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justify;">웹 접근성(a11y)은 장애가 있는 사람, 네트워크 속도가 느린 사람, 오래되거나 손상된 하드웨어 또는 단순히 낙후된 환경에 있는 사람 등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한 가이드를 의미합니다. 모두가 같은 조건과 상황에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기에, 접근성에 대한 고민은 더 많은 사용자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예를 들어, 영상에 자막 기능을 제공한다면 청각 장애인,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텍스트의 대비가 너무 낮은 건 아닌지 확인하면, 시력이 약하거나 밝은 햇빛 아래에서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사용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제가 접근성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2019년 구글 개발자 행사에서 인상 깊은 얘기를 들었기 때문입니다. 접근성에 대한 고려를 통해 우리가 추가로 획득할 수 있는 예비 사용자의 수가 브라질 인구만큼 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2019년 기준 브라질의 인구는 2억 1천만 명이었으니,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접근성의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다만 이러한 중요성은 많이 알고 있으면서도 막상 서비스에 어떤 가이드를 통해, 어떤 식으로 대응해야 하는지 막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 피그마 플러그인 등을 활용해 서비스의 접근성 대응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a href="https://www.getstark.co/"><u>‘Stark’</u></a>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p><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손쉽게 웹 접근성 점검하기</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오늘 소개하는 <a href="https://www.getstark.co/"><u>‘Stark’</u></a>는 서비스에 대한 모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피그마, 피그잼, 스케치,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어도비 XD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요. 웹 접근성에 대한 기본 가이드를 바탕으로 이미 서비스 중이거나, 개발 중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준비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저는 브라우저로 크롬을 활용하고 있기에 먼저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 사용해 봤습니다. 사용 방법 자체는 매우 간단한데, 원하는 웹페이지에서 확장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접근성 가이드에 해당하는 항목을 하나씩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비, 타이포그래피, 대체 텍스트, 터치 등 개별 항목 단위로 확인도 가능하며 현재 보고 있는 화면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WCAG Audit)도 제공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2.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접근성에 대한 대응이 잘 되어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여러 항목 중 타이포그래피를 먼저 선택했습니다. 선택하면 확인이 필요한 항목에 숫자가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숫자는 확인을 위한 역할만 하는 건 아쉽지만, 실행된 확장 프로그램 창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접근성 관점에서 무엇을 확인해야 하는지, 어떤 내용을 권고하고 있는지 하나씩 확인할 수 있어서, 가이드를 바탕으로 직접 확인하는 것보다 훨씬 구체적으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3.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제가 처음 ‘Stark’를 크롬 확장 프로그램으로 사용하며 좋았던 점은 확인이 필요한 부분을 빠르게 훑어 목록으로 제공한다는 점과 더불어 간단하게 수정해 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이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위 이미지를 보면, 텍스트 사이즈가 11px로 적용된 점이 확인이 필요하다는 안내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바로 아래에 제안 사항으로 12px 이상으로 적용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현재 폰트 사이즈 좌우로 -, + 버튼을 제공해 사이즈를 변경, 보고 있는 웹페이지에 바로 적용해 어떻게 보이는지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3-1.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또한 접근성에 대한 이해도나 가이드 등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한 상황을 위해 ‘Stark’는 확장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주요 가이드를 언제든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타이포그래피가 그 대상이라면 기능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안내는 물론, 타이포그래피를 접근성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보면 좋을지에 대한 내용도 함께 제공하고 있죠.</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4.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타이포그래피에 이어 터치라는 행동에 대한 접근성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웹페이지에 숫자를 붙이고, 확장 프로그램에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는 것은 동일하며 가이드가 다르기에 현재 적용된 것과 접근성 가이드를 기준으로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은 다르게 적용되어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터치 영역과 관련해서는 대표적으로 모바일에서 터치하기에 영역이 작다 등의 내용을 주로 제안합니다. 물론 이런 가이드는 접근성이라는 기준에 포함되는 것이라 조건 없는 반영이 답은 아니지만, 이 서비스의 역할은 점검의 과정과 개선을 위한 시간을 줄이는 데 있기에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6.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각 상황에서 서비스가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이건 접근성이 필요한 이유를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고, 실제 어려움을 겪는 사용자에게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볼 수 있습니다. 색맹, 난시 등 10가지 상황에 대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 유용한 기능입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tark7.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저는 서비스 소개를 위해 주요 항목(타이포그래피, 터치 등)을 하나씩 살펴봤지만, 실제 사용 시에는 종합적으로 접근성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WCAG Audit’ 기능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100점을 기준으로 현재 스코어를 알 수 있으며, 접근성의 기준에 맞는 것과 그렇지 않은 항목의 수를 빠르게 알 수 있습니다. 충족하지 않는 항목은 리스트로 확인할 수 있으며, 왜 충족하지 않는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기 때문에,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하고자 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쉽게도 리포트 다운로드 기능은 무료 계정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한 번은 꼭 써봐야 하는 이유</strong></h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park8.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가장 큰 장점은 접근성에 대한 점검과 개선을 위한 적용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피그마, 피그잼, 스케치, 크롬, 파이어폭스, 사파리, 어도비 XD 등 우리가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에 한 번씩 사용하는 주요 툴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역시 매력적입니다. 저는 우선 크롬 확장 프로그램과 피그마 플러그인을 설치해 한 번씩 확인하고 있습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2277/spark9.png"><figcaption><출처: stark, 작가 캡처></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아쉬운 점이 있다면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웹페이지 등에서 접근성에 대한 정보 확인은 무료로 가능하지만, 대시보드 활용 등은 무조건 결제를 해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종합 리포트를 확인한 뒤 서비스 접근성 관점에서 개선사항의 우선순위를 정하려면, 내용을 하나씩 복사해야 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무료 버전에서도 대시보드에서 제한된 수만큼의 내용을 기록하거나 관리할 수 있으면 더 유용할 것이라 생각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참고></p><p style="text-align:justify;"><a href="https://www.getstark.co/"><u>https://www.getstark.co/</u></a></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999999;">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