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스타트업, 폭발 성장을 위한 청사진 그리기
3분
2021.01.08.2.9K
조직에 무능한 관리자가 한 명이라도 있다면 좋은 아이디어가 중간에 가로막힐 수 있습니다. 아이디어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다양한 관점에서 이것을 평가해보아야 합니다. 전사적으로 자유롭게 의사소통하는 문화를 만들어 사원에서부터 고위 경영진까지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록 실행할 수 있는 아이디어가 아닐지라도 임원들이 직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만들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형식과 관료주의를 줄이고, 아이디어와 정보를 자유롭게 교류하는 문화를 구축하세요.
많은 스타트업들이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아이디어를 내는 훈련을 합니다. 이처럼 창의적인 사고를 통해 참신한 아이디어를 떠오르게 하는 일은 어느 기업에서나 꼭 필요한 것일 수 있습니다.
교육기업이자 개발기업인 이그젝 온라인이라는 스타트업은 매년 연례행사로 사내 해커톤(hackathon) 행사를 엽니다. 해커톤이란 코딩과 해킹이 결합된 이벤트인데, 직원들은 이 행사에서 새로운 사고방식과 문제 해결책을 찾아보는 기회를 갖습니다. 사실 직원들은 매일 쏟아지는 이메일, 고객 응대를 비롯한 일상 업무 속에 지쳐 혁신을 생각할 여유가 없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회사 차원에서 직원들에게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환경들을 만들어주어야 합니다.
실패를 너그럽게 여기는 문화가 혁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리스크에 대해 서로를 탓하거나 꾸짖는다면 그 어떤 아이디어도 실행될 수 없습니다. 폭발 성장을 위해 혁신하고자 하는 스타트업이라면 리스크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오히려 실패의 경험으로부터 교훈을 얻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혁신을 위해서 리스크를 부담했던 직원을 탓한다면, 직원들의 사기를 해치고 이후의 노력을 저해할 뿐입니다. 성장하는 기업의 리더라면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직원들을 질책하거나 탓하지 않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도록 격려해주어야 합니다.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비즈니스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그렇다면 기술 혁신이나 혁신적인 문화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기존의 평가 잣대인 투자수익률(ROI)나 연구개발비(R&D)로는 혁신과 노력의 가치를 평가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성장하고 싶다면 돌파구를 찾아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을 판단하고, 이 요소들을 중심으로 혁신을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직원들이 어떤 발견을 하기까지 소요된 총 시간이나, 혁신적인 교육에 소비되는 자원의 총량 등을 측정해보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