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 담당자는 서류 전형에서 이력서를 본 다음 포트폴리오를 봅니다. 서류를 보는 순서는 대수롭지 않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대수로이 봐야 합니다. 다음 채용 전형 단계로 넘어가려면, 포트폴리오 유무와 관계없이 이력서에서 승부를 봐야 하거든요. 당연한 말처럼 보이나요? 그러나 이력서로 승부를 보려 하지 않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포트폴리오를 힘주어 만들고 정작 이력서는 부실한 거죠. 특히 신입 개발자는 아무래도 이력서를 만들기 어려우니, 포트폴리오로 스스로를 더 자세히 표현하려고 하는 듯 합니다. 크나큰 실책입니다. 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흔히 하는 실수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서 디자이너와 협업할 일이 많습니다. 피그마(Figma)는 이러한 협업을 원활하게 해주는 툴로서 현재 다양한 UI/UX 디자인에 사용되고 있는데요. 개발자가 피그마를 활용하면, 디자인을 코드로 변환하는 작업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개발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피그마는 1인 개발이나 소규모 프로젝트에서 빠르게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피그마의 기본 개념을 살펴보고, 개발자 관점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과 활용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