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a href="https://www.wishket.com/w/IVsAlHh8DP"><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704_150_type_1.png"></a></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center;"><i><strong>'쿠폰을 사용할지, 멤버십을 적립할지, 이벤트에 참여할지, 배달을 주문할지'</strong></i></h4><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우리는 음식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단순 배달 외에 많은 것을 하나의 앱에서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배민, 요기요, 배달통 등 배달 중개 플랫폼부터 버거킹, KFC, 맘스터치 같은 프렌차이즈들은 하나의 앱에서 배달과 고객 대응과 심지어 이벤트 쿠폰까지 관리합니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고객을 갖고 있는 맥도날드는 그렇지 않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맥도날드를 스토어에 검색하면 국가별 맥도날드, 맥딜리버리, 해피밀, 스티커 등 많은 앱이 다운로드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해피밀을 먹으려면 최소 2개의 맥도날드 앱을 받아야 하며, 쿠폰에 스티커까지 쓴다면 최대 4개의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전부터 사용자 이탈의 위험을 안겨줍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렇게 파편화된 맥도날드 앱을 ‘<a href="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509/">원 앱</a>’ 전략으로 하나로 통합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맥도날드 앱을 어떻게 합치면 좋을지 서비스 모델과 메뉴 구조를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시해 보겠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span style="color:#00a878;">*본 글은 애플 앱 스토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01_1.png" alt="패스트푸드 앱"></figure><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As – is 맥도날드</strong></h3><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각 앱의 서비스 모델</strong></h4><ul><li style="text-align:justify;">맥도날드: 사용자에게 쿠폰 제공, 멤버십 적립 및 사용, 메뉴의 영양ㆍ원산지 정보를 제공합니다. 온라인에서 사용 불가능하며, 오프라인 매장의 키오스크를 통해 사용이 가능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맥딜리버리: 사용자에게 배달 기능을 제공하며, 온라인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해피밀: 사용자에게 맥도날드에서 개발한 게임(2개)을 제공하며, 해피밀 박스를 스캔하면 추가 게임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을 타깃으로 한 수준의 서비스입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스티커: iOS 환경 사용자에게 ‘아이메시지(iMessage)’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모티콘을 제공합니다. 다만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메뉴 구조도 작성</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각각 흩어진 4개 앱의 메뉴들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먼저 각 앱에서 제공하는 비슷한 기능을 색상으로 분류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맥도날드 기능 설명</strong></p></blockquote><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04.png" alt="맥도날드 기능 설명"></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홈: 멤버십 포인트를 조회할 수 있으며 하위 메뉴로 쿠폰의 사용 내역과 사용 방법을 안내합니다. 또한 배너와 카드형 UI를 사용하여 이벤트, 이용 안내, 새 소식 등의 콘텐츠를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쿠폰: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의 리스트를 카드형 UI로 제공합니다. 리스트를 클릭하면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메뉴: 맥도날드의 메뉴별 영양∙원산지 정보를 단품과 세트 탭으로 나누어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매장찾기: 검색과 지도 API를 사용하여 전국의 맥도날드 매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벤트를 진행하는 매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더보기: 개인정보 수정 및 약관 등 CS 관련 기능을 제공합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맥딜리버리 기능 설명</strong></p></blockquote><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06.png" alt="맥딜리버리 기능 설명"></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홈: 맥도날드와 비슷한 성격의 화면으로 주요 기능인 주문∙주문 조회 버튼을 제공하며, 새 소식 및 이벤트를 배너로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즐겨찾기: 좋아하는 메뉴를 즐겨찾기에 추가해 재주문 시 편의를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주문조회: 주문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더보기: 주문조회, 개인정보 수정, 약관 등 CS 관련 기능을 제공합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해피밀ㆍ스티커</strong></p></blockquote><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8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08.png" alt="해피밀 스티커"></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홈: 해피밀 구매자를 대상으로 한 메뉴로 해피밀박스 스캔 시 기존 게임이 아닌 새로운 게임을 제공합니다. 또한, 기본 게임도 함께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스티커: 설치하면 iOS 환경의 아이메시지 이모티콘에 맥도날드 이모티콘이 추가됩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개선이 필요한 이유</strong></h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09.png" alt="맥도날드 앱 평가"></figure><p style="text-align:justify;">사실 앱 리뷰만 보더라도 각종 버그와 함께 사용자 불만이 많아서 개선이 필요한 게 명확합니다. 그렇지만 이번 글에서는 ‘원 앱’ 전략을 통한 서비스 구조 개선을 먼저 살펴보기 위해 각 서비스가 분리되어 발생한 이슈를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span style="color:#00a878;">*본인의 개인적인 주관, 리뷰, 앱스토어의 오픈 데이터를 기준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슈에 대해 정의했으므로 실제 분석된 데이터와 다를 수 있습니다.</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맥도날드, 맥딜리버리에 비해 해피밀, 스티커 앱은 사용성이 낮아 유령 앱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각 앱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여러 번의 설치는 물론, 반복된 회원가입 장애물은 사용자 경험을 험난하게 만듭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같은 브랜드의 앱인데도 불구하고 일관성 없는 UI/UX 제공으로 사용자가 이용할 때 혼란을 줍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앱마다 미묘하게 중복된 기능이 있어 특정 상황에서 어떤 앱을 이용해야 하는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각 앱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연결된 부분이 있지만, 따로 분리되어 있어 효율적이지 못합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To – be 맥도날드</strong></h3><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서비스 모델</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맥도날드의 쿠폰, 멤버십, 배달 등 온∙오프라인 기능을 이용하려는 고객에게 하나의 앱에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해피밀박스∙게임∙스티커 등 재미 요소를 무료로 제공해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메뉴 구조도 작성</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각 앱에서 비슷한 기능을 색으로 분류했고, 이를 기준으로 메뉴 구조도를 작성했습니다. To be 기준 대메뉴는 홈∙쿠폰∙주문∙Happy M(콘텐츠)∙My M으로 정했으며, 시스템이나 데이터 구조 및 흐름은 알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기능 추가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12.png" alt="신규 메뉴 구조도 작성"></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홈: 이벤트, 새 소식을 배너로 보여주며 각 메뉴의 주요 기능을 링크로 연결해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쿠폰: 기존에 여러 화면에서 제공하던 쿠폰 기능을 하나의 메뉴에서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주문: 배달/예약으로 기존 주문 프로세스를 개선했으며, 메뉴 리스트, 즐겨 먹는 메뉴, 나의 주문 내역 등 각 앱에 파편화되어 있던 편의성 관련 기능을 하나로 모았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Happy M: 사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게임 관련 콘텐츠 기능을 탭 이동만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했으며, 기존 고객들을 위한 무료 게임과 스티커를 제공합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My M: 맥도날드와 맥딜리버리에서 제공하는 CS 관련 기능 중 중복된 UI/UX를 통합했고, 여러 종류의 약관은 같은 메뉴로 묶어 제공합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특히 각 앱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인 ‘주문, 쿠폰, 콘텐츠’는 모두 앱 실행 후 최초 화면에서 프로세스 진입이 가능하도록 설계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주요 서비스 개선 화면</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앞에서 정리한 개선이 필요한 이유와 To – be 의 메뉴 구조도를 중점으로 개선된 화면을 구현해 봤습니다. UI는 대략 표현하였으므로 참고 부탁드립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홈</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13.png" alt="홈 화면 개선"></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앱 바에 홈∙쿠폰∙주문∙Happy M∙My M 메뉴명을 배치해 메인에서 바로 주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메뉴 선택 화면</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8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15.png" alt="메뉴 화면 개선"></figure><p style="text-align:justify;">메뉴 선택 시 영양ㆍ원산지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했고, 바로 주문하기 버튼을 제공하여 프로세스 진행 중 갑작스러운 화면 이탈을 방지하였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콘텐츠</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49/image017.png" alt="콘텐츠 화면 개선"></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Happy M</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다양한 연령층이 콘텐츠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크고 간결한 배너를 배치하였습니다. 해피밀 상품 구매 유도를 위해 기존의 해피밀박스 스캔을 더 직관적으로 표현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My M</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각 앱에 중복된 화면과 다른 이름으로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한 CS 관련 기능을 제공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기대할 수 있는 효과</strong></h3><ul><li style="text-align:justify;">각 앱에 분산되어 있던 사용자를 통합시키고, 서비스 간 상호작용으로 긍정적인 행동 지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네 개의 앱에서 발생하는 물적∙인적 비용의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li><li style="text-align:justify;">중복된 화면을 하나로 취합하고, 각 기능을 메뉴 성격에 맞게 재배치하여 사용자에게 쉽고 편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결론</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기획할 때 어떻게 하면 사용자가 서비스를 쉽게 접근할 수 있을지, 다시 서비스를 찾게 할지 등에 대한 해결법을 찾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넓은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합니다. 단순 UI/UX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목적과 구조, 그리고 데이터의 흐름까지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기술이 발달하면서 용량에 상관없이 여러 기능을 하나의 앱에 담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원 앱’이 기본적인 사업 전략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글 또한 원 앱을 기반으로 리뉴얼을 진행했으며, 동시에 기획자가 고려해야 할 '서비스 모델 파악'과 '메뉴 구조도 설계'를 바탕으로 구성해 봤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추후 실제 프로덕트를 진행할 때 더 좋은 기획과 사업 전략을 구상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출처></p><p style="text-align:justify;">모든 이미지는 직접 편집 및 제작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999999;">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