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데이터 산업에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해서 본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표에 정리했을 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어떻게 표현될까요? 표에서 어떤 열의 값이 변할 때 함께 변하는 다른 열이 있고, 이러한 상황이 해당 열에 모두 적용된다면 두 변수는 서로 엮여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모습은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로 나뉘며,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모든 인과관계는 상관관계이지만, 모든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깥 기온이 높아질수록 실내 에어컨 온도가 낮아진다면, 실내 온도에 따라 실내 에어컨 온도가 변화해 둘은 인과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22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는 ‘디자이너’라는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서비스명부터 디자이너가 포함된 이 서비스는 프레젠테이션, 엽서, 포스터, 초대장 등 다양한 그래픽을 위한 디자인 생성해 주며, 국내에도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캔바(Canva)와 유사한 웹 앱입니다.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면 서비스가 모두 인공지능(AI)으로 구동된다는 점으로,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와 OpenAI의 텍스트/이미지 생성 AI인 ‘DALL-E 2’를 활용하여 디자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매니지먼트는 프로젝트 관리, 팀 관리, 프로세스 관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 관리는 출시 시기와 중점을 둬야 하는 일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두 번째는 팀 관리, 즉 사람 관리입니다. 세 번째로 프로세스 관리입니다. 진행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주니어 개발자로 입사하면 처음에는 주어진 일을 하며, 개발 방법과 개발 주기를 배웁니다. 연차가 높아질수록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 직원을 관리하는 방법, 좋은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고민하며 성장합니다. 이 단계를 거쳐야 좋은 시니어 개발자가 되거나 좋은 개발 팀장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백서는 기업의 리더, 아키텍트 및 플랫폼 팀 리더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기업 내부 플랫폼을 지지하고, 조사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플랫폼은 실제로 기업의 실제 가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표면적으로는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플랫폼 팀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성공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합의와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이 백서에서는 플랫폼의 가치가 무엇인지, 그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 가치를 극대화하는 플랫폼 팀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경영진 및 플랫폼 사용자 등 관계자들의 지원이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프론트엔드 성능은 사용자 경험과 웹사이트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페이지가 로드되는 속도나 반응성,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 등을 말합니다. 웹사이트의 성능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예를 들어, 빠른 로딩 속도는 웹사이트의 서비스에 필요한 파일 크기와 개수, 웹사이트의 응답 속도,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와 같이 성능을 판단하는 요소들을 성능 지표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웹사이트 성능 지표를 판단할 수 있는 구글의 ‘Core Web Vitals’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난해 카카오뱅크는 인터넷은행 중 최초로 본인확인기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전자문서중계자, 전자서명인증사업자 등 정부 인증 라이선스 3종을 모두 획득했는데요. 모회사인 카카오와 형제 회사인 카카오페이가 하고 있던 사업에 뛰어든 것인데, 왜 직접 나서게 됐는지 궁금해졌습니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니 헷갈리는 개념이 많았는데, 카카오가 하고 있는 본인인증과 카카오뱅크의 본인인증 사업은 뭔가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을 통해 우리나라의 복잡한 인증 사업 영역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꼭 금융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IT 서비스를 기획하는 분들께 도움이 될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디지털 전환이 본격화되면서, 소프트웨어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고 인공지능이나 블록체인과 같은 신기술의 시드 기술을 제공하는 오픈소스 사용은 필수가 되었다. 오픈소스는 비즈니스 생태계에 파괴적인 혁신을 초래하며, 다양한 참여자들의 소프트웨어 시장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있다. 오픈소스라고 하면 이름 때문에 아무런 제약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실제 실무 환경에서는 생각보다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많다. 이번 글에서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