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GPS 꺼도 위치 추적 가능? 예측불가 개인정보 접근 기술들
5분
2021.01.08.3.9K
구글은 사용자 데이터를 판매하는 업체이기도 한데, 8.8.8.8이라는 IP 주소를 가진 아주 유명한 자체 DNS를 가지고 있습니다. 구글은 이 DNS로 오는 모든 IP 주소에 대한 검색 요청을 기록한다고 말하지만, 구글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보면 '여러분이 제공한 모든 개인 정보는, 구글의 임시 데이터나 영구기록과 연결하거나 조합하지 않는다.'라고 적혀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적인 가능성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고, 구글은 광고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사용자들의 이메일을 읽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자신들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변경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콘텐츠에 대한 많은 요청들은 HTTPS 프로토콜을 통해서 암호화되지만, DNS 요청은 단순한 텍스트로 요청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검색 기록이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나 DNS 서버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죠. 보안과 암호화된 DNS가 표준이 된다고 하더라도 DNS를 구글과 같은 메이저 업체들이 관리할 경우에는 IP 주소를 로그로 남길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접속한 IP 주소와 여러분이 요청한 DNS 요청을 구글이 연결 지을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 이력 데이터를 넘겨주지 않고 검색하는 습관에 대해서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IP 주소는 여러분이 누구인지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 정보가 될 수 있습니다. IP 주소는 여러분이 브라우저를 닫거나 기기를 다시 켠다고 해도 잘 바뀌지 않는데요. 만약 어떤 웹사이트에서 여러분의 접속 기록을 IP 주소와 함께 저장한다면, 굳이 여러분이 로그인을 하지 않고 계정을 생성하지 않더라도, 접속한 IP만 확인하여 웹사이트에 방문한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한 가지 방식으로는 가상 사설 네트워크(VPN)를 이용하는 것이 있는데, 이는 여러분의 기기에서 발생하는 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지구 위의 어디엔가 존재하는 다른 서버를 통해서 우회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VPN을 이용하면,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접속한 IP 주소는 실제 주소가 아니기 때문에, 여러분의 위치가 더 이상 노출되지 않습니다. 또한 VPN은 커피숍에서처럼 공용 와이파이로 인터넷에 접속할 때, 개인정보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이렇게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우리 집 냉장고를 대체 왜 인터넷에 연결해야 하는 것이냐고 말입니다. '스마트 냉장고'는 아직까지 썩 괜찮은 제품으로 나온 것은 없지만, 스마트 TV는 확실히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 업계가 스트리밍 서비스로 눈을 돌리고 있고, 기술의 발전으로 각 가정에서 보다 뛰어난 화질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들은 텔레비전을 인터넷에 연결해서 새로운 콘텐츠들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스마트 TV 모델 중에서는 광고주들에게 시청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분의 기기에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들도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이 나오는 이유는, 타깃 광고 시스템이 유행하는 이유와 같습니다. 예전에 TV 시청 통계는 각 가정에게 비용을 주고, 그들의 시청 습관에 대해서 조사를 하는 것이었고, 표본의 수도 비교적 적었기 때문에, 데이터 자체도 모호한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스마트 TV에서는 수백만 명의 소비자들의 시청 습관을 실시간으로 자세히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소비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가전제품이 자신들의 개인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합니다. 이런 시스템들에서는 데이터 수집 설정을 해체할 수 있지만, 각 가전제품들의 설정 방법을 자세히 들여다봐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 글은 '3 Surprising Ways You Might Be Giving Away Your Personal Information'을 각색하여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