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줄, 앱개발 수익 전략 5가지
4분
2021.01.08.5.4K
당신을 부자로 만들어줄, 앱개발 수익 전략 5가지
앱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결제가 필요한 앱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앱 다운로드 숫자를 늘려 수익을 내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보통 앱 다운로드 비용은 저렴하게 설정되기 때문에 초기 투자비용을 회수하려면 엄청난 다운로드 수가 필요합니다.
또한, 여러분의 애플리케이션이 돈을 지불할 정도의 가치가 있는지도 고민해봐야 합니다. 유저들은 정말로 돈을 지불할 만한 좋은 상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결제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이 방식은 안드로이드보다 iOS 기기에서 더 높은 수익률을 보입니다. 왜냐하면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는 너무나도 많은 수의 앱들이 있고, 대부분의 앱들이 무료이기 때문이죠.
처음 다운로드할 때는 무료이지만,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이루어지는 추가 구매를 통해 수익을 내는 모델입니다. 일반적으로 ‘인앱 결제(inApp payment)’로 불리는데요. 앱 관련 아이템, 상품 또는 앱과 관련이 없는 다른 상품 및 콘텐츠 등을 구매하는 모든 행위들을 말합니다.
이 모델은 모바일 게임에서 많이 이용됩니다.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은 무료이지만, 캐릭터의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아이템은 유료로 구매를 해야 합니다. 인앱 구매 모델의 경우, 앱에 대한 유저의 충성도가 강할수록 높은 수익률을 보입니다. 소비자는 사전에 앱 스토어에서 결제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앱 내에서 유료 콘텐츠 구입 시 인증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따라서 게임 개발사와 소비자 모두 이러한 간편 결제 덕분에 결제와 접근의 편리성을 누릴 수 있죠. 애플의 지원센터에 따르면, 인앱 방식은 크게 4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 소모성 구매 - 비소모성 구매 -자동 갱신되지 않는 구독 - 자동 갱신되는 구독
소모성 구매는 돈을 더 많이 쓸 때, 혜택을 가중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비소모성 구매는 광고를 없애기 위해서 프리미엄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말하죠. 자동 갱신되지 않는 구독은 특정한 기간 동안만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패키지입니다. 만약 스포츠 경기와 관련된 앱이라면 메이저리그나 NBA의 한 시즌 동안에만 구독할 수 있습니다. 자동갱신되는 구독이란 월스트리트 저널과 같은 신문을 구독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요. 넷플릭스, HBO, 훌루(Hulu) 같은 영상 서비스에서도 이런 종류의 자동갱신 구독 방식을 씁니다.
유저는 앱을 무료로 다운로드하고 일정 기간 동안 앱을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15일에서 30일 정도의 무료 체험 기간을 주는 것이죠. 앱을 무료로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유저의 흥미를 끈 뒤, 모바일 앱을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수익화 전략보다는 앱을 마케팅하는 용도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특정한 프로모션 캠페인이 있는 경우, 마케터가 유저에게 무료 체험 기간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용되죠.
> 이 글은 'Strategies for making a profit out of app development'을 각색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