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목표 지향 페르소나 ( Goal-directed Personas) : 목표 지향적 페르소나의 용도는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호할 것으로 생각되는 작업의 프로세스와 흐름을 검토하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졌다면, 그 목표에 맞게 디자인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2. 역할 기반 페르소나 (Role-Based Personas) : 사용자들이 실제 상황에서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조사하는 것으로, 제품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3. 관계지향 페르소나 (Engaging Personas) : 페르소나를 사용해서 실제 사용자의 3D 입체 모델을 만드는 것입니다. 3D 입체모델을 실제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할수록, 디자인을 하는 동안 사용자들을 더 많이 고려하게 되고, 최상의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될 것입니다. 관계지향 페르소나는 사용자의 감정, 심리, 배경을 조사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제품의 디자인과 관련한 업무에 사용자 경험을 더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4. 가상 페르소나 (Fictional Personas) : 가상의 페르소나는 사용자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UX 디자인 팀의 경험을 기반으로 만들어집니다. UX 디자이너들은 과거 제품에서의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가상 페르소나를 만들어냅니다.
1) 데이터를 수집한다. 2) 가설을 세운다. 3) 그 가설에 팀원들이 모두 동의한다. 4) 페르소나를 몇 개 만들 것인지를 정한다. 5) 각각의 페르소나들을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6) 페르소나들이 처하게 될 상황과 시나리오를 만든다. 7) 조직 전체에서 승인을 받는다.- 구성원들이 모든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 8) 페르소나를 평가하고, 주기적으로 구체적인 사항들을 업데이트한다.
▷ 배경 연구 : 배경 연구는 고객을 파악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입니다. 업계의 특성, 개요, 경쟁사에 대해서 조사하세요. 관련 경쟁사들의 소셜미디어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도움이 될 겁니다. 배경 연구를 통해 고객들에 대해 파악했다면, 더 많은 관련 정보도 찾아보세요.
▷ 양적연구 : 이 연구는 고객 인터뷰, 사용자 대면 조사, 설문조사, 온라인 채팅 등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연구의 대상과 가장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여러분이 파악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서 가장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해줍니다.
▷ 관찰연구 : 관찰 연구의 핵심은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자연스럽게 상호반응하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무런 안내가 없을 때 사용자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관찰해보세요.
▷ 질적연구 : 웹사이트에서 사용자들의 상호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벤트를 추적하고, 실제 구매자에 대한 분석을 하는 과정입니다.
▷ 이름, 나이, 직업 등 개인 정보 : 페르소나를 그리기 전, 무의적으로 편견을 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의의 이름과 사진으로 정체성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이름은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으로 정합니다. 나이, 직업 등은 서비스 타깃과 가장 잘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정하세요.
▷ 사진 : 페르소나의 이름을 짓고, 그들을 대표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것을 잊으시면 안 됩니다. 사진을 이용하면 페르소나를 하나의 인격으로 대할 수 있고, 다른 팀원들도 그 페르소나를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 설명 : 페르소나가 여러분의 제품/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얻고자 하는 목표와 원하는 것들을 정의해보세요. 이 인물이 여러분의 서비스나 도구를 이용하려는 주된 목적은 무엇인가요? 페르소나가 여러분의 제품/서비스를 이용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한 문장으로 요약해보세요.
▷문제점 : 모든 페르소나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대변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페르소나가 대변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요약해서 정리해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