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아마존, 페북도 한다는 데브옵스(DEVOPS)란?
6분
2021.01.08.4.4K
데브옵스(DevOps)가 무엇이길래?

데브옵스(DevOps), 어디서 쓰고 있을까?
데브옵스는 기술적으로 비교적 새로운 개념이기 때문에 잘못 사용되거나 오해되는 경우가 많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데브옵스를 가장 확실하게 파악하려면, 몇 가지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이 좋은데요. 아래의 기업들이 어떻게 데브옵스를 도입해서 실행하고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아마존(Amazon) 아마존은 세계 최대의 온라인 소매업체이면서, 동시에 데브옵스 분야에서도 가장 성공한 기업들 중의 한 곳입니다. 아마존이 데브옵스 환경에서 성공할 수 있었던 데에는 수만 가지의 이유들이 있습니다. 아마존은 세계 최고 수준의 고객지원에서부터 제품에 대한 문제 해결, 인하우스(in-house) 솔루션을 만들어내는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제들을 처리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있는데요. 데브옵스가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품질보증(QA) 및 리스크 관리에서도 아주 유용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넷플릭스(Netflix) 넷플릭스는 업계에서도 데브옵스 기법을 가장 먼저 사용해서 프로그래머들과 IT 관리자들의 일상 업무를 자동화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넷플릭스 스트리밍 서비스는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를 가진 클라우드 기반의 인프라 위에서 운영되고 있는데요. 그뿐만 아니라 거의 대부분이 오픈소스로,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기에 2015년 잭스(JAX) 컨퍼런스에서 혁신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기도 했습니다. 페이스북 (Facebook) 데브옵스 방법론은 페이스북 비즈니스의 핵심이자 그들이 성장할 수 있었던 근간이 됩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를 정식으로 출시하기 전 미리 버그를 고칠 수 있게 도와주고, 인프라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었죠. 실제로 페이스북은 데브옵스 분야에서는 선구자에 속하며,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활용 방법을 변화시켰습니다. 왜, 다들 데브옵스(DevOps) 하는가.
데브옵스(DevOps), 개발 프로세스는?
기업이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에 보조를 맞추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모든 데브옵스 프로세스의 핵심에서 쓸 수 있는 유용한 도구들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일상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과 도구를 포괄적으로 말하는 것인데요. 기존의 소프트웨어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새로운 버전에 대한 수정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도구들이 필요합니다.깃허브(Github) – 소스 제어 관리(Source Control Management, SCM) 젠킨스(Jenkins) –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 나기오스(Nagios) – 경고 관리(Alert Management) 및 모니터링(Monitoring) 도커(Docker) – 컨테이너 관리(Container Management) 및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엘라스틱서치(Elasticsearch) – 로그 분석(Log Analytics) 아이싱어(Icinga) – 분산 모니터링(Distributed Monitoring) 셰프(Chef) – 설정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데브옵스 개발 프로세스에 내재된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바로 이것이 이루어지는 경로입니다. 데브옵스는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부터 모니터링과 버그 탐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면서도 광범위한 활동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단일한 업무가 아닙니다. 그러므로 데브옵스 운영 경로에서는 지속적인 개발과 테스트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4가지를 강조합니다. 소스코드 제어. : 새로운 버전의 시스템을 적절한 시기에 얻어낸다.
구축 및 테스트 자동화. : 새로운 버전의 시스템에서 발견된 품질 관련 문제들을 모두 정리한다.
출시 자동화. : 다수의 팀에서 수행되는 업무들을 자동화하고 서로 연결한다.
배치 및 모니터링. : 버전 관리를 활용해서 개발 환경으로 새로운 버전의 시스템을 배포한다.
로그인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