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테스트를 하고
특정 기준에 따라서 진입할때 랜덤 배분을 통해 유저들을 균등 배분할꺼고
그 다음 결과를 해석해야하는데
단순히 건수대비 성공 전환율이 아니라
유저 기준으로 건수대비 성공 전환율을 바야할거 같은데
여기서 좀더 깊게 들어가면
유저가 처음 보고 그 이후엔 적응을 해서 결제를더 잘할수도 있자나?
아 근데 이건 A/B 분리된 모든 유저가 동일하니까
그냥 14일 동안 보는거니까
유저기준 모든 건수를 확인해도 되는건가
아니면 첫결제에 대한 전환율
그 이후에대한 전환율 이런 변수들을 나눠서 전환율을 확인하고 결과를 해석해야하나?
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A/B테스트를 진행할 때, 특정 기준에 따라 랜덤 배분을 통해 유저들을 균등하게 배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결과를 해석할 때에는 단순히 건수 대비 성공 전환율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유저 기준으로 건수 대비 성공 전환율을 고려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저가 처음 상품을 보고 난 후에 적응을 통해 결제를 더 잘 할 수 있다는 점은 중요한 관찰입니다. 그러나 A/B 테스트에서는 분리된 모든 유저가 동일하게 처음 14일 동안 보게 되므로, 유저 기준으로 모든 건수를 확인해도 올바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첫 결제에 대한 전환율과 그 이후에 대한 전환율을 나눠서 확인하는 것 또한 유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유저들의 행동을 보다 세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결과를 보다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A/B 테스트 결과를 분석할 때에는 이러한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고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