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재를 일반 제조업. Y재를 정보산업이라고 하자. 한국경제가 1970년대 부터 2000년대 사이에 두 산업 모두 크게 성장하였는데. 그 사이에 성장률도 똑같았다고 하자.
1970년대와 2000년대의 생산가능곡선을 한 평면 위에 그려보라.
그런데 수요패턴이 정보산업 쪽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게 되었다면
상대 가격은 이전에 비해서 어떻게 되었을까? 편의상 폐쇄경제라고 하자.
6. 두 생산물 X재와 Y재가 각각 일정하게 부존되어 있는 국민경제의 생산가능곡선을 그려보라. 한편 사회무차별곡선은 일반적인 형태라고 하자.
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생산가능곡선은 한국 경제가 X재와 Y재 두 산업 모두 성장하면서 확장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만약 성장률이 똑같다면, 1970년대와 2000년대의 생산가능곡선은 거의 일치할 것입니다. 그러나 수요패턴이 정보산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면, 정보산업인 Y재의 생산가능곡선이 늘어나게 되고 X재의 생산가능곡선은 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질 것입니다.
이에 따라 상대 가격은 이전에 비해 Y재의 가격이 상승하고 X재의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수요와 공급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며, 폐쇄경제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즉, 정보산업인 Y재의 상대적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이 더 많이 지출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고, 이에 따라 생산량과 생산비용이 조정될 것입니다.생산가능곡선과 수요패턴의 변화에 따른 상대 가격 변동은 한국 경제의 산업 구조 변화를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측면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