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justify;"><a href="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2989/">해외 콘퍼런스 발표자로 뽑히려면 꼭 알아야 할 3가지</a>를 작성한 다음, 문득 이대로 끝을 맺기엔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해외 발표자로 선정되고 나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또 다른 중요한 과정, 즉 발표 준비와 실제 발표가 아직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동안 여러 차례 해외 콘퍼런스 발표자로 선정되어 실제 발표까지 진행해 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미리 알았더라면 더 좋았을 다양한 팁과 노하우가 모였고, 이에 제가 겪어온 경험을 바탕으로 기고를 준비해 보았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제가 발표에 참여한 주요 행사는 다음과 같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우부콘 아시아(UbuCon Asia) 2022/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BFnrd1OJkgk">발표 영상</a></li><li style="text-align:justify;">KCD 대만(Kubernetes Community Days Taiwan) 2023 /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FB3LLR3vRdo">발표 영상</a></li><li style="text-align:justify;">쿠버콘(KubeCon) 북미 2023 /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nRd0ejHADss">발표 영상</a></li><li style="text-align:justify;">쿠버콘(KubeCon) 차이나 2024 /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xy7tJTIfyg8">발표 영상</a></li><li style="text-align:justify;">쿠버콘(KubeCon) 인도 2024 /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xy7tJTIfyg8">발표 영상</a></li></ul><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9.png"><figcaption>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우부콘 아시아 2022, KCD 대만 2023, 쿠버콘 인도 2024, 쿠버콘 차이나 2024, 쿠버콘 북미 2023 <출처: 작가></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렇게 해외 콘퍼런스 발표자로 선정된 이후 알아두어야 할 아래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ul><li style="text-align:justify;">해외 발표자로 선정된 다음 해야 할 일</li><li style="text-align:justify;">해외 발표를 준비하는 법</li><li style="text-align:justify;">해외 발표를 진행하는 법</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번 글 역시 제가 참여하며 이해도를 높인 CNCF 쿠버콘(KubeCon)을 기준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앞으로 해외 콘퍼런스를 준비하시는 분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p><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해외 발표자로 선정된 다음 해야 할 일</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발표 준비에 앞서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내가 발표자로 선정되었는지 아닌지 여부입니다. 만약, 해외 콘퍼런스의 발표자로 선정되었다면, 이메일 제목만 봐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쿠버네티스(Kubernetes) 시험 결과 이메일처럼요.)</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메일 제목에 “ACCEPTED”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면, 발표자로 선정된 것입니다. 그러니 마음껏 기뻐하며, 해당 이메일을 열고 읽어보면 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7.png"><figcaption>쿠버콘(KubeCon) 발표자로 선정되었을 때 받는 이메일 제목(위)과 아닐 때의 이메일 제목(아래) <출처: 작가></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 합격 이메일 내부에는 굉장히 중요한 정보들이 담겨 있습니다. 가장 먼저 기억해야 할 점은 “공식적인 스케줄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선정 사실을 외부에 알리면 안 된다”라는 것입니다. 이메일에는 이렇게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i>“Please keep your speaker acceptance <strong>confidential</strong> until the schedule is announced on Wednesday, 15 January, 2025.”</i></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다음으로 이메일에서 발표와 관련하여 확인할 중요한 일정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Speaker Registration Deadline</strong> <strong>(중요)</strong></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발표자는 모두 발표자로서 행사 등록을 따로 해야 합니다. 이메일에 발표자용 등록 코드가 있으니, 등록할 때 이 코드를 입력하면 별도 비용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Finalized Schedule Date</strong></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발표 일정이 확정되는 시점입니다. 이 날짜 이전에는 요청에 따라 일정을 변경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특별히 요청하지 않는 편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Additional AV Requests Due</strong></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추가적인 오디오 또는 비디오 장비를 요청할 수 있는 기한인데,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마찬가지로 대부분 필요하지 않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Last Day to Request Speaker Additions or Changes</strong></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발표자의 추가 또는 변경 요청이 가능한 마지막 날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Presentation Upload to Sched Deadline (중요)</strong></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실제 발표 자료(장표)를 업로드해야 하는 마감일입니다. 보통 이 날짜보다 미리 업로드하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strong>Event Dates</strong></p></blockquote><p style="text-align:justify;">실제 행사가 진행되는 기간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해당 내용을 더 자세히 설명한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kubecon-cloudnativecon-europe/program/speaker-guide/">발표자 가이드 페이지</a>도 있으니 참고하면 좋습니다. 모든 내용을 확인했다면 마지막으로 참석할 수 있다는 것을 이메일과 세셔나이즈(Sessionize)로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3.png"><figcaption>이메일 답변과 세셔나이즈 Accept <출처: 작가></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해외 발표 준비하는 법</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쿠버콘(KubeCon)과 같은 해외 행사에서는 보통 발표 자료 제작을 위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반드시 제공된 템플릿을 써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폰트나 색상 등이 깔끔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a href="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XCiSMIuSuXh-5r8yb8PzCP66Zj0tusH1/edit#slide=id.p1">템플릿</a>은 보통 행사 준비를 안내하는 ‘스피커 가이드(Speaker Guide)’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kubecon-cloudnativecon-europe/program/speaker-guide/#presentation-details-branded-powerpoint">페이지</a>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1.png"><figcaption>발표자를 위한 프리젠테이션 관련 내용 (<a href="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XCiSMIuSuXh-5r8yb8PzCP66Zj0tusH1/edit#slide=id.p1">템플릿</a>) <출처: CNCF></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템플릿을 준비했다면 이를 토대로 발표 자료를 제작하면 됩니다. 발표 자료를 구성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쿠버콘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은 주로 텍스트 중심 형식입니다. 주로 메인테이너(Maintainer) 세션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식이며, 실제로 해외 기술 행사 발표자들이 상당히 자주 쓰는 형태이기도 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10.png"><figcaption>텍스트 중심 장표 <출처: <a href="https://static.sched.com/hosted_files/kccncna2024/c9/KCNA24-Harbor-Maintainers-track.pdf">쿠버콘 북미 2024 Harbor 메인테이너 세션 장표</a>></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물론 반드시 이러한 형식을 따를 필요는 없습니다. 국내나 동양권 행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처럼 화려한 색상으로 다양한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해도 좋습니다. 중요한 것은 형식이 아니라 “발표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가 청중에게 잘 전달될 수 있나?” 싶은 지점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8.png"><figcaption>그림으로 이루어진 발표 장표 <출처: <a href="https://static.sched.com/hosted_files/kccncna2024/b1/Scratching%20the%20Surface.pptx.pdf">쿠버콘 북미 2024 발표 장표</a>></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발표 작성에 참고하면 좋을 5가지 팁</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그럼 본격적으로 발표 자료를 작성할 때 유의하면 좋은 몇 가지 팁을 공유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하단에는 중요한 정보를 넣지 않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대부분의 행사장에서는 발표 화면 하단에 들어간 내용은 잘 보이지 않거나 안 보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슬라이드 아래쪽 1/10 부분에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사용하는 이미지의 라이선스 확인하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이는 거의 모든 발표와 글쓰기 작업에 적용되는 항목입니다. 보통 CC 라이선스(Creative Commons License)가 많이 쓰이지만, 사용 범위나 용도에 따라 조건이 달라지므로 확인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데모 영상 녹화본 준비하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개인적인 경험에서 나온 교훈입니다. 때때로 “데모의 요정”이 불쑥 나타나 데모를 망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경우 돌이킬 수 없으니, 미리 데모 영상을 녹화하여 준비해 두고 비상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안전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6.png"><figcaption>OpenInfra Community Days Korea 2023에서 데모가 터져서 20분 동안 말만 한 발표 <출처: <a href="https://www.youtube.com/watch?v=XqeO2ZTNYII">오픈스택 코리아 그룹 유튜브</a>></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4. URL보다는 QR 코드로 링크 제공하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발표 도중이나 마무리 단계에 청중들이 추가로 확인하고 싶어 하는 자료와 정보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발표 화면에 QR 코드를 제공하면 더욱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5. 발표 중간 환기 시간을 만들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25분에서 30분 정도 발표 시간 동안 쉬지 않고 본인이 하고 싶은 이야기만 한다면 집중력은 자연스레 떨어집니다. 따라서 어떤 방식으로든 적절한 환기 시간이 필요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유머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해외 발표자들이 서양식 밈(meme)을 자주 사용하는 이유도 여기 있습니다. 그 외에 적절한 비유나 참석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내용으로 발표 흐름에 변화를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치 청중과 함께 호흡하며 대화하듯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면 집중도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러한 팁을 참고해 발표 자료 제작을 마쳤다면, 이제 발표 자료를 업로드할 차례입니다. 발표자로 등록된 경우, 행사 공식 페이지에 발표를 관리할 수 있는 ‘Manage(관리)’ 버튼이 나타납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자신의 발표 세션을 관리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4.png"><figcaption>발표자로 로그인하면 보이는 발표 설명 페이지 <출처: 작가></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여기 발표 자료 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자료 파일을 업로드하면 행사 공식 페이지에 업로드한 발표 자료가 붙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해외 발표 진행하는 법 </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이제 실제로 발표를 진행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특히, 첫 해외 발표라면 굉장히 떨리고 불안한 마음이 클 텐데요.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몇 가지 소개하고자 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부담감은 내려놓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먼저, 지금 하려는 발표가 회사 공식 발표이거나 굉장히 중요한 발표는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물론 발표를 대충 준비하거나 하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발표하는 목적은 발표자와 참석자 모두가 즐거운 데 있다는 점을 다시금 떠올려 보자는 뜻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러므로 딱딱하게 내용을 읽기보다는, 편안한 마음으로 발표 자체를 즐기면서 호흡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담을 덜어야 훨씬 더 좋은 발표가 나올 겁니다. 발표자의 부담감은 그대로 참석자에게 전달되니까요.</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스크립트를 사용하더라도 보고 읽지 않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개인적으로 저는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방식은 선호하지 않지만, 스크립트가 있는 것이 나을 때도 꽤 있습니다. 커뮤니티 행사의 발표는 기본적으로 재미있고 즐겁게 소통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러니 만약 스크립트를 쓴다 해도, 발표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혹은 외우고)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쿠버콘(KubeCon) 등에는 스크립트를 볼 수 있는 화면이 따로 없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프레젠테이션 순서 외우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쿠버콘 세션 프레젠테이션에서는 다음 슬라이드 내용을 미리 확인할 별도의 사이드 화면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각 장표의 연결과 다음 화면에서 다룰 주제를 충분히 알아 두면(혹은 외워 두면) 훨씬 자연스럽고 매끄러워집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4. 연결 기기는 본인 장비로 준비하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스피커 가이드에서도 본인 장비를 준비할 것을 권장합니다. 미리 테스트해 본 본인의 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예를 들어 특정 노트북(맥북 에어 등)은 USB-C 포트만 있어 USB-C to HDMI 젠더가 필요합니다. 물론 이런 젠더를 현장에서 빌려 쓸 수 있다 해도, 간혹 예상하지 못한 불상사가 벌어지기도 합니다. 실제로 저는 쿠버콘 중국 2024에서 젠더 문제로 화면이 계속 반짝거려 초반 진행이 굉장히 힘들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2.png"><figcaption>쿠버콘 중국 2024에서 화면이 계속 반짝여 스텝이 교체해주는 모습 <출처: 작가></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 경험 덕에 지금은 반드시 평소 쓰던 젠더를 항상 가지고 다니며 사용하고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5. 발표 장소는 미리 가서 체크하기</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발표 장소는 보통 사전에 공지됩니다. 따라서 발표 환경, 마이크 타입, 참석자 좌석 배치 등 행사장의 분위기를 다른 발표를 보며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해외에서 온 발표자는 보통 첫날보다는 행사 중간 이후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점을 이용해 발표 전에 미리 행사장을 방문해 익숙해지면 부담을 조금이라도 내려놓을 수 있습니다. 또한, 미리 행사장 이동 동선을 파악해 두면 발표 당일 이동이 훨씬 수월해집니다. 대체로 행사장 규모가 크기 때문에 미리 체크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6. “영어를 잘 못해도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해외 발표를 할 때 지원을 주저하게 만들거나, 발표자로 선정된 후에도 걱정스러운 부분은 무엇보다 언어일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여러 해외 행사를 다니며 느낀 점이 있습니다. 영어가 좀 어색하거나 이상해도 다들 너그러이 이해하고 배려해 준다는 것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특히 쿠버콘과 같은 오픈소스 행사에는 CoC(Code of Conduct, 행동강령)라는 중심 규정이 있습니다. 그 핵심은 서로의 다름과 다양성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조금 어색하게 말하거나 단어를 부정확하게 쓰더라도, 그런 사소한 부분보다는 발표의 전체적 맥락과 핵심 메시지에 더 큰 관심을 둘 것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러므로 해외 발표를 준비할 때, 언어보다는 발표 내용의 구성과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준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반대로 생각해도, 한국에서 발표하는 외국인이 노력해서 한국어로 발표한다면 응원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을까요? 완벽히 같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충분히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마치며 </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물론 국내에도 많은 발표 기회가 있고, 좋은 발표도 많지만, 기술의 세계에서는 이미 전 세계가 긴밀히 이어져 있습니다. 우리 역시 글로벌 기술을 필요에 따라 빠르게 받아들이고, 한국의 좋은 사례를 적극적으로 해외에 알리고 협업하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런 의미에서 앞으로 해외에서 발표할 한국인이 더욱 많아져 보다 좋은 흐름을 만들어 가기를 기대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현재 CFP(발표 제안서)를 모집 중인 쿠버콘(KubeCon)은 인도에서 열리며,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kubecon-cloudnativecon-india/program/cfp/#submit-your-talk">CFP</a>는 2025년 3월 23일까지 받고 있습니다. 그다음 쿠버콘 행사는 북미 지역에서 열리며,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kubecon-cloudnativecon-north-america-2025/">CFP</a>는 오는 4월 또는 5월 중 열릴 것으로 예상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만약 곧바로 해외 무대에 나가 발표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국내에서 준비 중인 오픈소스 서밋(Open Source Summit)에 지원해 보는 것도 좋은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a href="https://events.linuxfoundation.org/open-source-summit-korea/program/cfp/#tracks-and-suggested-topics">CFP</a>는 6월까지 받을 예정이라고 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www.wishket.com/media/news/3015/image5.png"><figcaption>서울에서 처음으로 개최되는 Open Source Summit 행사 <출처: 리눅스 재단></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2025년에는 더 많은 해외 발표자를 행사장에서 직접 만나 뵐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p><hr><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strong>작가</strong></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strong>조훈(CNCF 앰버서더)</strong></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시스템/네트워크 IT 벤더의 경험 이후, 메가존 GCP 클라우드 팀에서 쿠버네티스와 연관된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Tech Advisor 및 Container Architecture Design을 제공하고 있다. 페이스북 ‘IT 인프라 엔지니어 그룹’의 운영진을 맡고 있으며, 오픈 소스 컨트리뷰터로도 활동한다. 지식 공유를 위해 인프런/유데미에서 앤서블 및 쿠버네티스에 관한 강의를 하기도 한다. 책 <컨테이너 인프라 환경 구축을 위한 쿠버네티스/도커> 등 3권을 썼다.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앰버서더로서 쿠버네티스 생태계가 더 활발하게 퍼질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다.</p><p style="margin-left:0px;"> </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strong>심근우</strong></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LG유플러스 CTO부문에서 대고객 비즈니스 시스템의 DevOps를 담당하는 UcubeDAX팀의 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에 걸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주니어 DevOps 엔지니어들의 육성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p><p style="margin-left:0px;"> </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strong>문성주 </strong></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체커(CHEQUER) 사의 DevOps Engineer로서 쿠버네티스의 멀티 클러스터 관리 방법론과 쿠버네티스 구현체(CAPI, OCI)에 대한 명세와 컨테이너 리소스 격리 방법에 대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이런 연구 활동을 기반으로 쿠버네티스 볼륨 테스트 파트에 컨트리뷰션했다. 본업은 쿠버네티스 오퍼레이터와 같은 CRD(커스텀 리소스)를 개발해 현업에서 쿠버네티스를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다. 또한, 페이스북 그룹 ‘코딩이랑 무관합니다만'과 ‘IT 인프라 엔지니어 그룹'의 운영진을 맡고 있다.</p><p style="margin-left:0px;"> </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strong>이성민</strong></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justify;">미국 넷플릭스(Netflix) 사의 Data Platform Infrastructure 팀에서 사내 플랫폼 팀들과 데이터 사용자들을 어우르기 위한 가상화 및 도구들을 개발하는 일들을 하고 있다. 과거 컨테이너와 쿠버네티스에 큰 관심을 두고 ingress-nginx를 비롯한 오픈 소스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데이터 분야에 일하게 되면서 stateful 한 서비스들이 컨테이너화에서 겪는 어려움을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p><p style="margin-left:0px;"> </p><p style="margin-left:0px;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rgb(153,153,153);">©️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