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의 최초 버전은 앱스토어에서 무료로 출시되었습니다. 이후 2012년 4월, 안드로이드의 사용자들도 커뮤니티로 받아들였죠. 그 해 11월에는 인스타그램을 웹 브라우저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출시된지 2년이 지나서는 페이스북에 인수되었는데요. 독자적인 생존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직원 13명이 근무하는 18개월 된 회사를 약 10억 달러에 인수된 것은 매우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인스타그램은 사용자 친화적인 애플리케이션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며, 인터페이스는 매력적이면서도 직관적입니다. 또한 좋아요를 비롯해서 다양한 반응을 장려하고 있는데요.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의 알고리즘에서는 이 앱을 제공하는 콘텐츠에 대해서 사용자들이 만족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 많은 것들을 계산합니다. 최근에 바뀐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죠.
- 사용자가 포스트를 업로드하면, 그 사용자를 팔로우하는 사람들의 일부인 약 10%에게만 그 포스트가 보이게 됩니다. - 좋아요, 댓글, 공유, 저장 등의 다양한 활동들을 측정합니다. - 수신한 데이터를 이전의 포스트의 내용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 만약 참여율이 충분히 높은 포스트에 대해서는, 나머지 90%의 팔로워들에게도 그 포스트가 표시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훨씬 적은 수의 사람들이 그 포스트를 보고 프로필을 확인하게 됩니다.
> 프로필에 홈페이지 링크 표시 가능 > 목표하고 있는 시장에 접근하기 용이한 타깃 광고 > 고유한 해시태그와 할인 코드를 통해 참여도 생성 > 산업계의 동향을 읽을 수 있고, 비즈니스 파트너 관계를 찾을 수 있음
01. 인증 사용자들은 인증 기능을 통해서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거나, 기존의 다른 소셜 미디어 계정을 이용해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서, 오직 로그인을 한 사용자들만 콘텐츠를 확인하거나 게시할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02. 프로필 편집 개인 정보를 추가하고, 삭제하고, 변경하는 것. 사용자들은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생일 등을 비롯한 자신의 개인 정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03. 사진과 동영상 업로드 이 부분에서는 백엔드에서 과도한 이미지의 로드를 어떻게 처리할 지를 생각해야만 합니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태그 추가 및 댓글 작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04. 이미지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 가장 쉬운 방법은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소스코드를 프로젝트에 활용해서 사용자들이 적용할 수 있는 표준적인 필터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다면, 앱의 UI를 개선하기 위해서 필요한 필터와 포스팅 도구를 직접 만들 수도 있습니다.
05. 설정변경 (언어 설정, 푸시 알림 설정 등) 설정을 변경할 수 있게 하면, 사용자들이 자신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환경으로 여러 가지의 경험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06. 메시지 기능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이 DM을 통해 친구들에게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의 과부하 현상을 줄이고 싶다면, 서버에 접근하는 기간을 제한해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션을 분리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07. 위치기반 서비스와 위치정보 기능 애플리케이션이 최고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위치정보가 필수적인 기능입니다. 특히, 위치를 태그 할 수 있게 한다면, 사진과 동영상에 위치 기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참여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08. 검색 사용자들은 키워드를 사용해 다른 프로필 계정과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다음에는 하나의 검색창을 통해 앱에 있는 모든 것들을 검색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HOW TO CREATE A SOCIAL MEDIA APPLICATION LIKE INSTAGRAM'을 각색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