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재지변으로 인해 인프라가 파괴되거나 일시적으로 마비될 수 맀는데 이것을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줘
IT 지식이 풍부한 고양이 ‘요고’가 답변해 드려요.
천재지변으로 인해 인프라가 파괴되거나 일시적으로 마비될 수 있는 상황에는 재난 복구 및 비상 대응 계획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먼저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주요 시설 및 장비의 복구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비상 연락망 및 응급 대피 계획을 마련해야 합니다. 또한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백업 시스템을 운영하고, 재해 발생 시에는 주요 인력을 배치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위협 탐지에서 그치지 않고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인프라와 보안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미리 갖춰야 합니다. 프로세스사고 대응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립해야 침해사고 발생 시 효율적으로 대비할 수 있습니다. 크게 사고 전 준비 단계, 사고 탐지 및 분석 단계, 사고 해결 및 사후 처리 단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사고 전 준비 단계에서는 어떤 자산에 어떤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사고의 유형, 서비스, IT 인프라 별로 대응할 세부 계획과 담당자를 정해야 하고, 역할과 책임이 적절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