하고 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Swagger를 사용하는 이유와 Swagge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pring Boot에서 Swagge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월요일 오후 9시
API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을 뜻합니다. 국내에선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와 같은 기본적인 API부터, 외부 개발사와 필요에 의해 연동한 API도 있습니다. 보통 API는 개발자의 영역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사실 API는 기획자도 알고 있어야 할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획자가 알아야 할 오픈 API를 활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큰그림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