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 유튜브 공식 블로그에 글이 하나 올라왔다. 유튜브 영상의 '싫어요'가 몇 개 달렸는지 표시해주는 숫자를 가릴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유튜브 측에서는 충분히 실험을 했고, 정책 변화에 대한 근거가 확실하다며 유저들에게 변화에 적응해줄 것을 요청했다. 어떤 데이터인지 정확히 공개된 것은 없어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발표문이 워낙 확신에 가득 찬 어조라 이번 결정이 뒤바뀔 것 같지는 않다. 나는 개인적으로 싫어요 숫자를 가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쪽인데, 일단 자세한 이야기를 함께 살펴보자.
슈퍼휴먼이라는 서비스가 있다. 이메일 서비스인데 월 구독료가 무려 30달러다. 돈을 낸다고 아무나 가입할 수도 없다. 일단 대기자 명단에 이름을 올려 기다려야 하고, 가입이 거절될 수도 있다. 무료 이메일 서비스가 발에 채일 정도로 많은 요즘, 돈을 내는 사람이 있을까 의문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슈퍼휴먼의 이용자 수는 2020년 기준으로 약 5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가입 대기자 수는 그의 10배에 가까운 45만 명 정도. 도대체 이 서비스의 어떤 점이 그렇게 특별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자.
QR 체크인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쓸 때 가장 중요한 점은 빠르기와 정확성이다. 앱 실행이 늦어 입구에서 꾸물대다가는 뒷사람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고, QR코드를 찍는 것 자체가 귀찮은 행동이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사실 QR 체크인의 기능이야 거기서 거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여러 개를 써보면 또 미세한 곳에서 차이가 있다. 이 글에서는 카카오톡, 네이버, 토스, 패스(PASS) 이렇게 4개 앱의 QR 체크인 기능을 알아보면서 각 앱의 경험이 어떻게 다른 지 살펴볼 예정이다.
OTT라는 단어는 익숙할 것이다. 하지만 로쿠(Roku)라는 이름은 생소하게 느껴지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로쿠는 미국 OTT 시장의 숨은 승자라고 불리는 기업으로, OTT 스트리밍용 디바이스를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OTT 스트리밍? 요즘 TV에는 넷플릭스 다 내장되어 있는데 굳이 기기를 살 필요가 있나?'라는 생각이 들지 모른다. 또, 'OTT 기기는 구글 크롬캐스트나 애플tv가 있는데 상대가 되나?' 싶기도 하지만, 재밌게도 로쿠의 기기는 IT 공룡들이 만든 것들보다 잘 팔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