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애자일 방법론을 반대하는 근거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첫째로, 모든 프로젝트나 회사에 애자일 방법론이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환경이나 요구사항에 따라 폭포수 모델이나 다른 방법론이 더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일방적으로 애자일을 도입하는 것이 항상 옳은 결정은 아닐 수 있습니다.
또한,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할 때 제대로된 프로세스나 가이드라인이 없이 무분별하게 도입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오히려 조직 구성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디자인 가이드나 기능 정의 등이 없이 일을 진행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하면서 내부 경쟁이 발생하거나 불필요한 경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동일한 KPI에 대해 여러 팀이 경쟁하게 되면 팀 간의 갈등이 생길 수 있고, 회사 내에서 불필요한 경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조직 내의 협업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을 고려하면 애자일 방법론을 도입하는 것이 항상 옳은 선택은 아닐 수 있습니다. 적절한 시기와 방법으로 애자일을 도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