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프로그래밍 언어는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상황에 따라 중요도는 다르겠지만 보통 1)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2) 코드의 성능(실행 속도, 안정성) 3) 지원되는 기능 4) 용이한 유지 보수 5) 사용하기 쉬운 정도 6) 사용하는 개발자의 수(인기도) 등의 기준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어떤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장 많이 쓰고 있는지가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 살펴볼 티오베는 티오베 지수(Tiobe Index)를 통해, 매월 프로그래밍 인기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과연 티오베는 어떤 방법으로, 그리고 왜 이런 지표를 만들었을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데이터 산업에서 데이터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해서 본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표에 정리했을 때,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는 어떻게 표현될까요? 표에서 어떤 열의 값이 변할 때 함께 변하는 다른 열이 있고, 이러한 상황이 해당 열에 모두 적용된다면 두 변수는 서로 엮여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모습은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로 나뉘며,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모든 인과관계는 상관관계이지만, 모든 상관관계가 인과관계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바깥 기온이 높아질수록 실내 에어컨 온도가 낮아진다면, 실내 온도에 따라 실내 에어컨 온도가 변화해 둘은 인과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니지먼트는 프로젝트 관리, 팀 관리, 프로세스 관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프로젝트 관리는 출시 시기와 중점을 둬야 하는 일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두 번째는 팀 관리, 즉 사람 관리입니다. 세 번째로 프로세스 관리입니다. 진행하는 과정을 관리하는 기술입니다. 주니어 개발자로 입사하면 처음에는 주어진 일을 하며, 개발 방법과 개발 주기를 배웁니다. 연차가 높아질수록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 직원을 관리하는 방법, 좋은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방법을 고민하며 성장합니다. 이 단계를 거쳐야 좋은 시니어 개발자가 되거나 좋은 개발 팀장이 될 수 있습니다.
이 백서는 기업의 리더, 아키텍트 및 플랫폼 팀 리더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기업 내부 플랫폼을 지지하고, 조사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합니다. 플랫폼은 실제로 기업의 실제 가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치지만, 표면적으로는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플랫폼 팀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성공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합의와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이 백서에서는 플랫폼의 가치가 무엇인지, 그 가치를 측정하는 방법, 가치를 극대화하는 플랫폼 팀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경영진 및 플랫폼 사용자 등 관계자들의 지원이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프론트엔드 성능은 사용자 경험과 웹사이트의 성공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방문했을 때 페이지가 로드되는 속도나 반응성,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 등을 말합니다. 웹사이트의 성능은 다양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는데요. 예를 들어, 빠른 로딩 속도는 웹사이트의 서비스에 필요한 파일 크기와 개수, 웹사이트의 응답 속도, 네트워크 연결 상태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와 같이 성능을 판단하는 요소들을 성능 지표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웹사이트 성능 지표를 판단할 수 있는 구글의 ‘Core Web Vitals’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