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a href="https://www.wishket.com/crsr/?next=/w/EaN4AhXVQN/&referer_type=7110000705"><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97/0__%EC%9C%84%EC%8B%9C%EC%BC%93_%EC%A0%84%ED%99%98_%EB%B0%B0%EB%84%88.png"></a></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center;"><i><strong>“개발자와 말이 안 통해요”</strong></i></h4><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오래전부터 들려왔던 말이다. 나 또한 비개발자로서 여러 번 입에 담았던 말이다. 물론 예전에는 그러려니 하는 농담 정도로 여겨지곤 했다. 그러나 생활을 둘러싼 모든 것들이 디지털화하는 시대에서, 이제 개발자와 말이 안 통하면 제대로 일하기가 힘들다. 서로 말이 통하지 않을 때 대부분의 경우 아쉬운 건 비개발자 쪽이다. 결국 실제 서비스로 구현하고 고쳐줄 능력이 있는 것은 개발자니까.</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럼 개발자와 말이 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나는 도구의 사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는 편이다. 개발자가 (비개발자의 요청사항을 듣고) 답답해하는 포인트를 관찰해보면, '뭐가 문제인지 명확하지 않아서'인 경우가 많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예를 들어 "제 화면에서 사이트 이미지가 안 떠요!"라고 개발자에게 보고하면, 개발자는 '어떤 컴퓨터/스마트폰에서 확인했는가, 브라우저 버전은 무엇인가' 등 필요한 정보를 찾게 된다. 그걸 매번 일일이 물어보고 확인하다 보면 마음은 답답해지고 시간은 흘러가고 작업은 더뎌질 수밖에 없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개발자에게 문제를 보고할 때 구체적인 정보 위주로 전달하면 커뮤니케이션이 훨씬 매끄러워질 것이다. 그를 위해 필요한 도구를 몇 가지 소개해 보겠다.</p><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pan style="background-color:rgb(255,255,255);color:rgb(70,78,95);"><strong>1. whatismybrowser.com</strong></span></h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97/image001.png" alt="PC 정보 공유"><figcaption><출처: whatismybrowser.com></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나의 브라우저, 해상도, OS, IP주소 등의 정보를 한꺼번에 담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로, 최근 가장 애용하고 있다. 웹 서비스를 운영하는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도구라고 생각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사이트에 접속하면 내 컴퓨터 환경에 대한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가능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p><ul><li style="text-align:justify;">웹 브라우저 이름과 버전</li><li style="text-align:justify;">컴퓨터 OS 이름과 버전</li><li style="text-align:justify;">자바스크립트 및 쿠키 활성화 여부</li><li style="text-align:justify;">IP 주소와 대략적인 지역</li><li style="text-align:justify;">통신사 이름</li><li style="text-align:justify;">컴퓨터 해상도</li><li style="text-align:justify;">브라우저 해상도</li><li style="text-align:justify;">User Agent</li><li style="text-align:justify;">브라우저 언어 등</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문제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웬만한 경우 개발자에게 위 정보를 공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공유 방법도 간단하다. 사이트에 상단에 'Copy URL to clipboard'라는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을 누르면 나의 정보를 담고 있는 고유 링크가 복사된다. 그리고 이 링크를 상대방에게 전달하면 끝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전달받은 링크로 개발자가 접속하면 해당 링크가 며칠 몇 시 몇 분에 발급되었는지, 상대방의 컴퓨터 환경은 어떻게 되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확인도 쉽고, 공유도 쉬우니 업무를 하거나 개발자와 소통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도구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locaping.com/traceroute</strong></h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97/image002.png" alt="해외 접속 속도"><figcaption><출처: locaping.com></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글로벌 서비스를 운영할 때 '해외에서 접속할 때 너무 느려요'라는 고객 문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단순히 개발자한테 “해외에서 느리대요”라고 전달하면 불협화음이 발생할 수 있다. 심지어 '도대체 얼마나 느리다는 건데?'라는 짜증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locaping.com를 활용하면 특정 국가에서 우리 사이트를 접속했을 때 RTT(Round Trip Time, 왕복 시간)가 얼마나 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옆 나라 일본에서 우리 사이트를 접속했을 때와 바다 건너 미국에서 접속했을 때 몇 초 차이 나는지를 비교해볼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물론 이미지나 동영상 등 사이트의 모든 요소에 대한 검사보다는, 단순히 테스트용 신호가 되돌아오는 시간을 비교하는 것이라 정밀한 정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대략 얼마나 느린지 숫자로 확인해 개발자에게 보고할 정도로는 충분하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bluetree.ai/screenfly</strong></h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97/image003.png" alt="웹서비스 레이아웃"><figcaption><출처: bluetree.ai></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웹 서비스의 레이아웃이 깨져 보일 때, 왠지 정렬이 어긋나 보일 때가 있다. 그 즉시 "개발자님! 사이트가 이상해요!!"를 외치고 싶어 지지만, 그전에 한 가지를 스스로 검증해보자. '내 컴퓨터 화면에서만 그러는지' 확인해보는 것을 권장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예를 들어 나의 웹 브라우저의 해상도는 1680x1025인데, 서비스 사이트는 1920x1080 해상도에 최적화되어 있다고 해보자. 그 경우 내 컴퓨터에서는 사이트 요소가 완벽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아 보일 수 있다. 이때 bluetree.ai/screenfly로 접속해 '다른 해상도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보면, 단순히 '사이트가 안 이뻐요!'가 아닌 'OO 해상도에서는 최적화가 안 되어 있어요'라며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여러 해상도에서 잘 나오는 것을 확인했으면 개발팀의 시간을 뺏지 않았으니 그것만으로도 좋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최근에는 컴퓨터 해상도에 관계없이 대응할 수 있는 반응형 사이트가 많아지면서 해상도가 문제 될 소지는 줄어들고 있긴 하다. 하지만 그만큼 사용자들의 해상도도 다양해지고 있어서, 이 정도 확인은 비개발자가 스스로 하면 개발팀과의 협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4. 크롬 개발자 도구에서 HAR 파일 저장하기</strong></h3><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597/image004.png" alt="크롬 개발자 도구"><figcaption><출처: 크롬 개발자 도구></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수많은 사람이 구글 크롬을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하고 있는데, 크롬에는 '개발자 도구'라는 도구가 있다. 이름만으로는 개발자들만 쓸 것 같지만, 비개발자에게도 유용한 도구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업무를 위해 사이트를 확인할 때 "웹사이트 이미지 뜨는 속도가 느려요"라고 보고할 때가 있다. 그럴 때 그저 '느리다'라고 표현하지 않고, 어떤 부분이 얼마나 느린지를 데이터로 보여주면 개발자에게 훨씬 와닿게 전달할 수 있다.</p><ul><li style="text-align:justify;">개발자 도구 열기 (크롬에서 오른쪽 클릭 > 살펴보기(Inspect) 클릭)</li><li style="text-align:justify;">개발자 도구에서 네트워크(Network) 탭 누르기</li><li style="text-align:justify;">사이트 접속하기</li><li style="text-align:justify;">접속을 시작과 함께 발생하는 관련 데이터와 각 소요 시간이 자동으로 개발자 도구에 기록됨</li><li style="text-align:justify;">사이트 로딩이 끝났으면 개발자 도구에서 오른쪽 클릭 후 'HAR 형식으로 모두 저장(Save all as HAR with content)' 클릭</li><li style="text-align:justify;">기록된 데이터가 HAR 파일 형태로 저장됨</li></ul><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백문이 불여일견’, 말로 설명하면 서로 힘들다</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개발자는 개발하는 사람이고, 개발의 대부분은 컴퓨터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컴퓨터 언어는 답답할 정도로 모호함을 용서하지 않는다. 흑과 백을 확실히 할수록 확인이 편해진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리고 개발자가 일하기 편해지면 비개발자도 원하는 결과를 빨리 얻을 수 있다. "말씀하시는 내용이 이건가요?"라며 서로의 이해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물론 대충 말해도 찰떡같이 이해하는 개발자분들도 많지만, 구체적인 정보로 대화하면 협업이 한층 더 쉬워진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굳이 말로 설명하지 않아도 되는 건 파일과 링크를 전달하면 좋다. 위에 소개한 4가지 외에도 모호함을 줄여주는 도구는 세상에 많으니 부지런히 활용하는 걸 추천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999999;">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