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소연에 따르면 등록제도가 도입된 1979년부터 2017년까지 38년간 무려 580만명(연간 15만7000명)이 생명보험 설계사로 입사했지만 그 중 574만명(15만5000명)이 설계사 생활을 유지하지 못하고 퇴사했다.
문제는 생보사 설계사로 입사한 후 1년 이상 생존할 확률이 38.2%(2019년 상반기 기준)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는 10명이 입사하면 6~7명은 도중에 그만둔다는 의미다.
근속연수도 1년 미만이 29.1%, 1~2년은 16.1%로 저조하다. 반면 5년 이상 근속 설계사는 35.6%로 사실상 현존하는 보험 설계사들은 1년 미만의 신입들과 5년 이상의 경력직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해당 내용에 맞는 그래프를 만들어줘
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생명보험 설계사로 입사한 후 1년 이상 생존할 확률이 38.2%로 매우 낮다고 합니다. 실제로 10명이 입사하면 6~7명이 도중에 그만둔다는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또한, 근속연수도 1년 미만이 29.1%, 1~2년은 16.1%로 저조하며, 5년 이상 근속한 설계사는 35.6%에 불과합니다. 이는 현존하는 보험 설계사들 중 1년 미만의 신입과 5년 이상의 경력직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래프를 만들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