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코딩 도구, 이제 ‘생산성’ 이야기를 넘어 ‘문제 해결’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지난 1회차 클코 나잇에서는 “코드 생산성 향상”과 “팀 표준화”를 중심으로 살펴봤다면, 이번 딥다이브 세션은 조금 더 깊이 들어갑니다.
대규모 마이그레이션, 실시간 장애 복구, AI 에이전트 간 협업 오케스트레이션 등 누구나 한 번쯤 부딪히는 “진짜 실무 문제”를 클로드 코드(Claude Code)로 어떻게 뚫어냈는지를 다룹니다.
이론 강의가 아닙니다. 위기 극복, 시스템 이관, 자동화 실험 등 직접 써본 개발자들의 리얼 경험담이 기다립니다.
이번 밤엔, 클로드 코드가 단순한 ‘코드 작성 도우미’를 넘어 ‘난제 해결의 무기’로 작동한 순간들을 함께 뜯어봅니다.

발표자: 조영록 (주) 대교 풀스택 엔지니어(깃헙 링크)
사내 VOC 대응 과정에서 API 요청/응답을 암복호화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했습니다. 하지만 공개된 웹서비스에서 암호화 키를 사용하는 것은 보안상 큰 부담이었습니다. 그래서 클로드 코드와 반복적인 대화를 통해 코드를 수정하고 실험하는 과정을 거쳐, 웹 환경 대신 로컬에서 암/복호화를 수행하는 데스크톱 앱 RiSA를 직접 개발했습니다. 이 작은 도구가 동료들이 안심하고API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도운 구체적인 과정과 함께, Claude Code가 이 개발 과정을 얼마나 단축시켜 주었는지 그 과정을 공유합니다.
발표자: 노성현 와탭랩스 개발자
클로드 코드를 개발, QA, 리뷰어, 문서 작성 등 다양한 역할로 나눠 업무를 줬더니 결과물은 좋았지만, 매번 수동으로 결과를 다음 에이전트에게 넘겨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각 에이전트들끼리 자동으로 소통하게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라는 고민에서 시작된 이 실험을 공유합니다. LangGraph 를 적용해 복잡한 협업 단계를 정의하고, tmux의 sendKey를 활용해 에이전트들이 서로 대화를 주고받게 만든 심화적인 적용 사례를 다룹니다다. 수동 작업을 없애고 AI 에이전트들이 자율적으로 프로세스를 완료하게 만든 시스템 오케스트레이션의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발표자: 김형중 콩콩프렌즈 개발자
사수 없는 개발자 2년차에게 기존 실시간 투표 시스템에 문제가 생겨 거래 끊길 위기가 생겼습니다. 해결을 위해 단 일주일이 주어졌습니다.Redis, MySQL, SSE를 활용해 급하게 서비스 구축을 시작했고, 클로드에게 불필요한 파일 확인 작업을 줄이기 위해 문서 분할/압축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습니다. 심지어 프론트와 백엔드 간의 오류 상황을 문서로 작성해 클로드에게 읽게 하여 해결하는 방식으로 3일 만에 기능을 완성한, 가장 드라마틱한 실전 시스템 복구 썰을 공개합니다.
발표자: 조영철 개발자
레거시 MSSQL 마이그레이션부터 운영 모니터링까지 엔터프라이즈급 실무 기능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기입니다. Java와 Streamlit을 활용해 이관 진행률, 실행 중 프로세스, 로그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구현했으며, 테이블 정의서/이행결과서 Excel 자동 생성으로 산출물 표준화까지 달성했습니다. 카카오톡/이메일 기반 토큰으로 안전한 접근을 설계하는 등,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구조적 접근 노하우를 공개합니다. 실제 시연 중심으로 구성해 데이터베이스 생애주기 과정(설계, 개발, 테스트, 문서화, 운영, 자연어 SQL로변환, 모니터링)을 중점적으로 공유할 예정입니다.
이전 클코 나잇과 동일하게, 가장 낮은 장벽으로 심화 경험을 나눕니다.

요즘IT에서 만나보고 싶은 다음 세미나 주제는?
여러분의 목소리가 세미나를 만듭니다. 다음 우리의 밤에 나누고 싶은 이야기를 알려주세요!
요즘IT 클코 나잇은 강의가 아니라 경험담을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실무에서 직접 부딪친 IT 실무자들의 삽질기와 성공기를 만나보세요.
코드 에디터의 종말을 넘어, AI를 난제 해결의 무기로 활용할 동료를 클코 나잇 딥다이브에서 기다립니다!
©️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