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개발
‘캐노니컬 태그(Canonical tag)’는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 검색엔진 최적화)’ 개선을 위한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웹마스터 또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마케터 등 외부 링크를 관리하는 직군이 알면 좋은 개념이다. 한 줄짜리 캐노니컬 태그가 어떤 영향력을 가졌는지 같이 알아보자.
jiwon.me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네트워크 이슈만큼 원인을 추적하기 어려운 이슈는 아마 없을 겁니다. 간헐적인 네트워크 이슈들은 전반적인 패킷의 흐름을 수집하고 분석하면서 어느 구간에서 언제 문제가 생기는지를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WS에서 제공하는 VPC Flow logs를 네트워크 문제 분석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앨든
이번 글에서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의 객체지향은 일반적인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Javascript에서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게 좋을지 한번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테오의 프론트엔드
이번 포스트에서는 최근에 개선하고 싶은 부분을 고민하면서 설계 초안을 만들었던 내용을 공유해보려 합니다. 주제는 API의 에러 응답 처리 방법입니다. 오래전에 만들어진 제품을 유지 보수하는 기존 프로젝트를 개편하기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 형태로 만들고 있는데요. 신규 프로젝트는 유지보수성을 높여 지속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기존에 느꼈던 유지보수성을 저해하는 요소를 최대한 개선하고 API 에러 처리도 체계를 잡아보려 합니다.
화해팀
오늘 인터뷰의 주인공은 넥스트유니콘의 이신호 개발자입니다. 넥스트유니콘은 스타트업과 전문투자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 '넥스트유니콘'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9,000여 개 스타트업 및 800여 개의 투자 기관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요즘IT
WSL2에서는 ‘shutdown’으로 재부팅을 하거나 로컬 PC를 재부팅하면, 매번 IP 주소를 새로 할당받습니다. 로컬호스트(127.0.0.1)로도 동작하기 때문에, 큰 이슈 없이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하지만 여러 VM을 올려서 사용하거나, 로컬 PC 외부와 통신하면서 사용하시는 분들에게는 매번 IP 주소가 바뀐다는 자체가 매우 성가실 수밖에 없습니다. WSL2 환경에서 IP가 고정되지 않아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결해 보겠습니다.
넷마블 기술 블로그
테크니컬 라이터는 보통 기술 문서를 다루는 직군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기술 문서 작성 이외에도 할 수 있는 많은 일이 있습니다만, 이건 다음 기회에 전해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WSL2를 쓰면서 마주했던 몇 가지 이슈와 팁을 소개합니다.
지금 현재 개발하는 상황을 보면 TypeScript는 피할 수 없는 하나의 대세가 된 것 같습니다. TypeScript가 나온 이후로 점점 TypeScript로 만들어지고 있는 라이브러리나 코드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고 아직도 상승 중입니다. 과연 TypeScript는 어떠한 언어이고 그리고 현재 TypeScript는 어떤 위치인지 TypeScript를 배우거나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접근을 하면 좋을지 한번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개발자인가요? 최고의 개발자는 평범한 개발자보다 실제로 10배 이상 뛰어납니다. 초급 개발자로 구성된 팀 하나보다 10x 개발자가 더 빠른 결과물과 더 많은 가치를 제공합니다. 어떻게 이것이 가능할까요? 사람이 많을수록 더 좋은 것 아닌가요?
요즘IT의 번역글들
오늘의 주인공은 디몬스터의 이창민 개발자입니다. 디몬스터는 웹, 모바일, 앱, 오프라인 윈도우, ERP 프로그램 등을 개발한 개발 전문 회사로 많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경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