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안전교육 실행과 관련된 다양한 지역사회 연계 사례를 크게 3가지로 나눠보았 첫째. 원내 방문 체험의 사례로 ~ 있었습니다. 었고 둘째. 안전체험관, 소방서 등 지역사회 내 안전체험기관 직접 방문 체험의 사례로 ~ 있 셋째. 필수의무 안전교육에 대한 한계로 시청각 자료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사례 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을 공유해보니 현재 많은 유치원에서는 교사 주도 하에 이루어지는 시청 각 자료 위주의 안전교육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안전사고 발생 예방 을 위한 유아들의 실생활과 지역사회와 연계된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 다. 따라서 위와 같은 사례를 통해 알아볼 수 있는 어려움 이에 따른 지역사회 연계의 어려움 및 해결방안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원내 방문 체험시 전문적인 체험형 교구와 안전교육내용을 일상적인 교육에 활용하 기 어렵다는 점. -> 교구구비가 필요 2 직접 방문이나 체험시 지역사회의 협조적인 태도입니다. 3 교사 인식의 제고가 필요 -> 교사 스스로 적극적인 태도 첫째, 교육자료 부족입니다. 교사가 기관에서 직접 유아들을 대상으로 안전교육을 진 행할 때. 적합한 교구가 부족하여 시청각자료에 의존하게 된다는 점이었습니다. 7대 안 전교육 자료들이 기관에 충분히 구비되어있지 않아 시청각 자료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교육의 필요성에 따른 교구를 구비해 놓는 것과 둘째, 기관 간 협조 문제입니다. 교사들의 주변 유관기관에 대한 정보 부족, 지역사회 구성원 및 기관의 협조적이지 않은 태도 등에 따른 어려움이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예 를 들어, 은행을 방문하였을 때, 주민들과 직원 분들의 부정적인 반응이나 지진대피훈 련 시 아파트 공터 사용에 대한 반대를 유아들과 함께 경험하였습니다. 셋째, 교사의 인식 문제입니다. 교사 스스로가 안전교육에 대한 적극적으로 교육을 위 한 준비와 열린 태도, 기관 조사 등의 노력이 필요했습니다. 예를 들어, 교사가 지역사 회 일원이 아닌 경우, 자원에 대한 사전지식이나 조사가 부족하여 더욱 소극적 | 물어봐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