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justify;">2023년 11월 6일, OpenAI의 첫 번째 개발자 행사(DevDay)가 열렸습니다. 2023년 가장 뜨거웠던 이슈라면 바로 AI가 아닐까 싶은데요. AI가 만들 변화에 관한 수많은 책과 전망이 나왔죠. 하지만 예측뿐만 아니라 그 미래를 직접 만들어 나가고 있는 곳은 바로 OpenAI입니다. 그래서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볼 필요가 있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날 행사에서는 OpenAI가 ‘아이폰 모먼트’를 만들겠다는 야심을 드러내기도 했는데요. 아이폰 모먼트란 BoA(Bank of America)가 투자보고서에서 언급했던 말로, 1990년대의 인터넷, 2000년대의 검색, 2010년대의 아이폰 등장에 비견될 만큼 AI가 경제적으로 엄청난 <a href="https://www.privatebank.bankofamerica.com/articles/economic-impact-of-ai.html"><u>변화의 모멘텀</u></a>이 될 것이라는 뜻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리고 OpenAI가 아이폰 모먼트를 만들기 위한 핵심 전략은 바로 ‘GPTs’가 될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GPTs를 중심으로 과연 OpenAI의 전략이 무엇인지, GPTs는 우리의 일과 미래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를 살펴보겠습니다. </p><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DevDay 행사 개요</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우선 이날의 행사 내용을 간략히 소개해 보겠습니다. ‘DevDay’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개발자를 위한 행사였습니다. 앞으로 개발자들과 함께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려는 OpenAI의 의도를 볼 수 있죠. 주요 발표 내용에는 GPT-4 Turbo, 개인화된 AI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GPTs, 개발자들이 자체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는 Assistants API, 그리고 텍스트에서 고품질 음성을 생성하는 새로운 Text-to-Speech(TTS) 모델 등의 다양한 ‘New Stuff’가 있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하나씩 살펴보면 GPT Turbo는 300페이지 정도 분량의 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개선한 것이고, TTS는 말 그대로 텍스트를 음성으로 바꿔주는 기능입니다. 향후 챗GPT를 통해 창작물을 만들려고 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겠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여기서 제가 주목했던 건 바로 GPTs입니다. GPTs는 한마디로 앱스토어이자, 나만의 AI을 만들 수 있는 Build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앞서 ‘아이폰 모먼트’를 이야기했는데요. 아이폰이 엄청난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었던 이유가 바로 앱스토어 때문입니다. 서드파티 개발자들이 다양한 앱을 공급함으로써 휴대폰을 단순한 통신 도구에서 생활의 중심으로 변화시킨 겁니다. 그렇다면 GPTs도 우리의 생활과 경제적 판도를 바꿀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만약 우리가 아이폰이 처음 발표된 시점으로 타임슬립을 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그때로 돌아갈 수 있다면 뭔가 다른 선택을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어쩌면 바로 지금이 또 다른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GPTs가 가져올 변화를 조금이나마 예측할 수 있다면 우리도 뭔가를 준비할 수 있겠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GPTs란 무엇인가?</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OpenAI가 발표한 GPTs는 한마디로 개인이나 기업이 자신만의 GPT 버전을 만들어 퍼블리싱하고 수익화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한마디로 맞춤화된 AI라고 할 수 있는데요. 편의상 이 글에서는 ‘AI App'으로 부르겠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사실 GPT Store의 등장은 이미 예견됐던 부분입니다. 챗GPT 외에도 거의 모든 AI 기업들은 API를 공개하고 있고, 뤼튼이나 노션 AI, 캔바 GPT처럼 이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들 역시 이미 출시 되어 있습니다. 또 기업의 요청에 따라 AI App을 대신 개발해주는 회사도 있고, GPTs 발표 이전에 독자적으로 AI App Store를 만든 회사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회사가 올거나이즈 같은 곳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렇다면 OpenAI는 왜 갑자기 GPTs를 들고나왔을까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일단 현재 AI 업계의 상황을 보면, OpenAI는 DevDay를 통해 챗GPT가 불과 1년도 안 되는 시간에 이룬 다양한 성과를 자랑했습니다. 2백만 명의 개발자와 Fortune 선정 500대 기업의 92%가 함께 하고 있다고 말이죠. 주간 활성 사용자도 1억 명에 달한다는 수치도 발표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327/image2.png"><figcaption>챗GPT의 주요 성과에 대한 발표 내용 <출처: OpenAI> </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하지만 명(明)이 있으면 암(暗)도 있습니다. 먹을 곳이 많은 곳에는 경쟁자가 몰립니다. 조만간 구글은 차세대 AI인 Gemini를 발표할 예정이고, 메타나 애플, 또 한때 한솥밥을 먹었던 일론 머스크나 앤트로픽까지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래도 가장 신경 쓰이는 건 역시 구글입니다. 구글은 생성형 AI 스타트업 앤트로픽에 20억 달러(한화 약 2조 5,844억 원)를 투자하고, 어도비와도 제휴를 맺는 등 OpenAI 입장에선 주목할 만한 행보를 보이고 있죠. 게다가 이미 수십억 명이 쓰고 있는 앱도 여럿 보유 중입니다. 구글은 20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한 서비스가 6개고, 5억 명 이상으로 확대하면 15개나 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래서 OpenAI가 들고나온 전략이 GPTs, 플랫폼 모델입니다. 플랫폼 모델이란 한마디로 ‘양면 시장’입니다. 기본적인 기술은 제공할 테니 누구나 아이디어만 있다면 우리 마켓에 들어와서 장사를 하라는 거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한마디로 현재의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서 사다리를 걷어찬 셈입니다. 이러한 OpenAI의 전략은 성공할까요? 아직 결과는 예측하기 어렵지만, 관건은 얼마나 많은 개발자나 기획자, 그리고 유저들이 참여하고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느냐에 달려 있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하지만 이러한 양면 시장의 전략이 얼마나 큰 위력을 발휘했는지 우리는 역사를 통해 잘 알고 있습니다. 1980년대에 IBM PC가 애플의 아성을 깨기 위해 썼던 방법이고, 그 애플이 후발주자로 MP3 플레이어나 휴대폰 시장을 장악할 때 썼던 방법이기도 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GPTs vs App Store</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애플 앱스토어의 등장은 통신은 물론 라이프 스타일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습니다. 2008년 출시된 이후, 수많은 앱이 유저의 일상 속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게 됐죠. 처음에는 주로 게임과 엔터테인먼트 앱들이 주를 이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앱스토어는 더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되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렇다면 GPTs 역시 다양한 스타트업 또는 개발자들에게 엄청난 기회를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해 볼 수 있죠. GPTs의 특징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모바일 앱 또는 앱스토어와 어떤 점이 같고, 무엇이 다른지 비교해 보면 좋을 듯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유저에 대한 맞춤화</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GPTs는 유저가 자신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특화된 AI App을 만들 수 있게 함으로써, 개인화된 AI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즉, 우리 회사나 특정 산업 카테고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연계한 AI가 가능하다는 거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물론 여기에는 보안 이슈가 따라붙게 됩니다. 예전의 이루다 사태처럼 개인정보나 회사의 중요한 기밀을 올렸다가 외부로 유출되면 큰 문제니까요. 현재 많은 회사들이 회사 업무와 관련해서 AI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물론 OpenAI는 유저들의 데이터를 절대 사용하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지만, 이에 대해 얼마나 신뢰를 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 될 듯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참고로 네이버 CLOVA의 경우,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예 기업 내부에 CLOVA 서버를 공급하는 서비스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향후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맞춤화 된 AI 서비스에 대한 경쟁 역시 치열해질 것 같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앱을 통한 수익화</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개발자는 GPT Store에서 자신의 GPT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유저들이 이를 사용함에 따라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앱스토어를 통해 이미 확인했던 모델이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다만 앞서 언급한 대로 앱스토어에서 초기 수익을 주도했던 앱은 주로 게임이었는데요. 마찬가지로 GPTs도 초기에 유저와 개발자를 집중시킬 수 있는 킬러앱, 아니 킬러 AI를 제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처음엔 신기해서 몇 번 써볼 수도 있지만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그리고 돈을 내고 구입할지는 전혀 다른 차원의 문제니까요.</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구글의 경우 이미 수십억 명이 사용 중인 자사의 서비스에 AI를 연계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 자사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서드파티를 끌어들인다면, 누가 최후의 승자가 될지 아직 예측하기 어렵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자연어로 앱을 만들 수 있다</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GPTs는 프로그래밍 기술이 없는 유저도 AI를 만들 수 있습니다. 복잡한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자연어를 통해 AI를 학습시키고,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GPT를 구현할 수 있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첨부한 사진처럼 GPT Builder와 대화를 통해 내가 원하는 것을 말하고 필요한 자료를 입력하면 됩니다. DevDay 행사에서는 샘 알트만이 ‘스타트업 멘토’라는 AI 앱을 직접 만드는 시연을 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327/image1.png"><figcaption>GPT Builder와의 대화만으로 나만의 AI를 만들 수 있다. <출처: OpenAI></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앱스토어와 GPTs의 핵심적인 차이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OpenAI는 개발자들을 모아 놓고 GPTs를 발표하긴 했지만, 사실 아이디어와 콘텐츠만 있다면 ‘누구나’ 만들 수 있죠. (물론 서비스 기획에 관한 어느 정도의 이해는 필요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개인이 판매를 목적으로 할 수도 있지만, 현재 SNS처럼 주변 지인들과 네트워킹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AI 앱도 있을 겁니다. ‘오은영 AI’가 아이 육아에 관한 고민을 상담해 줄 수도 있고, ‘강형욱 AI’가 반려견에 대해 상담해 줄 수도 있을 겁니다. 이제 유튜버나 블로거 대신 장래 희망이 ‘GPTer’라고 하는 사람이 등장할 수도 있고요.</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327/image3.png"><figcaption><출처: OpenAI,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GPTs는 우리에게 어떤 기회를 만들어 줄까? </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GPTs가 앱스토어와 다른 점은 누구나 App을 직접 만들 수 있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GPT가 먼저 시작했을 뿐, AI 분야의 다른 플레이어들도 곧 비슷한 전략을 들고나올 거라 예상해 봅니다. 그렇다면 꼭 OpenAI의 GPTs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나만의 AI를 보유하게 되는 세상이 곧 다가올 거고요.</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렇다면 우리에게 어떤 기회가 올까요? 일반적으로는 현재 앱스토어처럼 앱을 개발해 판매하는 모델을 떠올릴 수 있겠죠. 그런데 저는 조금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봤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예전에 유현준 교수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Shape Grammar’라는 개념을 접하게 됐는데요. 예를 들어, 우리가 AI에 ‘앤디 워홀 스타일로 그림을 그려줘’라고 요청할 수 있죠. 이는 AI가 앤디 워홀의 스타일을 학습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종의 문법(Grammar)이 있는 셈이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즉, Shape Grammar라는 것은 어떤 건축가의 스타일(Shape)을 문법(Grammar)으로 만들어서 그 건축가가 만들 법한 설계를 뽑아내도록 하는 것입니다. 마치 아바타처럼 내가 만들 법한 다양한 옵션을 제시해 주는 거죠. 이때 내가 해야 할 일은 그중에서 제일 마음에 드는 것을 낙점(落點)하는 것뿐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는 기획자나 개발자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AI에 본인의 업무 스타일을 학습시킨다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물론 누군가는 자신의 능력을 판매할 수도 있겠네요. 마치 제안서 템플릿을 파는 기획자나, GitHub에 소스를 올리는 것처럼요. 꼭 나만의 스타일이 없더라도 이런 개별적인 ‘능력템’을 잘 조합하는 방법도 있을 것 같고요. 영화 매트릭스에서 각종 무술이나 언어 능력을 다운로드하는 장면이 현실화 되는 것이죠.</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물론 AI로 꼭 업무 역량만 강화하라는 법은 없습니다. 여행이나 요리처럼 취미와 관련된 AI를 만들 수도 있습니다. 글쓰기도 마찬가지인데요. 나만의 글 쓰는 방식을 학습시킨다면 AI가 내 스타일 그대로 글을 대신 써줄 수도 있죠. 저는 실제로 이 방법을 실험 중인데요. 그렇다면 이 글 역시 제가 직접 썼거나 아니면 AI가 제 스타일을 학습해 작성한 글일 수도 있게 됩니다. </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마치며</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이번 글의 제목을 ‘GPTs는 아이폰 모먼트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로 정했지만, 사실 답을 알긴 어렵습니다. 다른 AI 기업이 또 어떤 무기를 준비하고 있는지 아직 알 수 없으니까요. 하지만 ‘GPTs’라는 주어를 빼고 봐도 이미 AI에서 아이폰 모먼트 급의 변화가 올 것은 확실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처음 로봇이 등장했을 때, 그리고 AI가 등장했을 때 가장 먼저 나왔던 이슈는 ‘과연 내 직업이 미래에도 존재할까?’라는 점인데요. 정확히는 AI에 일자리를 빼앗기는 것이 아닙니다. AI를 잘 다루는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대체할 뿐이죠. 이렇게 봤을 때 어쩌면 미래의 경쟁력은 나만의 AI를 보유하고 있느냐 아니냐에서 판가름 날지도 모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앞서 ‘Shape Grammar’를 예로 살펴본 것처럼, AI는 나만의 장점을 극대화해 줄 수 있을 겁니다. 이때 가장 먼저 잠식당하는 것은 ‘평범함’입니다. 저는 ‘오은영 AI’나 ‘강형욱 AI’를 예로 들었습니다만, 이제 내 AI는 어떤 능력을 갖춰야 할까를 고민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제 나 대신 내 AI가 월급을 받는 날이 올지도 모르니 말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999999;">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