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IT
위시켓
새로 나온
인기요즘 작가들컬렉션
물어봐
새로 나온
인기
요즘 작가들
컬렉션
물어봐
개발
AI
IT서비스
기획
디자인
비즈니스
프로덕트
커리어
트렌드
스타트업
서비스 전체보기
위시켓요즘IT
고객 문의
02-6925-4867
10:00-18:00주말·공휴일 제외
yozm_help@wishket.com
요즘IT
요즘IT 소개작가 지원
기타 문의
콘텐츠 제안하기광고 상품 보기
요즘IT 슬랙봇크롬 확장 프로그램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위시켓
대표이사 : 박우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11 3층 ㈜위시켓
사업자등록번호 : 209-81-57303
통신판매업신고 : 제2018-서울강남-02337 호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J1200020180019
제호 : 요즘IT
발행인 : 박우범
편집인 : 노희선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우범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54129
등록일 : 2022년 01월 23일
발행일 : 2021년 01월 10일
© 2013 Wishket Corp.
로그인
요즘IT 소개
콘텐츠 제안하기
광고 상품 보기
개발

나는 왜 계속 불안할까? 개발자를 위한 불안 관리법

고코더
7분
3시간 전
386
에디터가 직접 고른 실무 인사이트 매주 목요일에 만나요.
newsletter_profile0명 뉴스레터 구독 중

"내일도, 모레도 개발자로 먹고 살 수 있을까?"

 

여러분도 혹시 미뤄둔 코딩 생각에 잠 못 이룬 적이 있나요? 혹은 회사에서 새로운 기술 스택으로 전환한다는 한마디에 심장이 철렁했다거나, 동기가 빅테크에 이직했다는 소식에 스스로 뒤처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 적은요? 아마 개발자라면 누구나 비슷한 불안을 경험했을 것 같습니다.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빨리 변하고, 어제의 전문가가 오늘의 초보자가 되는 세상입니다. 프레임워크와 언어는 계속 새로운 버전을 발표하고, AI가 쓴 코드는 나날이 퀄리티가 좋아지고 있죠. 이러한 환경에서 불안을 느끼는 건 당연합니다. 오히려 불안을 느끼지 않는다면 더 이상한 일이죠.

 

하지만 불안이 늘 나쁜 건 아닙니다. 불안은 오히려 우리를 더 나은 개발자로 만들어 주는 에너지가 될 수도 있죠. 중요한 건 불안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있으며,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개발자에게 불안이 더 크게 느껴지는 이유?

<출처: 픽사베이>

 

원시 시대 인류는 맹수의 위협 속에서 살았습니다. 그들의 생존은 위험을 미리 감지하고, 대비하는 능력에 달려 있었죠. "저 풀숲에 뭔가 있는 것 같은데?"라는 걱정이 인류의 생존을 지켰습니다. 그래서 불안과 걱정은 인류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생존 본능이죠.

 

오늘날 개발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맹수가 아니라 다른 형태의 위협을 마주할 뿐이죠.

 

  • 서비스 장애: "배포한 코드에 버그가 있으면 어쩌지?"
  • 기술 낙오: "요즘 다들 쿠버네티스를 쓴다는데, 나는 도커도 제대로 못 하는데..."
  • 커리어 단절: "나이 들면 코딩 못 한다던데, 30대 중반인데 괜찮을까?"
  • AI의 위협: "ChatGPT가 코드를 짜는데, 내 일자리는 안전할까?"

 

이러한 불안은 개발자라는 직업의 특성에서 비롯됩니다. 우리는 항상 불확실성과 싸우고, 보이지 않는 버그를 찾으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술을 따라잡아야 하는 직업군입니다. 따라서 불안은 결코 '이상한 것'이 아니라, 직업적 숙명에 가깝습니다.

 

실제로 스택오버플로우의 2024년 개발자 설문조사에 따르면, 개발자의 70% 이상이 '기술 부채’를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여러분만 불안한 게 아니라, 모두가 불안합니다.

 

 

걱정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방법은?

<출처: 픽사베이>

 

심리학 연구자 케이트 스위니 교수는 "걱정은 동기부여와 감정적 완충제 역할을 한다”고 말했습니다. 걱정이 우리를 마비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행동하게 만든다는 뜻이죠.

 

생각해 보세요. 배포 전날 밤잠을 설치며 코드를 한 번 더 점검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요? 새로운 프레임워크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게 만드는 것은? 코드 리뷰를 더 꼼꼼히 보게 만드는 것은? 바로 불안입니다.

 

불안은 우리를 대비하게 만듭니다.

  • 코드 리뷰를 더 꼼꼼히 보게 합니다.
  • 새로운 기술을 학습하게 합니다.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합니다.
  • 문서화를 제대로 하게 합니다.
  • 백업 플랜을 준비하게 합니다.
  • 커리어의 리스크를 줄이도록 행동하게 합니다.

 

불안이 없다면 우리는 안일해지고, 준비하지 않게 되며, 결국 더 큰 위험에 노출될 겁니다. 적당한 불안은 오히려 우리를 보호하는 감정적 안전장치죠. 제가 아는 한 시니어 개발자는 "저는 항상 내가 내일 해고되면 어쩌지?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항상 새로운 것을 배우고, 포트폴리오를 업데이트하고, 네트워크를 관리하죠. 이 불안 덕분에 20년간 한 번도 커리어 공백이 없었어요."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니 불안은 적이 아닙니다. 불안은 여러분을 움직이게 하는 연료입니다.

 

 

불안을 다루는 실전 노하우

이론은 충분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불안을 다룰 수 있을까요?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1) 최악을 상상하는 '카렐 공식'

데일 카네기가 소개한 카렐 공식은 간단하지만 강력합니다.

 

  • 최악의 상황을 상상하라: "만약 이 배포가 완전히 실패하면?"
  • 그 상황을 받아들여라: "그래, 서비스가 다운될 수 있어."
  • 최악을 개선할 방법을 찾아라: "롤백 플랜을 준비하고,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핫픽스 프로세스를 점검하자."

 

실제로 제가 이끄는 팀에서는 중요한 배포 전날 밤, 이 공식을 적용했습니다. "최악의 경우 서비스가 2시간 다운된다. 그래도 고객 데이터는 안전하고, 우리는 복구할 수 있다." 이렇게 최악을 구체화하자 오히려 마음이 차분해졌습니다. 실제로 필요한 대비책(롤백 스크립트, 긴급 연락망, 고객 공지 템플릿)을 꼼꼼히 준비할 수 있었죠.

 

최악을 상상하는 것은 비관이 아니라 현실주의입니다. 막연한 불안이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바뀌면, 불안은 자연스럽게 줄어듭니다.

 

2) 사소한 건 사소하게 여기기

모든 것에 하나하나 신경 쓰다 보면 결국 번아웃에 빠집니다. 그래서 정말 중요한 문제와 그렇지 않은 문제를 구분해야 합니다.

 

정말 중요한 것:

  • 보안 취약점
  • 데이터 손실 위험
  • 사용자 경험을 망치는 버그
  • 팀의 생산성을 저해하는 기술 부채

 

사소한 것:

  • 코드 스타일 논쟁
  • 최신 프레임워크를 당장 배우지 못한 것
  • 동료보다 늦게 승진한 것
  • 기술 블로그에 글이 한 달동안 올라가지 않은 것

 

한 주니어 개발자는 코드 리뷰에서 받은 사소한 피드백에 며칠씩 고민하며 자존감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변수명을 data가 아니라 userData로 바꾸라는 피드백을 받았는데, 왜 그런 기본적인 것도 모르고 있었을까 자책했어요. 밤새 내 코드를 다시 보며 '나는 개발자로서 부족한가?'라는 생각에 잠도 못 잤습니다."

 

하지만 시니어 멘토의 조언을 듣고 관점이 바뀌었죠. "변수명 하나 때문에 며칠을 고민할 시간에, 차라리 새로운 기능을 하나 더 만들어 봐. 코드 리뷰는 비판이 아니라 학습의 기회야. 시니어 개발자들도 매일 코드 리뷰에서 지적받고, 그게 바로 성장하는 과정이야."

 

또 다른 개발자는 동료가 먼저 승진했다는 소식에 한 달 내내 의욕을 잃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 동료와 자신은 맡은 프로젝트도, 성장 속도도, 목표도 달랐습니다. 단지 승진 시기만 비교했을 뿐이었죠.

 

미국의 심리학자 리차드 칼슨의 「Don't Sweat the Small Stuff(사소한 것에 연연하지 마라)」라는 책처럼, 모든 전투에서 싸울 필요는 없습니다. 모든 피드백에 상처받을 필요도 없고, 타인과 계속 비교할 이유도 없습니다. 사소한 것에 너무 연연하지 마세요. 모든 상황에서 늘 승리자가 될 순 없으니까요.

 

3) 나만의 속도 찾기

우리 사회에는 '사회적 시계'라는 게 있습니다.

 

  • "30대엔 시니어가 되어야지."
  • "35세 이전에 테크 리드가 되어야 해."
  • "20대에 코딩을 시작하지 않으면 늦었어."
  • "개발자는 30대 중반까지만 뛸 수 있어."

 

링크드인을 열면 "빅테크 이직 성공!", "시리즈 A 투자 유치!" 같은 소식이 넘쳐납니다. 하지만 그 이면의 이야기는 보이지 않죠. 빅테크에 이직하기까지 50번 넘게 떨어진 이야기, 투자 유치 전에 2년간 적자를 견뎌낸 이야기 말입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소셜 미디어 비교 증후군'이라 부릅니다. 타인의 편집된 성공과 자신의 날것의 일상을 비교하며 부당한 열등감을 느끼는 현상이죠. SNS는 현실이 아니라, 성공 하이라이트만 모아둔 공간임을 잊지 마세요.

 

하지만 이런 기준은 대부분 허구입니다. 실제로 제 주변의 성공한 개발자들의 커리어를 보면 모두 제각각입니다. 37세에 코딩을 시작해서 42세에 구글 시니어 엔지니어가 된 지인, 주니어로 7년을 보낸 후 갑자기 리드 개발자가 된 동료, 40대에 스타트업을 창업해서 성공한 케이스까지 말이죠. 

 

그래서 비교는 독입니다. 어떤 개발자는 20대에 폭발적으로 성장해서 빠르게 시니어가 됩니다. 반면, 어떤 개발자는 천천히 기초를 다지며 30대에 꽃을 피웁니다. 또 어떤 사람은 스타트업에서 빠른 성장을 경험하고, 어떤 이는 대기업에서 안정적으로 커리어를 쌓아갑니다. 모두 각자의 경주를 하고 있는데, 왜 같은 기준으로 비교 받아야 할까요?

 

  • 빠르게 성장하는 것보다 꾸준히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남들의 기준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커리어 리듬을 설정하세요.
  • "30대 안엔 꼭 창업해야 해" → "나만의 목표를 설정하고 창업하자."
  • "지금 이 기술을 배워야 해" → "내 커리어에 필요한 기술부터 배우자."
  • 중요한 건 남보다 빠른 것이 아니라, 어제의 나보다 나아지는 겁니다. 본인만의 속도를 유지하는 것이죠.

 

 

불안은 창작과 성장의 원천이다

역사를 돌아보면, 인류의 위대한 발명은 대부분 불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무기: 맹수와 적으로부터 생존하고 싶다는 불안
  • 피임약: 원치 않는 임신에 대한 불안
  • 백신: 질병에 대한 불안
  • 보험: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

 

걱정은 창의성을 촉발합니다. 문제를 예상하고, 해결책을 찾고, 더 나은 시스템을 만들려는 동력이 됩니다. 실제로 불안이 없었다면 탄생하지 못했을 기술이 수두룩합니다. 자동차의 에어백은 충돌 사고에 대한 불안에서, 암호화 기술은 정보 유출에 대한 불안에서, 클라우드 백업은 데이터 손실에 대한 불안에서 나왔습니다. 불안은 우리를 안주하지 못하게 만들고, 끊임없이 더 나은 방법을 찾게 합니다.

 

개발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불안은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하게 만드는 창작의 에너지가 되죠.

 

불안은 우리를 더 나은 개발자로 만듭니다:

  • 장애에 대한 불안 → 더 안전한 시스템을 설계하게 합니다.
  • 버그에 대한 불안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고 코드 품질을 높입니다.
  • 유지보수에 대한 불안 → 클린 코드와 문서화를 신경 쓰게 합니다.
  • 기술 낙오에 대한 불안 → 지속적으로 학습하게 만듭니다.
  • 커리어 단절에 대한 불안 → 네트워크를 관리하고 포트폴리오를 만들게 합니다.

 

제가 아는 한 개발자는 "나는 항상 이 코드를 6개월 후에 다시 볼 때 내가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불안을 가지고 코드를 씁니다. 그래서 주석을 달고, 변수명을 명확히 하고, 함수를 작게 나누죠. 이런 불안 덕분에 우리 팀의 레거시 코드는 유지보수하기 쉽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불안은 혁신의 씨앗입니다. 불안을 너무 억누르려고 하지 마세요. 대신 불안을 연료 삼아 더 나은 시스템을, 더 나은 코드를, 더 나은 커리어를 만들어 가세요.

 

 

불안과 함께 성장하기

<출처: GPT 생성>

 

개발자로 산다는 것은 불안과 함께 산다는 것입니다. 기술은 계속 변하고, 요구사항은 계속 바뀌며, 버그는 예고 없이 찾아옵니다. 이 불확실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죠.

 

하지만 불안을 굳이 제거할 필요가 있을까요?

  • 불안은 당신만 느끼는 게 아닙니다. 모두가 느낍니다.
  • 불안은 적이 아닙니다. 당신을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입니다.
  • 불안을 억누르지 마세요. 대신 그것을 행동으로 전환하세요.

 

최악을 상상하고, 사소한 것은 놓아주고, 나만의 속도를 찾으세요. 그리고 불안을 연료 삼아 더 나은 개발자로 성장하세요. 어느 날 갑자기 CTO가 새로운 기술 스택 이야기를 꺼낼 수도 있습니다. 동료는 화려한 이직 소식을 전할 거고, 그럴 때마다 우리는 또 불안을 느낄 겁니다. 그래도 괜찮습니다. 그 불안이 여러분을 준비하고, 행동하게 만들고, 또 성장하게 할 테니까요. 

 

불안은 개발자의 적이 아니라, 가장 충실한 동반자임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요즘IT 독자 이벤트]

  • 현재 요즘IT X에서 고코더 작가 님의 <또 너무 과하게 걱정하고 계시네요 다 잘될 겁니다> 도서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으니,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세요!

 

 

<참고 자료>

  • Developers want more, more, more: the 2024 results from Stack Overflow’s Annual Developer Survey
  • 고코더(이진현). (2025). 또 너무 과하게 걱정하고 계시네요 다 잘될 겁니다. 빅마우스.

 

©️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