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A/B 테스트 제대로 이해하기: ④ A/B 테스트 표본 크기와 유의미한 결과의 관계8분대통령 선거에서 미리 출구조사를 통해 A후보와 B후보의 투표율을 파악해서 누가 승리할지 짐작해보자고 하자. 전 국민에게 다 물어볼 순 없겠지만, 이왕이면 최대한 더 많은 사람에게 물어보면 신뢰할 수 있지 않겠는가? 투표를 마치고 온 주변 친구랑 가족 몇 명보다플래터스크랩
디자인디자인, 산출물 그 이상을 넘어12분우리는 대신 (특히 디자인 검토에서) 대화형 커뮤니케이션을 장려하기 시작했습니다. 종이와 펜을 사용하여 무언가를 함께 그리면 우리의 생각을 표현하고 대화를 밖으로 끄집어낼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생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글로 쓰고 전달하는 건 느리고요즘IT의 번역글스크랩
기획제안서의 특별함 = 제안한 사람의 진정성8분앞서 얘기했지만 위의 방법 모두를 넣을 필요는 없다. 그러면 제안서가 비대해 보일 뿐만 아니라 본질인 아이디어가 묻힐 수 있기 때문이다. 본인에게 가장 잘 와닿는 방법으로 제안서를 작성하자. 제안서를 모두 작성한 후 제안서의 연장선으로 브랜딩을 하게 되면, 사재영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