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아이콘을 직접 제작해 활용할 수 있으면 좋지만, 스타트업이나 사이드 프로젝트에서는 이런 환경을 갖추지 못할 때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렇다고 이곳저곳에 올라온 기본 아이콘을 쓰기에는 일관성 있는 스타일이 아니라 마음에 들지도 않고요. 오늘은 280여 개 기본 아이콘을 3가지 스타일에 따라 확인하고 각각 SVG, JSX 포맷으로 복사해 활용할 수 있는 곳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특히 피그마 파일을 별도로 지원해 피그마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바로 ‘heroicons’입니다.
사용자의 60% 정도가 처음 2개의 스크린샷을 확대하거나 자세히 살펴보지 않습니다. 바꿔 말하면 첫 번째와 두 번째 스크린샷으로 시선을 사로잡지 못하면 이후 스크린샷은 사용자에게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최근 앱에서는 초반에 사용자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파노라마 스크린샷을 보여주거나 가로형 그래픽을 활용하는 일이 많습니다. 첫 스크린샷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노력은 모두 상세페이지 진입 후 설치 전환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피그마의 레이아웃 툴인 Autolayout과 Constraint를 활용해 반응형 UI 디자인 방법을 설명할 예정이다. 두 기능이 의미 있는 이유는 이를 통해 개발자의 코드와 유사한 원리로 화면을 기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디자인이 실제로 잘 구현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가 어떤 체계와 의도로 화면을 구성했는지 개발자에게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레이아웃의 크기나 콘텐츠의 변화에 따른 모든 케이스를 화면으로 전부 그리거나 글로 설명하지 않아도 Autolayout과 Constraint 기능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다.
무료 스톡 이미지 제공 사이트의 작은 문제가 있다면 워낙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어 종종 동일한 이미지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인데요. 저 역시 헤더 이미지를 이곳에서 다운로드하여 적용했는데 유사 서비스에도 같은 이미지가 적용된 것을 보고 얼른 교체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래서 대체할 수 있는 곳을 찾기 위해 노력했고, 드디어 음식, 사람, 스타트업 등 세 가지 특정 분야에 관한 스톡 이미지를 제공하는 각각의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지금 바로 소개하겠습니다!
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우리가 특정한 몇 개의 컬러와 잘 어울리는 색을 찾는 건 어려운 일입니다. 저는 이럴 때 주로 컬러 조합을 쉽게 생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는데, 오늘 살펴볼 ‘Reverb’ 서비스도 앞선 어려움을 조금이나마 줄여주는 컬러 조합 서비스입니다. 이곳이 매력적인 이유는, 컬러는 물론 그라데이션 생성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미지를 통한 컬러 추출과 특정 컬러를 검색한 뒤 어울리는 색을 찾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 자세한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