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페이지를 방문한 유저들의 로그(LOG: 발자취)를 분석하는 기법입니다. 우리는 홈페이지에 남겨진 고객들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유입경로, 사이트 이용형태, 목표 달성 여부 등을 알 수 있습니다. 나아가 분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홈페이지를 개선하고, 원하는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할 수도 있지요.
방문자의 트래픽을 확인하고, 웹 사이트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데이터 측정 단위를 알아야 합니다. 웹로그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툴은 구글 애널리틱스, 네이버 애널리틱스, 에이스 카운터 등 다양하지만, 이번 시간에는 가장 기본 툴이라고 일컫는 구글 애널리틱스의 3가지 핵심지표를 살펴보겠습니다.
히트(Hit) : 히트는 가장 작은 데이터 수집 단위로, 웹사이트 방문자가 사이트에서 행하는 모든 상호작용을 말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조회’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페이지뷰(Page view), 이벤트(event), 거래(transaction)를 들 수 있습니다.
○ 페이지 뷰- 사이트 방문자가 웹 페이지를 열람한 횟수 ○ 이벤트- 콘텐츠와 서비스의 상호작용, 모바일 광고 클릭/동영상 재생/버튼 클릭 등 ○ 거래- 방문자가 상품/서비스를 구매하는 것
세션(Session) : 세션이란 일정한 기간 내에 웹사이트에서 발생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집합을 말합니다. 사용자가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는 것을 세션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사용자 한 명은 여러 번 세션을 시작하고 끝낼 수 있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 기준으로 방문자가 30분 동안 사이트 내에서 활동이 없거나 활동 시간이 자정을 넘기는 경우, 해당 세션은 종료됩니다. 만약 방문자가 자정을 넘긴 시간까지 활동을 한다면 새로운 세션으로 기록됩니다.
사용자 (Users) : 흔히, 순 방문자 수라고 사용되는 개념이 구글 애널리틱스에서는 ‘사용자’라는 용어로 쓰입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는 홈페이지 방문자마다 가지게 되는 쿠키를 기준으로 사용자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한 명의 사용자가 다양한 브라우저(크롬, 익스플로러 등), 기기(노트북, 모바일 등)를 사용할 경우, 여러 명의 방문자로 인식한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정기적으로 쿠키를 삭제할 경우, 매번 신규 방문으로 인식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일부를 아래에 참조드리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활성 사용자- 사이트 또는 앱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 수준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 ○ 인구통계- 잠재고객의 연령 및 성별 구성을 알 수 있음. ○ 사용자의 행동- 신규 방문인지 재방문인지의 여부와 방문 빈도까지 알 수 있음. ○ 기술환경- 사용자가 이용 중인 브라우저 및 운영체제(OS), 네트워크 환경 ○ 사용자 흐름- 사이트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 경로와 이탈 페이지를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