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한글을 보존하기 어려운 이유는 주로 인코딩 방식과 문자표의 문제 때문입니다. 윈도우 운영체제는 주로 euc-kr이라는 한글 인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문자를 저장합니다. 이 인코딩 방식은 한글과 한자를 제한적으로 저장하는데, 87년 스펙에 포함된 한글은 2,350자만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체 한글 문자가 11,172자인 것을 고려하면 한글을 표기할 때 누락되는 글자들이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한글 표기 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제한된 문자표가 한글을 보존하기 어렵게 만드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