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을 하면 원하는 문장을
저장 할 수 있어요!
다음
최근 뉴욕타임스나 워싱턴 포스트와 같은 미국 언론사에서는 노코드 데이터 시각화 툴인 ‘데이터래퍼(Datawrapper)’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래퍼는 간단한 차트, 지도 및 표를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제가 워싱턴 포스트에서 그래픽 기자로 근무할 당시에도 이 툴을 자주 사용했었습니다. 간단한 시각화를 빠른 시간 안에 할 수 있고 데이터 업데이트가 쉬우며, 이미지 파일부터 온라인 인터랙티브까지 다양한 형태로 시각화를 저장할 수 있는 등 장점이 많습니다.
회원가입을 하면 원하는 문장을
저장 할 수 있어요!
다음
이 글을 본 사람들이 함께 스크랩한 콘텐츠를 권해드려요.
“비동기 통신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프론트엔드 개발자 면접에서 자주 받는 질문이다. 개발자라면 비동기 통신과 동기 통신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알아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로 작동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비동기 처리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필자가 면접에서 받은 질문을 토대로 비동기 통신, 동기 통신에 대한 개념을 소개한다. 그리고 비슷한 개념을 가진 블로킹과 논블로킹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전 글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엄청 쉬운 TCP/IP 4계층 이야기’에서, 컴퓨터와 컴퓨터의 통신이 올바르게 이루어지기 위해 데이터가 각각 어떤 계층에서 캡슐화되어야 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데이터가 목적지에 정확히 전달되기 위해 계층별로 어떠한 프로토콜(약속)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응용, 전송, 인터넷, 네트워크 액세스 순으로 캡슐화”라는 큰 개념만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앞서 언급한 각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들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 각 프로토콜이 네트워크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나는 연차가 많아도 실력은 3~4년 차 정도에 머무는 사람들을 자주 본다. 이런 사람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학습하려 하지 않고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내 나름대로 추정해 보면 성장이 정체되었다고 느꼈을 때 원인을 찾지 못하고(않고), 성장이 멈춘 채 시간이 흘렀을 것이다. 성장하지 못했다는 불안감은 점점 익숙함으로 바뀌고 익숙함은 현실에 안주하게 만든다. 결국 경력이 늘어나도 성장은 멈춰 있게 된 것은 아닐까? 그렇다면 왜 성장이 정체된다고 느낄까? 문제 해결의 핵심은 문제를 정의하는 것이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하지 못하면 시간을 낭비하고 문제가 반복적으로 일어난다. 내가 겪고 옆에서 지켜본 바로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같은 분야를 다룬 글들을 권해드려요.
2022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는 ‘디자이너’라는 서비스를 공개했습니다. 서비스명부터 디자이너가 포함된 이 서비스는 프레젠테이션, 엽서, 포스터, 초대장 등 다양한 그래픽을 위한 디자인 생성해 주며, 국내에도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캔바(Canva)와 유사한 웹 앱입니다. 주목할 만한 점이 있다면 서비스가 모두 인공지능(AI)으로 구동된다는 점으로,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와 OpenAI의 텍스트/이미지 생성 AI인 ‘DALL-E 2’를 활용하여 디자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활용해, 유저 인터페이스(UI) 구성과 그에 따른 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Shaper’를 소개합니다. ‘Shaper’에서 제공하는 핵심 기능은 1) 타입, 컬러, 여백, 테두리 등에 포함되는 세부 값을 입력 또는 원하는 조건을 선택해 일정 기준의 인터페이스 구성 가능 2) 기본 제공되는 인터페이스를 테마에 따라 변경한 뒤 상세 조건을 추가하거나 설정해, 원하는 모습의 인터페이스 제작 가능 3) 컬러, 여백, 테두리 등 다섯 가지 구성요소 중 하나를 선택해 인터페이스 랜덤 생성 가능 4) 생성한 인터페이스를 웹상에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코드 제공 등이 있는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인기있는 이야기들을 권해드려요.
2023년 쿠버네티스를 보다 원할하게 사용하기 위한 많은 제품들이 나와 있지만, 역설적으로 너무 많은 제품들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선정하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에 시장에서 많은 레퍼런스를 가지고 있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제품들로 구성된 표준 아키텍처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다음의 선정한 제품들은 쿠버네티스를 시작하는 분들은 위한 가이드 또는 새로운 영역을 구성 추가할 때 참고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일부는 이미 디 팩토(de facto / 사실상 표준)인 경우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한국 시장에 맞게 선정한 제품도 있습니다.
에러 해결을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코드 전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 코드를 확인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에러 해결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현재 겪고 있는 상황을 잘 정리하여 질문하는 것입니다. 이때 재현 가능한 예제(또는 reprex)를 활용할 수 있는데요. 이 방법은 질문자의 현 상황을 답변자가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현상을 구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 개발자가 알아두면 좋은 재현 가능한 예제와 reprex 활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지금 회원가입하고,
요즘IT가 PICK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