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옵니다. 여느 직장인이라면 모두 연말정산, 13번째 월급을 준비하는 시기가 왔습니다. 금융사들의 영업이 한창 바빠지는 시기이기도 하죠. 다만 금융사의 연말정산 관련 상품들은 은퇴, 연금수령까지 5~6년 정도 남은 말년 부장이나 수석이라면 매력적일 수도 있겠지만, 은퇴 혹은 연금수령까지 대략 20~30년 이상 남은 스타트업의 젊은이들에게는 사실 좀 먼 나라 얘기일 듯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또 다른 종류의 연말정산(?) 방법을 안내해 보려고 합니다. 바로 개인투자조합 출자입니다. 그리 바람직한 명제일 지는 모르지만 ‘인생은 한방이지’라든가, ‘하이리스크 하이리턴’ 이라든가, ‘당장의 연봉보다 스톡옵션을 통한 미래 이익을 기대’하는 분들이라면 결이 맞을 수도 있습니다.
얼마 전 와이콤비네이터에 참가한 한 스타트업이 실리콘밸리 개발자 및 오픈소스 커뮤니티를 발칵 뒤집어놓는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오픈소스 AI 코드 에디터’를 내세운 스타트업 PearAI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PearAI의 창업자 듀크 팬 (Duke Pan)은 오픈소스의 철학을 자신들의 제품뿐 아니라, 제품 개발 과정 전반에 적용하겠다며 관련 유튜브를 함께 공개했습니다. 여기에서 당당하게 자신들의 AI 코딩 에디터가 VSCode와 Continue.dev의 ‘클론’이라고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습니다. 문제는 Pear AI가 오픈소스인 원 프로젝트에 Pear Enterprise License라는 자체 폐쇄 라이선스를 붙인 것이 알려지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냉정한 비즈니스 세계에서 영원한 내 편이란 없습니다. 이해관계에 따라 오늘의 내 편이 내일의 적이 될 수 있고, 그 반대가 될 수도 있죠. 지난 몇 년 동안 가장 크게 주목받은 비즈니스 협업 사례는 단연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의 파트너십입니다. 두 회사 모두 협력 관계에서 발생한 강점을 바탕으로, 생성형 AI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죠. 2019년부터 두 회사는 든든한 파트너로 관계를 유지해 왔는데요. 최근 두 회사의 관계에 조금씩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의 관계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