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justify;">정답은 “소리가 나야 한다”이다. 제목의 질문을 보자마자 바로 답이 나오지 않았다면 괜찮다. 인간은 원래 이중부정문을 직관적으로 이해하지 못한다. 스마트폰에서 Mute 기능을 표현한 사례들을 살펴보고, <strong>‘UX 라이팅(UX Writing)’에서 다중부정문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 이유</strong>에 대해 알아보자.</p><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Mute Off’의 최악의 사례</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기업들이 제대로 된 UX 라이팅을 하지 않으면 어떤 결과가 일어날까? ‘Mute 토글 표현’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벌어지는 최악의 사례를 살펴보자.</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8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2.png" alt="무음모드 최악 사례"><figcaption>(출처: <a href="https://www.infragistics.com/community/blogs/b/ux/posts/mute-on-mute-off">infragistics.com</a>)</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위 그림은 2016년경 구글 지도 앱에서 길 안내 음성을 켜거나 끄는 기능이 구현된 모습이다. ‘Mute OFF’ 또는 ‘Mute ON’이라는 표현을 통해 음성 기능 활성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그렇다면 <strong>‘Mute ON’</strong>이라는 표현은 소리가 켜진(ON) 상태일까, 아니면 <strong>‘Mute OFF’</strong>라는 표현이 소리가 켜진(ON) 상태일까?</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결과는 Mute ‘OFF’라는 표현이 소리가 켜진(Sound ON) 상태를 의미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방금 글을 읽으면서 잠깐이라도 집중력을 잃었다면 정상이다. 사용자가 조금이라도 헷갈리게 만들어졌다면 그건 디자인의 문제다. 만약 화면 위에 뜬 ‘Mute off’라는 표현을 보고 소리가 꺼진 줄 알고 공연장이나 중요한 콘퍼런스에 참여했다면 벨 소리가 우렁차게 울리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도 있는 일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Mute 기능 사례분석</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이처럼 잘못된 기능 표현은 사용자에게 큰 피해를 끼치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여러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어떤 방식으로 Mute 기능을 표현하고 있을까? 안드로이드 진영의 ‘삼성 갤럭시’와 ‘구글 Pixel’, 그리고 iOS 진영의 아이폰 사례를 찾아봤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3단계로 잘 구분한 삼성 갤럭시</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3-horz.jpg" alt="삼성갤럭시 무음모드"></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삼성은 소리/진동/무음(영어: Sound/Vibrate/Mute) 등 세 개의 분절된 기능으로 기기의 소리 상태를 표현했다. ‘소리(Sound)‘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반드시’ 소리가 나는 모드, ‘진동(Vibrate)’은 소리는 ‘절대’ 나지 않지만 진동이 발생하는 모드, ‘무음(Mute)’은 소리 및 진동이 ‘절대로’ 발생하지 않는 모드로 나누어 사용자가 혼동하는 일이 최소화되도록 주의를 기울였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언어적 표현을 피해간 구글 픽셀</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8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5.png" alt="구글 픽셀 무음모드"></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구글 픽셀은 진동 설정을 ‘소리 ON/OFF 기능’과 별도로 분리하고, 소리를 끄는 행위를 특정 단어로 표현하지 않았다. 대신 현재 ‘volume’만을 설정할 수 있어서 슬라이드의 왼쪽 끝으로 밀면 ‘volume 0’으로 표현해 무음이라는 걸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설계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이 글을 쓰게 된 이유, iOS 아이폰</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6.png" alt="아이폰 무음모드"></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아이폰은 소리를 끄는 기능을 ‘무음모드’라고 명명했다. 그렇게 해서 ‘기능 ON/OFF’는 ‘무음모드 켬/무음모드 끔’이 되었다. 이 경우 앞선 최악의 사례처럼 <strong>소리가 켜져</strong> 있음에도 불구하고, 무음모드 끔 상태가 되고, 무음모드를 켠 경우에는 <strong>소리가 반대로 꺼지는 상황</strong>이 발생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그래서 이걸 왜 헷갈리는 거지?</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여기까지 읽어 봤을 때 “조금만 생각하면 크게 헷갈리지 않을 텐데, 이 정도로 태클을 걸 일인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이런 분들을 위해 한 연구사례를 준비했다. 스페인 USC(University of Santiago de Compostela)와 스페인 뇌인지 바스크센터(Basque Center on Cognition, Brain and Language, BSBL)의 합동 연구에 따르면, 특정 상황을 기술하는 문장의 참 거짓을 판단하도록 한 실험에서 부정 표현이 2번 이상 반복된 다중부정문(‘Multiple Negations)의 경우, 단일부정(Single Negation) 문장에 비해 24% 이상 정확도가 낮았다. 특히 부정 표현이 2번 반복된 이중반복문(Double Negation)문은 정확도가 더 떨어졌다. 이처럼 부정 표현이 늘어날수록 대부분의 참가자가 실제 뜻과 정반대로 인식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런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우리의 뇌가 긍정문에 비해 부정문을 처리할 때에 더 복잡한 인지적 절차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특히 부정문에서 부정표현이 늘어나는 다중부정문의 경우, 단일부정문에 비해 처리시간이 증가하고 정확도가 낮아진다. 우리가 집중하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뇌의 자원을 적게 사용하는 무의식적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실수할 수 있다는 뜻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의외로 쉬운 해결 방안</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해결 방법은 간단하다. 다중부정문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다중부정문을 없애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첫째, 부정 표현을 긍정 표현으로 바꾸기</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7.png" alt="무음보드 긍정 표현"></figure><p style="text-align:justify;">‘어떤 행동을 하지 아니하지 않다’는 말은 곧 ‘어떤 행동을 한다’는 의미와 같다. 이처럼 부정 표현을 두 번 써야 할 때 하나의 긍정 표현으로 바꾸면 보다 쉽게 이해하기 쉽다. 예를 들어 무음모드 끄기 같은 경우, ‘무음’이 소리가 ‘없다’는 부정 표현이고, ‘끄기’ 또한 부정 표현이므로 ‘소리 켜기’와 같이 긍정 표현이 한 번 사용된 표현으로 바꾸어 나타낼 수 있다. 이와 대비되는 구였던 ‘무음모드 켜기’는 부정 표현이 한 번 사용된 ‘소리 끄기’로 나타낼 수 있겠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둘째, 한 단어로 바꾸기</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8.png" alt="무음모드 단어 변경"></figure><p style="text-align:justify;">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진 것보다 하나의 단어로 표현할 수 있으면 더 좋다. 앞선 사례에서 삼성의 경우가 여기에 해당한다. ‘무음모드 끄기’, 즉 소리를 켜는 기능이면 단순히 ‘소리’라고만 작성해도 충분하다. 반대로 소리를 끄는 기능은 ‘무음’이라고만 써도 충분하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셋째, 아예 언어로 표현하지 않기</strong></h4><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62/image009.png" alt="무음모드 아이콘"></figure><p style="text-align:justify;">구글 픽셀의 예시처럼 아예 언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기능을 표현하는 아이콘 등이 충분한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라면 그 아이콘을 사용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일 수 있다. 이 경우 번역을 어떻게 할지 고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별도의 설명 없이 기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기업이 가장 선호할 만한 방법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만약 반드시 언어적 표현을 사용하여야 한다면 아이콘과 같은 비언어적 표현을 함께 사용하는 편이 사용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사용자 중심으로 설계하기</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지금까지 무음모드를 표현한 사례들을 통해 다중부정문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소한 디자인 요소일수록 인간은 뇌 자원을 덜 사용하게 되므로, 디자이너는 사용자가 실수로 잘못 선택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여 설계해야 한다. 우리가 한 번 신경 써서 설계한 디자인이, 누군가의 난처한 상황을 막을 수 있음을 명심하자.</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참조></p><p style="text-align:justify;"><a href="https://www.infragistics.com/community/blogs/b/ux/posts/mute-on-mute-off">Mute On, Mute Off? | Infragistics Blog</a></p><p style="text-align:justify;">남윤주, (2016) 부정문 처리와 문장 진리치 판단의 인지신경기제: 한국어 통사적 부정문과 어휘적 부정문에 대한 ERP 연구</p><p style="text-align:justify;"><a href="https://en.wikipedia.org/wiki/Double_negative">Double negative - Wikipedia</a></p><p style="text-align:justify;">Iria de-Dios-Flores, (2019) Processing Sentences With Multiple Negations: Grammatical Structures That Are Perceived as Unacceptable,</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color:#999999;">©️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span></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