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콘텐츠를 스크랩하고 관리해 보세요!
성장에 도움이 되는 IT 콘텐츠를 스크랩하고 관리해 보세요!
스크랩북 시작하기
다른 서비스
NEW
기획
디자인
개발
프로덕트
아웃소싱
프리랜싱
비즈니스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최근 검색어가 없습니다.

얼마 전 한국은행에서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여신금융협회 등에서는 종종 이러한 보고서를 발간합니다. 저처럼 업계에 있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굳이 해당 사이트의 메뉴를 찾아 들어가 볼 일은 없기에 좋은 자료가 공개되어도 잘 모르는 일이 태반입니다.

회원가입을 하면 원하는 문장을
저장 할 수 있어요!

다음

회원가입을 하면
성장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스크랩할 수 있어요!

확인

비즈니스

한국은행 보고서로 보는, 핀테크 시장 동향

 

얼마 전 한국은행에서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여신금융협회 등에서는 종종 이러한 보고서를 발간합니다. 저처럼 업계에 있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굳이 해당 사이트의 메뉴를 찾아 들어가 볼 일은 없기에 좋은 자료가 공개되어도 잘 모르는 일이 태반입니다.

 

이번 조사는 2021년 10월부터 11월 동안 지역과 연령대를 배분하여 전국 19세 이상 성인 3,53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습니다. 요즘IT에는 현직에서 일하는 전문가들이 많아 공감하실 것 같은데, 업계에서 하루 종일 한 분야만 바라보고, 그 분야의 사람들만 만나면 일반 대중들의 사용 패턴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종일 국내외 핀테크 서비스를 분석하고, 주변 사람들도 다 전문가다 보니 자연스레 ‘고객들도 이 정도는 다들 할 거야’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고객 대상으로 서비스를 기획하는 직군에서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기 때문에 이런 외부 보고서를 참고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보고서를 살펴보면서 모바일과 핀테크 서비스 기획 시 활용한 인사이트가 많이 보여 이번 글에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보고서 전문은 ‘2021년 지급수단 및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결과’에서 볼 수 있습니다.

 

IT 기업보다 금융회사의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선호를 더 선호한다

보고서 첫 부분부터 눈에 확 띄는 내용이 나옵니다. 바로 모바일 금융서비스 제공기관별 선호도 및 이용 빈도로, 금융회사의 모바일 서비스 이용이 IT기업(네이버, 카카오, 페이코 등)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솔직히 ‘핀테크 앱이 더 편하게 느껴지는데 왜 이런 답변이 나올까?’라고 궁금했습니다. 그 이유는 46.1%의 ‘주로 이용하는 은행 및 카드사가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을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금융사 앱을 설치∙사용하고 보조재로 핀테크 앱을 사용하는 패턴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제공기관별 선호도
(출처: 이용행태 조사결과 보고서)

 

 

지급수단별 이용경험에서 선불카드, 전자화폐의 경험률이 아직 낮다

선불카드, 전자화폐의 이용경험이 모바일카드보다 낮게 나온 점도 흥미로웠습니다. 다들 아시는 것처럼 코로나 사태로 인해 2차례의 전국민 재난지원금이 지급되었습니다. 또 지자체별로 경기 활성화를 위해 앞다투어 지역화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최대 10%를 할인해 주고 있기 때문에 입소문도 많이 탔지만, 아직 전 국민 대상으로 볼때에는 아직 낮은 인지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급수단별 이용경험
(출처: 이용행태 조사결과 보고서)

 

 

개인이 지갑에 보유한 현금은 평균 5.9만 원으로 이전 조사보다 0.6만 원 증가했다

최근 모바일 결제의 활성화로 ‘현금보다 카드나 스마트폰을 가지고 다닌다’라는 얘기가 많아서 현금보유 관련 통계에 관한 관심이 컸습니다. 저는 아예 현금을 안 들고 다니고, 필요할 때마다 근처 편의점 등에서 ATM을 활용하는 편입니다. 요즘은 모바일 인증만으로 출금할 수 있는 ATM도 많아서 사실 지갑 없이 다니게 되었는데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직도 많은 분이 현금을 가지고 다니는 걸로 나타났습니다. 그 외 흥미 있는 내용은 ‘남성이 여성보다 현금 보유율이 높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현금 보유율이 높다’고 합니다. 고소득자가 모바일∙핀테크 활용비율도 높으면서 현금을 여전히 가지고 다니는 점도 흥미로웠습니다.

 

 

1만 원 미만 소액거래는 현금을, 그 외 모든 금액대에서 신용카드 이용 빈도가 높다

가맹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소액을 카드로 결제하려 하면 가맹점주가 인상을 찌푸리는 것입니다. ‘카드 수수료 떼면 남는 게 없다’라는 앓는 소리를 듣게 되는데요. 실은 결제액이 크든 작든 가맹점주가 부담하는 수수료는 똑같습니다. 오히려 소액 다건 결제는 카드사에게 부담이 커집니다. 카드사가 VAN 사에 정산해주는 수수료는 ‘건당 **원’으로 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래서 매년 카드사와 밴사 간에 ‘정률제냐 정액제냐’로 분쟁이 일어나곤 합니다.

 

현재 1만 원 미만 소액거래에서 현금을 사용하는 비중이 매우 높습니다. 그렇지만 빠른 속도로 소액결제 역시 늘어나고 있는데요. 보고서를 보면 2030이 주도하고 있는 변화라서 핀테크와 빅테크 기업이 소액결제에 관련한 많은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 기획자라면 시장의 변화가 어떨지 주목해야 할 부분입니다.

 

간편결제 프로모션
소액결제 프로모션에 주목하는 간편결제 기업들. (출처: 네이버페이)

 

 

세금납부를 제외한 모든 온라인 구매소별 지급수단 이용비중에서 신용카드가 우위를 차지했다

현재 오프라인 국내 결제수단은 신용∙체크카드가 압도적인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온라인도 다르지 않으나, 특이하게 세금납부만 계좌이체가 우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세금도 카드납부가 되는데도, 계좌이체를 하는 이유는 특이하게도 카드로 국세 납부 시 별도의 수수료를 고객에게 청구하기 때문입니다. 신용카드 0.8%, 체크카드 0.5%의 추가 수수료가 고객에게 청구되다 보니 계좌이체가 많은 것으로 보입니다(지방세는 추가 수수료 없음).

 

구매장소별 지급수단
(출처: 이용행태 조사결과 보고서)

 

 

모바일, 디지털화폐로의 점진적 변화가 시작되다

20~50대 응답자의 30% 이상이 ‘향후 현금사용량이 감소할 것’이라고 응답했습니다. 반면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현금 사용량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는데요. 연령대로 보았을 때 현금 대신에 점진적으로 모바일, 디지털화폐로 옮겨갈 것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해외 송금 이용경험은 시중은행 영업점 방문이 높다

해외송금 이용방법
(출처: 이용행태 조사결과 보고서)

 

지난 몇 년간 해외송금이 핀테크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해외에서는 트랜스퍼와이즈(Transferwise), 국내에서는 센트비(Sentbe) 등이 유명세를 탄 바 있는데요. 보고서를 살펴보면 거의 7~8년 전부터 주목받았는데도 불구하고 실제 고객들은 아직도 해외송금 경험 자체가 적고, 경험이 있더라도 오프라인 은행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 추정 시 참고할 만한 부분입니다. 특이한 점은 인터넷 전문은행 사용률이 높아지는 것인데,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가 서비스 초기에 관련 프로모션을 많이 했던 영향이 아닐까’라고 짐작됩니다.

 

해외송금 프로모션
기존 은행과 차별점으로 강조했던 인터넷 전문 은행 해외송금 프로모션. (출처: 보도자료)

 

 

조사대상자의 7.5%가 코인 보유 경험이 있고, 코인투자관련 응답자의 상당수가 암호자산을 인지하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흥미로웠던 부분으로 코인투자관련 응답자의 62.8%가 암호자산을 인지하고 있으며, 20~40대의 인지 비율이 높았습니다. 소득수준별로는 고소득자일수록 인지 비율이 높았고, 조사대상자의 7.5%가 코인보유 경험이 있는 것으로 응답했습니다. 이를 볼 때 아직 대중적으로 암호화폐를 투자하고 있진 않으나 고소득자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다른 가중치를 두지 않은 무작위 표본임에도 전체의 7.5%가 코인투자 경험이 있는 것은 적은 숫자가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암호자산 보유경험
(출처: 이용행태 조사결과 보고서)

 

 

마치며

이번 보고서를 보면서 ‘금융 시장에 인터넷 전문은행이나 빅테크∙핀테크 기업들의 도전이 계속되고 있지만, 시중 대형은행들이 버틸 수 있는 이유’를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요즘IT’를 보는 독자분들이나 저 같은 사람처럼 특정 직군에 관심이 많은 고객만이 전부가 아니었던 겁니다. 아직도 많은 분에게는 오프라인 은행이 더 편하고, 모바일 금융은 멉니다. 상대적으로 젊고, 고소득일수록 모바일금융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고요. 이번 글이 모바일 금융 트렌드를 이해하는 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대표 이미지 출처: Freepik

 

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좋아요

댓글

공유

공유

댓글 0

길진세

통신사와 카드사에서 17년째 핀테크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카드사에서 금융전략을 담당하고 있으며 토스카드, 인터넷전문은행 카드계구축, 정부재난지원금의 PO을 했습니다. 브런치(https://brunch.co.kr/@jinsekil)에 핀테크와 직장생활에 대한 글을 씁니다. '왜 지금 핀테크인가', '더이상무리하지않겠습니다'라는 책과 몇 편의 핀테크 논문을 냈습니다. fintechmaker@gmail.com

핀테크의 금융권 진출, 어디까지 가능할까?

비즈니스

네이버페이와 삼성페이가 손잡을 줄이야

비즈니스

'원앱' 전략 꺼내든 KB·신한카드, 핀테크 넘어설 수 있을까?

비즈니스

신한플러스의 신선한 도전, 올드 유저에게 통할까?

비즈니스

뱅크샐러드는 데이터 전문 기업이 될 수 있을까

비즈니스

네이버, 쿠팡, 토스도 하는 '후불결제'의 미래, 이대로 괜찮을까?

비즈니스

금융 앱이 국민비서 서비스를 도입하는 이유

비즈니스

간편결제 시장을 뒤흔들 삼성페이의 3가지 변화

비즈니스

삼성의 모니모 앱은 성공할 수 있을까?

비즈니스

KB금융그룹의 앱 전략은 어떻게 변화했을까?

비즈니스

눈길을 끄는 국내외 디지털 헬스케어 사례

프로덕트

애플페이 도입 전후에 대한 전망

프로덕트

카카오톡 송금이 논란이 되었던 이유

비즈니스

금융위원회 발표로 달라지는 ‘2022 핀테크’

비즈니스

삼성페이를 도입하는 카드사의 속사정

비즈니스

토스는 왜 알뜰폰 사업을 시작할까요?

비즈니스

금융 앱의 콘텐츠 도입, 성공할 수 있을까?

비즈니스

중국은 어떻게 간편결제 강국이 되었을까?

비즈니스

토스의 가맹점 단말 사업 진출이 의미하는 것

비즈니스

은행 앱의 변신은 무죄일까?

비즈니스

우리나라에서 BNPL이 어려운 이유

비즈니스

카드사들의 연합전선, 오픈 페이에 대하여

비즈니스

카카오 뷰는 성공할 수 있을까?

프로덕트

마이데이터를 잡아라: ④마이데이터 사업의 미래 전망

기획

마이데이터를 잡아라: ③핀테크 마이데이터 사업 동향

기획

마이데이터를 잡아라: ②금융권 마이데이터 사업 동향

기획

마이데이터를 잡아라: ①마이데이터란?

기획

결제산업 완전분석: ⑦온라인 결제와 간편 결제의 등장

프로덕트

결제산업 완전분석: ⑥카드사업의 변화를 이끈 모바일

프로덕트

결제산업 완전분석: ⑤새로운 트렌드 PLCC

프로덕트

결제산업 완전분석: ④카드 서비스는 어떻게 만들까?

프로덕트

결제산업 완전분석: ③ 당신이 카드를 긁으면 벌어지는 일들

프로덕트

결제산업 완전분석: ② 당신은 카드를 구분할 수 있는가?

프로덕트

결제산업 완전분석: ① 신용카드의 역사

프로덕트

카카오뱅크는 플랫폼이 될 수 있을까?

프로덕트

같은 분야를 다룬 글들을 권해드려요.

요즘 인기있는 이야기들을 권해드려요.

좋아요

댓글

스크랩

공유

공유

지금 회원가입하고,
요즘IT가 PICK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하기
지금 회원가입하고,
요즘IT가 PICK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하고,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