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콘텐츠가 궁금하신가요?
이제 AI는 이전의 ‘IoT(Internet of Things)’라는 용어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우리에게 익숙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AI가 완전히 새로운 경험을 만들기 보다 삶에 스며들어서 일상을 보다 편리하게 혹은 실감나게 하는 역할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현재 AI의 특징과 어느새 우리 생활 속에 스며든 AI 사례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기록의 것들
스크랩
이번 글에서는 현재 운영 중인 공유 킥보드 서비스를 직접 경험해 보고, 사용자 관점에서의 고충 파악과 더 개선할 점은 없는지 등을 파악하고자 노력했다. 이 글을 통해 많은 공유 킥보드 업체가 사용자들에게 더 차별화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insight.coco
여러분은 슬랙(Slack)을 어떻게 사용하시나요? 여러분의 사용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두 문장을 지금 머릿속에 떠올려 보세요. 각자 떠오른 문구는 조금씩 다르겠지만 최고의 제품 경험을 위해 슬랙이 추구하는 5가지 제품 원칙 중 다음 2가지와 가깝다면 매우 기쁠 것입니다. "사용자를 생각하게 만들지 말 것(Don't make me think)"과 "훌륭한 호스트가 될 것(Be a great host)".
요즘IT의 번역글들
배달의민족은 국내 서비스 중에서도 가장 컨셉이 뚜렷한 서비스입니다. 특히 “B급, 키치, 유머"를 키워드로 브랜딩 전략을 펼쳐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습니다 이번 편은 마이크로카피 이야기의 마지막 편으로, 브랜딩 강자로 유명한 배달의민족 UX Writing에 대해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배민(우아한 형제들)의 조직 문화는 UX Writing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 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켈리폴리
이번 글은 커머스 시리즈의 마지막 편입니다. 오늘은 커머스에서 소비자의 지갑을 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신뢰도를 주는 방법과 이를 각 서비스들이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노코드와 관련된 강의를 하면 제일 많이 물어보시는 질문이 바로 "어떤 노코드 툴을 써야 하나요?"입니다. 오늘은 각 목적별로 입문자에게 가장 적합한 툴을 추천드려보겠습니다. 소개드린 툴로 입문하시되, 각자 상황과 니즈에 따라 추가적으로 원하시는 게 생기면 그때는 직접 사용해보시면서 범위를 넓혀가세요.
장병준
‘IT 상식사전’ 시리즈에선 언론과 비즈니스 현장에 자주 등장하는 IT 용어와 개념들을 소개합니다. 대신 입문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우리에게 익숙한 인문학적 내용을 접목해 풀어갈 예정입니다. 오늘은 메타버스 서비스의 원조, 세컨드라이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김동훈
MZ 세대를 겨냥한 숏폼 콘텐츠 및 서비스의 경우, 트렌드에 민감한 패션 업계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이벤트성으로 제공하는 콘텐츠 범위에서 벗어나, 앱 내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패션 및 뷰티 숏폼 사례와 기타 다른 분야에서 활용되는 숏폼 콘텐츠를 살펴보겠습니다.
뉴봄이
저번 글에서는 마이크로 카피의 개념과 중요성, 그리고 토스의 사례를 통해 마이크로카피가 적용된 서비스를 소개했습니다. 오늘은 마이크로카피를 서비스 곳곳에 적용하고 있는 왓챠의 UX Writing 사례와 그들의 조직 문화는 어떻게 UX Writing에 영향을 주었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목표를 세운다. 2019년 12월 옥션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10명 중 95%가 새해 결심을 세웠다고 답했다. 하지만 2017년 UCLA 대학의 조사 결과엔 연말까지 새해 결심을 이뤄낸 사람은 단 8%이다. 이 중 25%는 일주일 만에 새해 결심을 지키지 못했다. 이처럼 새해 목표는 한순간의 다짐일 뿐, 끝까지 이어지기 어렵다. 오늘은 자신만의 습관을 형성해, 목표를 이룰 수 있게 관리해주는 마이루틴에 대해 살펴보자.
김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