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3>[위시켓 / 그린 클라이언트 #27]</h3> <a href="http://www.wishket.com" target="_blank" rel="attachment wp-att-5255"><img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5255"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center/66/150416_wishket_GC_b.png" alt="150416_wishket_GC_b" width="726" height="378" /></a> 안녕하세요, <a href="http://www.wishket.com/" target="_blank">위시켓</a>입니다! 지난 주 <strong>그린 클라이언트</strong>의 주제였던 <a href="http://blog.wishket.com/%EC%84%B1%EA%B3%B5%EC%A0%81%EC%9D%B8-%EC%A4%91%EC%86%8C%EA%B8%B0%EC%97%85-erp-%EB%8F%84%EC%9E%85%EC%9D%84-%EC%9C%84%ED%95%9C-%EB%B0%A9%EB%B2%95/" target="_blank"><strong>ERP</strong></a>에 이어서, 오늘은 여러분의 회사 경영에 생산성과 효율성을 더해줄 또 하나의 시스템을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혹시<strong> ‘CMS'</strong>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CMS라고 하면 은행에서 이용하는 ‘자금 관리 서비스, Cash Management Service’를 떠올리는 분들이 많은데요. <img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5259" src="" alt="150416_wishket_GC_image1" width="550" height="251" /> <p style="text-align: center;">(구글에 CMS를 검색했더니...)</p> <p style="text-align: left;">오늘 알아볼 CMS는 Content Management System, 즉 콘텐츠 관리 시스템의 약자입니다. 사실 CMS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가 굉장히 넓고 애매하기 때문에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는데요. 오늘 <strong><a href="http://blog.wishket.com/category/greenclients/" target="_blank">그린 클라이언트</a></strong>에서는 CMS라는 용어의 애매한 범위를 나름대로 정리해서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p> <h2 style="text-align: left;">CMS가 무엇인가요?</h2><p style="text-align: left;"><strong>CMS란</strong>, 위에서 잠깐 언급드렸던 것처럼 Content Management System의 약자입니다. 즉, <strong>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strong>을 뜻하는데요. CMS에 대해 설명하려면 먼저 여러분에게 '콘텐츠'가 무엇인지 설명드려야 하겠네요.</p> <hr /> <p style="text-align: left;"><strong>콘텐츠(Content)란?</strong></p> <p style="text-align: left;">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 (출처: 두산백과)</p> <hr /> <p style="text-align: left;">위의 정의를 읽어보면 아시겠지만, 콘텐츠는 굉장히 포괄적인 단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콘텐츠'를 무엇으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CMS의 용도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지요. 기업의 입장에서 콘텐츠를 해석하자면, '기업에서 부가가치를 기대할 수 있는 모든 정보의 기본 단위'가 되겠지요. 이커머스 사업을 하는 회사의 콘텐츠는 고객과 상품에 대한 데이터 등 전자상거래에 관련된 모든 정보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p> <h2 style="text-align: left;">CMS = 블로그 개설을 위한 소프트웨어?</h2><p style="text-align: left;">많은 분들이 CMS를 블로그를 개설하고 관리하는 웹 소프트웨어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현재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CMS의 형태가 블로그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이지요. 워드프레스, 드루팔, XE나 킴스큐와 같은 CMS는 웹에서 <strong>콘텐츠를 쉽게 발행하고 관리</strong>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strong>웹사이트를 관리</strong>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도 함께 갖추고 있어서 편리합니다. 위시켓 블로그도 워드프레스를 이용하여 만들었고, 백악관이나 서울시 웹사이트나 CJ, 삼성과 같은 대기업에서도 워드프레스를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있습니다.</p> <p style="text-align: center;"><img class="aligncenter size-large wp-image-5261"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center/66/서울특별시-1200x745.png" alt="서울특별시" width="837" height="520" />[<strong>이미지</strong>: 워드프레스로 구축한 <strong>서울특별시청의 공식 웹사이트</strong>]</p> <h2 style="text-align: left;">CMS를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h2><p style="text-align: left;">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기업의 여러 콘텐츠를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관리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trong>이커머스 사업</strong>을 하는 회사에서는 CMS를 이용하여 상품의 정보, 거래 데이터 등 여러 정보들을 쉽고 체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업무 효율성이 증가하게 되겠지요. 현재 CMS는 보통 웹 환경에서 이용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웹이 생겨난 이후, e-Business가 사업의 주요 전략이 되면서 웹에서 이용할 수 있는 CMS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웹은 문서, 영상, 이미지 등 모든 콘텐츠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를 관리하기에 안성맞춤인 공간인 것이지요.</p> <p style="text-align: left;">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콘텐츠의 정의에 <strong>'고객에게 전달되는 모든 서비스'</strong>라는 의미까지 더해지게 됩니다. 즉, CMS를 단순히 콘텐츠를 배포하고 관리하는 수단에서 벗어나, '고객 만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도 생각하게 된 것이지요. 따라서 <strong>콘텐츠 배포 및 관리는 기본</strong>이고, <strong>검색 기능과 로그 분석 기능까지 함께 연동한 시스템으로 발전</strong>하게 됩니다. 또한 워크플로우 관리, 디자인 관리, 레이아웃 편집 등 사<strong>이트에 필수적인 부가 기능까지 함께 제공</strong>하게 됩니다. 즉, 사이트 운영에 필수적인 기능들을 모두 아우르는 솔루션 시스템으로 발전하게 된 것이지요.</p> <h2 style="text-align: left;">다른 기업들은 CMS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나요?</h2><h3 style="text-align: left;">사례1. SBS 골프채널</h3><p style="text-align: left;">SBS 골프채널은 SBS미디어넷이 운영하는 4개 전문 채널 중 하나로 골프경기나 소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채널입니다. CMS 도입 후, 관리자, 기획자, 프로그래머들이 <strong>각자 맡은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되어서 업무 효율성이 대폭 향상</strong>되었다고 말했습니다. 프로그램을 모르는 일반 관리자들이 CMS를 이용해 콘텐츠를 관리하는 것이 최대 목표였는데, CMS를 도입하고 관리자가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했습니다. 또한 로그분석, 통합 검색 등의 기능으로 고객들이 어떤 콘텐츠를 많이 이용하는지 한 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strong>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strong>할 수 있다고 얘기했습니다.</p> <h3 style="text-align: left;">사례 2. 부산은행의 직원 업무용 CMS 도입</h3><p style="text-align: left;">부산은행은 CMS의 도입으로 <strong>기존 웹페이지 개발 및 관리에 드는 업무 시간을 20~30% 단축했다</strong>고 말했습니다. 수시로 변하는 금융 상품의 특성상 페이지 관리를 수시로 해줘야 하는데요. 기존에 가지고 있던 CMS는 개발자 중심의 툴이었다면, 이번에 새로 구축한 CMS는 상품개발 및 웹기획 등 <strong>현업 담당자들도 직접 웹에디터를 활용</strong>하여 간편하게 단순한 수정 업무 정도는 알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웹사이트 관리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지요. 웹사이트가 오픈된 이후, 운영 및 관리의 70~80%는 현업 부서에서 담당한다며, 웹사이트를 총괄하는 웹 기획부서의 관리 업무가 매우 간편해졌다고 전했습니다.</p> <p style="text-align: left;">위의 두 가지 사례로 살펴봤을 때, CMS는 일반적으로 <strong>콘텐츠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strong>, 그리고 <strong>프로그래밍을 잘 모르는 일반 담당자들도 CMS를 이용하여 직접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해서</strong> 이용되고 있네요.</p> <p style="text-align: left;">여러분도 콘텐츠 관리를 쉽게 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을 하고 계신가요? <a href="http://www.wishket.com" target="_blank">위시켓</a>의 이번 글을 통해 CMS의 개념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시고, 다른 기업들의 성공적인 이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명하게 시스템을 도입하시길 바랍니다.</p> <hr /> <h4 style="text-align: center;">‘콘텐츠 관리의 솔루션, CMS 파헤쳐보기’와 관련된 위시켓 인기글</h4> <p style="text-align: center;"> – <a href="http://blog.wishket.com/%EC%84%B1%EA%B3%B5%EC%A0%81%EC%9D%B8-%EC%A4%91%EC%86%8C%EA%B8%B0%EC%97%85-erp-%EB%8F%84%EC%9E%85%EC%9D%84-%EC%9C%84%ED%95%9C-%EB%B0%A9%EB%B2%95/">성공적인 중소기업 ERP 도입을 위한 방법</a></p> <p style="text-align: center;"> – <a href="http://blog.wishket.com/%EA%B0%80%EC%9E%A5-%EC%89%AC%EC%9A%B4-%EC%87%BC%ED%95%91%EB%AA%B0-%EA%B0%9C%EB%B0%9C-%EB%B0%A9%EB%B2%95-%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0%80-%EB%8B%B5%EC%9D%B4%EB%8B%A4/">가장 쉬운 쇼핑몰 개발 방법! 워드프레스가 답이다.</a></p> <hr /> <a href="http://www.wishket.com/" target="_blank" rel="attachment wp-att-4216"><img class="aligncenter size-full wp-image-4216"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center/common/20150425_하단이미지_v4.png" alt="150120_wishket_blog_under" width="500" height="259" /></a> * CMS 이용사례 출처: <a href="http://www.com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00">http://www.com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7600</a> <a href="http://www.com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25">http://www.comworld.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525</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