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IT
위시켓
새로 나온
인기요즘 작가들컬렉션
물어봐
새로 나온
인기
요즘 작가들
컬렉션
물어봐
개발
AI
IT서비스
기획
디자인
비즈니스
프로덕트
커리어
트렌드
스타트업
서비스 전체보기
위시켓요즘IT
고객 문의
02-6925-4867
10:00-18:00주말·공휴일 제외
yozm_help@wishket.com
요즘IT
요즘IT 소개작가 지원
기타 문의
콘텐츠 제안하기광고 상품 보기
요즘IT 슬랙봇크롬 확장 프로그램
이용약관
개인정보 처리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위시켓
대표이사 : 박우범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11 3층 ㈜위시켓
사업자등록번호 : 209-81-57303
통신판매업신고 : 제2018-서울강남-02337 호
직업정보제공사업 신고번호 : J1200020180019
제호 : 요즘IT
발행인 : 박우범
편집인 : 노희선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우범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아54129
등록일 : 2022년 01월 23일
발행일 : 2021년 01월 10일
© 2013 Wishket Corp.
로그인
요즘IT 소개
콘텐츠 제안하기
광고 상품 보기
개발

“내 AI 활용 능력은 몇 점?" AI 핵심 역량 5가지

데브오웬
11분
2시간 전
323
에디터가 직접 고른 실무 인사이트 매주 목요일에 만나요.
newsletter_profile0명 뉴스레터 구독 중

AI를 '잘 쓴다'는 것의 의미

 

요즘은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AI 도구와 모델이 쏟아져 나온다. 우리는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아이디어를 얻고, 코드를 작성하며, 문서를 요약하는 등 여러 방식으로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있다. 그런데 정작 “AI를 얼마나 잘 활용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쉽게 답하기가 어렵다. 어떤 순간에 AI의 도움을 받는 게 효과적인지, 또 사람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성과가 좋아지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뚜렷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순히 최신 AI 도구를 많이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실제 업무 현장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만들어 내려면 ‘AI 활용 능력’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키워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AI가 업무에 활용되는 영역을 나누어 살펴보고, 각 영역에서 어떤 역량이 중요한지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여러분이 자신의 AI 활용 능력을 스스로 점검하고, 필요한 부분을 보강해 AI를 진짜 업무 파트너로 삼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AI 활용 능력을 구성하는 5가지 핵심 역량

AI 활용 능력은 단순한 한 가지 개념으로 설명하기 어렵다. 복잡한 업무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서는 여러 역량이 함께 작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번 글에서는 문제 정의 능력,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능력, 결과 검증 및 개선 능력, 도구 통합 능력, 그리고 윤리·보안 고려 능력으로 나눠서 살펴보자.

 

1. 문제 정의 능력: AI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질문하기

AI 활용의 첫 단추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내가 해결하려는 업무 문제를 AI가 정확히 이해하고 최적의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문제를 구체적이고 적절한 형태로 재구성하는 능력이 바로 문제 정의 능력이다. 추상적이고 모호한 문제를 잘게 쪼개고, AI가 처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과업으로 바꾸는 과정이 핵심이다.


만약 당신이 마케팅팀의 일원이고, 10대를 타깃으로 한 새로운 패션 앱 ‘스타일픽’의 초기 사용자 확보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나쁜 예(추상적인 질문): "10대에게 인기 있는 마케팅 방법을 알려줘."

  • AI 답변 예상: 일반적인 10대 마케팅 전략(SNS, 인플루언서, 챌린지 등)을 나열할 가능성이 높다. 우리 앱의 특성과 상황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원론적인 답변이다.

 

좋은 예(구체적인 문제 정의):

  • 목표: 패션 앱 '스타일픽'의 출시 후 3개월 내 활성 사용자 1만 명 확보
  • 타겟: 15~19세 여성, 패션 트렌드에 민감하며 인스타그램/틱톡 사용률이 높음
  • 핵심 기능: AI 기반 코디 추천, 가상 피팅
  • 질문: "AI 기반 패션 코디 추천 기능을 가진 신규 앱 '스타일픽'이 15~19세 여성을 타겟으로 출시 후 3개월 내 활성 사용자 1만 명을 확보하기 위한 구체적인 인스타그램 및 틱톡 마케팅 캠페인 아이디어 5가지를 제안해줘. 각 아이디어에는 예상 효과와 핵심 성공 지표(KPI)를 포함해줘."


이처럼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AI는 훨씬 더 실용적이고 실행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다. 좋은 문제 정의는 AI 활용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역량이라고 할 수 있다.

한 번에 원하는 답변을 얻기 위해 필요한 항목들을 모두 담아 질문할 수 있으면 가장 좋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게 바로 질문을 작성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면 AI와 여러 번 대화를 주고받으며, 내가 풀어야 하는 문제를 점점 구체화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예를 들어, 질문 마지막에 “내가 더 제공해야 하는 정보가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려줘”라는 문장을 덧붙여 보자. 그러면 AI는 문제를 더 구체적으로 풀기 위해 어떤 정보가 필요한지 안내해 줄 것이다. 이 과정은 일방적인 명령이 아니라, 함께 문제를 풀어가는 동료와 대화하는 느낌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를 더 잘하기 위해서는 2번,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능력이 중요해진다.

 

2.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능력: 원하는 답을 얻어내는 소통의 기술

문제 정의가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에 관한 것이라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어떻게 물어볼 것인가’에 대한 기술이다. 같은 질문이라도 어떤 단어와 문장 구조를 쓰고, 어떤 맥락과 제약 조건을 제공하느냐에 따라 AI의 답변 품질은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스타일픽’ 앱의 틱톡 광고에 쓸 짧은 영상 스크립트 초안을 AI로 작성해 본다고 해보자.

 

Before (개선 전 프롬프트): "스타일픽 앱 틱톡 광고 문구 써줘."

  • AI 답변 예상: "매일 뭐 입을지 고민이라면? 스타일픽을 다운로드하세요! #패션 #코디 #OOTD"
  • 문제점: 너무 평범하고 매력적이지 않다. 앱의 핵심 기능이 드러나지 않는다.

 

After (개선 후 프롬프트): 너는 10대 소녀들의 말투와 유행에 정통한 틱톡 크리에이터 '스타일퀸'이야. 아래 조건에 맞춰 15초짜리 틱톡 챌린지 영상 스크립트를 작성해줘.

  • 앱 이름: 스타일픽
  • 핵심 기능: 내 옷장 속 옷을 촬영해 올리면 AI가 새로운 코디 조합을 10가지 추천해줌
  • 타겟: 옷은 많은데 어떻게 입을지 모르는 10대 여성
  • 영상 컨셉: “옷장 앞에서 한숨 쉬는 장면”으로 시작해서, 스타일픽 앱 사용 후 “완전 새로운 스타일로 변신!”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극적인 장면
  • 필수 포함 요소:
    1. “#옷장파먹기챌린지” 해시태그
    2. “AI가 내 옷으로 코디해줌”이라는 핵심 메시지
    3. 빠르고 경쾌한 K-pop 배경음악 추천
    4. AI 답변 예상: (장면1: 옷방) "하... 작년에 산 이 옷들... 왜 다 촌스러워 보이지?" (자막: 옷태기(옷+권태기) 온 사람) / 
      (장면2: 앱 사용) "AI한테 내 옷들 좀 보여줬더니... 헐, 이런 조합이??" (자막: #옷장파먹기챌린지 시작)
      (장면3: 변신 후) "새 옷 1도 안 사고 스타일 변신 성공! 너도 스타일픽으로 인생 코디 찾아봐!" (BGM: 뉴진스 - Hype Boy)

 

개선된 프롬프트는 AI에게 구체적인 역할(페르소나)을 부여하고, 명확한 목표와 맥락, 제약 조건을 제시함으로써, 훨씬 더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결과물을 이끌어냈다. 이처럼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AI의 잠재력을 최대한 끌어내는 핵심적인 소통 능력이다.

 

정량적인 데이터로 표현할 수 있는 일들뿐만 아니라, 앞서 살펴본 광고 사례처럼 크리에이티브한 영역에서도 AI는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우리가 만들려는 결과물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알고 있다면, 빠르게 여러 개의 프로토타입을 얻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AI가 인간처럼 깊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의견이 다르다. 하지만 기초적인 작업이나 여러 차례의 프로토타이핑은 AI의 도움으로 빠르게 진행하고, 그 후 퀄리티를 높이는 과정은 사람이 맡는 방식이라면 업무 생산성은 확실히 높아질 것이다.

 

그렇다면 AI가 작성해 준 답변을 그대로 믿고 사용해도 되는가? AI는 우리가 프롬프트로 제공한 정보만을 바탕으로 답변하기 때문에, 그 외의 영역에 대한 이해는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결과물은 반드시 사람이 검증하고 개선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 

 

3. 결과 검증 및 개선 능력: 비판적 시각으로 AI 산출물 바라보기

AI는 놀라운 결과물을 만들어내지만, 항상 완벽한 것은 아니다. 때로는 사실이 아닌 정보를 그럴듯하게 꾸며내는 ‘환각(Hallucination)’ 현상을 보이거나, 코드에 미묘한 오류가 숨어 있기도 하다. 따라서 AI가 생성한 결과물을 그대로 믿지 않고, 비판적인 시각으로 정확성과 품질을 점검해 수정하고, 개선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고객 데이터를 분석해 연령대별 평균 구매액을 계산하는 파이썬 코드를 AI에게 요청했다고 가정해 보자.

 

  • AI가 생성한 코드:
import pandas as pd

def calculate_average_purchase(data):
  # 'age'와 'purchase_amount' 컬럼이 있다고 가정
  age_groups = pd.cut(data['age'], bins=[10, 20, 30, 40, 50])
  return data.groupby(age_groups)['purchase_amount'].mean()

 

  • 문제점 발견 (결과 검증):
    • 코드를 실행해보니 10대, 20대, 30대, 40대 그룹은 잘 나오지만, 50세 이상 고객 데이터가 결과에서 누락되는 것을 발견했다.
    • pd.cut 함수의 bins 설정을 살펴보니, [10, 20, 30, 40, 50]으로 지정되어 10세 초과 ~ 20세 이하, 20세 초과 ~ 30세 이하... 와 같이 그룹이 생성되고, 50세를 초과하는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것을 파악했다.

 

  • 수정 및 개선:
import pandas as pd

def calculate_average_purchase_fixed(data):
  bins = [10, 19, 29, 39, 49, float('inf')] # 각 연령대의 끝을 명확히 하고, 50세 이상을 포함하도록 수정
  labels =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age_groups = pd.cut(data['age'], bins=bins, labels=labels, right=True) # right=True로 구간의 오른쪽 경계를 포함
  

 

AI가 만든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잠재적인 문제를 인지하고 테스트하며 더 정확하고 견고한 코드로 개선하는 과정이 바로 결과 검증 및 개선 능력이다. 이는 특히 코드 생성, 데이터 분석, 법률, 의료처럼 정확성이 중요한 분야에서 반드시 요구된다. 이 부분은 AI가 할 수 있는 것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QA(품질 검증)를 거쳐야 한다. 로블록스의 프로덕트 리드인 Peter Yang은 “AI가 70%까지는 데려다 주지만, 나머지 30%는 사람이 직접 채워야 한다”고 말했다. 결국 모두가 비슷한 퀄리티로 70%에 도달하더라도, 남은 30%를 누가 어떻게 채우느냐에 따라 최종 결과물의 수준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이 부분 역시 앞서 1, 2번에서처럼 요구사항을 명확히 제시하고, 중요한 로직에 대해서는 테스트 코드를 잘 작성해 둔다면, 상당 부분을 AI에게 맡길 수 있다. AI 활용은 단순히 프롬프트를 작성해 결과물을 받아보는 데 그치지 않는다.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쓰일 수 있으며, 필요한 영역에서 적절한 도구를 잘 선택해 활용하는 것 역시 중요한 역량이다.

 

4. 도구 통합 능력: 여러 AI를 조합하여 시너지 창출하기

하나의 뛰어난 AI 도구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복잡한 문제가 많다. 여러 도구의 강점을 이해하고, 이를 API, SDK, SaaS 형태로 엮어 하나의 워크플로로 통합해 시너지를 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IT 트렌드’를 주제로, 구독자 관심사에 맞는 개인화 뉴스레터를 매주 자동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상상해 보자.

 

  1. 콘텐츠 수집(웹 크롤링 A I+ RSS): 특정 키워드(예: '생성형 AI', '메타버스', '클라우드 네이티브')가 포함된 최신 뉴스 기사와 블로그 포스트를 자동으로 수집하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다.
  2. 콘텐츠 요약 및 분류(대규모 언어 모델 API): 수집된 아티클들을 OpenAI의 GPT나 구글의 Gemini API로 전송하여 각각 3줄로 요약하고, 'AI 신기술', '업계 동향', '투자 소식' 등 사전에 정의된 카테고리로 자동 분류한다.
  3. 이미지 생성(이미지 생성 AI API): 각 아티클의 핵심 내용을 기반으로 Midjourney나 Stable Diffusion API를 호출하여, 뉴스레터에 사용할 매력적인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한다.
  4. 개인화 및 발송(이메일 마케팅 자동화 도구): 구독자별 관심사(사전에 수집된 데이터 기반)에 맞춰 요약된 아티클과 생성된 이미지를 조합해 개인화 이메일 템플릿을 완성한다. 그다음 Mailchimp나 SendGrid 같은 자동화 도구로 예약 발송한다.
     

이처럼 서로 다른 강점을 가진 AI 도구들을 파이프라인처럼 연결하면, 한 사람이 수동으로 처리하면 시간이 걸릴 작업도 자동화하고 고도화할 수 있다. 또 목적에 맞는 AI 도구들은 지금도 계속 새롭게 등장하고 있으니, 실제로 사용할 시점에 찾아보는 것이 가장 좋다. 

 

아래 이미지는 이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 각 목적에 맞게 많이 쓰이는 AI 도구들을 카테고리별로 5개씩 추천한 것이다. 다만 이런 추천 리스트도 요즘은 금방 바뀌는 경우가 많아, 참고용으로 봐주길 바란다.

 

<출처: https://bytebytego.com>

 

5. 윤리·보안 고려 능력: 책임감 있는 AI 활용

AI 활용은 편리함과 효율성 이상의 책임감을 요구한다. 생성된 결과물이 저작권을 침해하지는 않는지, 학습 데이터의 편향으로 특정 집단에 차별적인 결과를 내놓지는 않는지, 민감한 개인정보나 기업 기밀이 유출될 위험은 없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대응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사팀에서 AI를 활용해 이력서를 검토하고, 1차 면접 대상자를 선발하는 시스템을 도입한다고 가정해 보자.

 

  • 편향성 문제: 과거 특정 성별이나 특정 학교 출신 합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학습시켰다면, AI는 무의식적으로 비슷한 배경의 지원자에게 더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 이는 채용 차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데이터 편향을 최소화하고 AI의 판단 기준을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 개인정보보호 문제: 지원자의 이력서에 담긴 민감한 개인정보가 AI 학습 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거나, 동의 없이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지 않도록 엄격한 보안 정책과 데이터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 투명성 및 설명 가능성: AI가 특정 지원자를 탈락시켰다면 그 이유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단순히 ‘AI가 그렇게 판단했다’는 답변은 책임 있는 설명이 될 수 없다. 어떤 기준과 데이터를 근거로 결정이 내려졌는지 추적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설명 가능한 AI(XAI)’ 기술 도입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윤리적·보안적 쟁점을 사전에 인지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적·기술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AI를 책임감 있게 활용하기 위한 필수 전제 조건이다. 우리가 민감한 개인정보를 남에게 함부로 말하지 않듯,AI를 사용할 때도 민감한 정보는 조심해서 다뤄야 한다. 일반적으로 개인정보나 금융정보 같은 민감 정보는 주고받을 때 데이터 암호화 과정을 거치지만, AI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는 이런 경각심 없이 쉽게 전송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가 쓰는 AI 도구도 결국 특정 기업이 운영하는 서비스이며, 데이터가 누군가에게 노출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결론: 같은 도구라도 결국 누가 쓰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지금까지 AI 활용 능력을 구성하는 다섯 가지 핵심 역량을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이제는 단순히 많은 AI 도구의 사용법만 아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한다. 내가 풀고자 하는 문제를 명확히 정의하고(문제 정의), AI와 원활히 소통하며(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나온 결과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결과 검증), 여러 도구를 잘 엮어 활용하며(도구 통합),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위험을 책임감 있게 다루는 것(윤리·보안)이 중요하다. 이 다섯 가지가 갖춰질 때 비로소 우리는 AI를 ‘잘 쓴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개발자로서 실무에서 Cursor, Claude Code 같은 AI 도구를 활용해 코드를 작성한다. 하지만 때로는 이 도구들을 쓰는 것이 오히려 시간이 더 걸리기도 하고, 코드가 엉뚱하게 작성되어 이해하는 데 더 애를 먹을 때도 많다. 이런 시행착오를 겪으며 깨달은 것은, 모든 것을 절대 AI에 의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결국 모든 것을 AI에만 맡기는 사람은 AI 수준의 결과물밖에 내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앞으로 AI를 현명하게 활용해, 지금 하고 있는 일에서 더 좋은 성과를 낼 수 있길 바란다.

 

©️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return
data.groupby(age_groups, observed=
False
)[
'purchase_amount'
].mean()
# observed=False 추가하여 데이터에 없는 그룹도 결과에 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