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적 등급을 계산하는 함수
def calculate_grade(average):
if average >= 90:
return 'A'
elif average >= 80:
return 'B'
elif average >= 70:
return 'C'
elif average >= 60:
return 'D'
else:
return 'F'
# 점수를 입력받고 학점을 계산하는 프로그램
def input_scores_and_calculate_grade():
# 과목 수 입력
num_subjects = int(input("과목 수를 입력하세요: "))
scores = []
# 각 과목의 점수를 입력받음
for i in range(num_subjects):
score = float(input(f"과목 {i + 1}의 점수를 입력하세요: "))
scores.append(score)
# 평균 점수 계산
average = sum(scores) / num_subjects
# 등급 계산
grade = calculate_grade(average)
# 결과 출력
print(f"\n평균 점수: {average:.2f}")
print(f"학점: {grade}")
# 프로그램 실행
input_scores_and_calculate_grade() 이걸 순서도로 그려줘
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저는 그림으로 설명하는 대신에 텍스트로 설명을 드릴게요. 일단 input_scores_and_calculate_grade 함수가 실행되면, 과목 수를 입력받습니다. 그 후 각 과목의 점수를 입력받아서 리스트에 저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입력받은 점수들을 모두 더해서 총합을 구하고 과목 수로 나눠서 평균을 계산합니다. 이후 calculate_grade 함수를 사용하여 평균을 바탕으로 등급을 계산하고, 마지막으로 평균 점수와 학점을 출력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입력한 점수들을 바탕으로 평균과 학점을 계산하고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완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