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줄, 앱개발 수익 전략 5가지
6분
2021.01.08.5.3K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줄, 앱개발 수익 전략 5가지
1. 다운로드당 수익을 얻는 유료 앱 모델
- Monetizing apps with pay per download
2. 인앱 구매 모델
Apps free with inApp purchases
- 소모성 구매 - 비소모성 구매 -자동 갱신되지 않는 구독 - 자동 갱신되는 구독
소모성 구매는 돈을 더 많이 쓸 때, 혜택을 가중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비소모성 구매는 광고를 없애기 위해서 프리미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하죠. 자동 갱신되지 않는 구독은 특정한 기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패키지입니다. 만약 스포츠 경기와 관련된 앱이라면 메이저리그나 NBA의 한 시즌 동안에만 구독할 수 있습니다. 자동갱신되는 구독이란 월스트리트 저널과 같은 신문을 구독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넷플릭스, HBO, 훌루(Hulu) 같은 영상 서비스에서도 이런 종류의 자동갱신 구독 방식을 씁니다. 3. 광고가 포함된 무료 앱 모델
Free apps with in-app advertising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다면 광고가 어떻게 운영되는지, 잘 아실 텐데요. 앱에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인앱 광고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사용은 전적으로 무료이지만, 대신 앱 내에 삽입된 배너광고를 통해 앱개발 수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앱의 일부 공간에 배너 광고를 게재하거나 앱 사용 도중에 몇 분마다 한 번씩 팝업 광고가 뜨는 방식이죠. 유저가 앱 내에 삽입된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여러분은 소액의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광고는 돈을 벌어다 줄 수 있지만 사용자 경험에 있어서는 방해가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인앱 구매와 광고 전략을 잘 결합해서 적절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테면, 앱에서 광고를 ㅂ고 싶지 않은 사용자들에게는 프리미엄 서비스로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도록 옵션을 주는 겁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유튜브 앱의 경우에도 동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광고를 보아야 하지만, 돈을 지불하고 프리미엄 버전을 사용하면 광고 없이 서비스를 즐길 수 있습니다. 4. 프리미엄 모델
Freemium model Apps 기본적인 기능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더 많은 기능과 서비스를 원하는 유저에게는 유료 버전을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한 조사 기관에 따르면 구글플레이 전체 매출 중 98%가 프리미엄 모델을 이용한 앱이고, 앱스토어 또한 전체 매출 중 70% 이상이 프리미엄 모델을 적용한 앱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다운로드는 무료이지만, 무료 버전에서는 제한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유저들의 프리미엄 버전 구매율이 높기 때문이지요. 우리가 잘 아는 어플 중에는,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인 ‘눔 코치’가 있습니다. 식단을 기록하고 만보기 기능을 이용하는 등 기본적인 기능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지만, 건강 관리 코치가 체계적으로 코칭 해주는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유료 결제를 해야 합니다.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인 ‘드롭박스’ 또한 프리미엄 모델을 이용하는 대표적인 예입니다. 기본 저장 공간을 제공해 이용자를 유인하고, 추가 저장 공간을 이용하려면 따로 결제를 해야 합니다. 5. 무료 체험판 앱 모델
Free trial apps
> 이 글은 'Strategies for making a profit out of app development'을 각색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로그인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