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관례를 활용한 디자인6분관례를 활용한 디자인 익숙한 것이 꼭 나쁜 걸까요? 디자인에서는 콘셉트 회의를 할 때에 종종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이건 너무 뻔해”“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 없어요?”“우리 회사만의 아이덴티티를 담으면서도 전혀 예상하지 못한 걸로 제안해주세요”&nWHTM스크랩
디자인디자이너가 알아야 할 5가지 패턴8분‘전술’이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이 아니기 때문에 ‘전략’이나 ‘방법론’, ‘일 하는 방식’으로 바꿔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디자이너는 문제를 해결하는 주체로서 다양한 문제를 마주하는데요.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모든 디자이너에게는 문제를 해결하기WHTM스크랩
디자인우리의 디자인에는 항상 공백이 부족하다8분같은 책이라도 이리저리 내던져진 모습과 책장에 가지런히 꽂힌 모습은 다른 것처럼, 요소의 구분에는 일정한 규칙이 필요합니다. 인터랙션 디자인에서 이런 규칙의 존재는 단순히 정돈된 모습의 디자인을 만들기 위함이 아닙니다. 각 요소는 개별적으로 보면 역할이 작아보일지 모릅매거진 입맛스크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