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justify;">이런 분들께 이 글을 추천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고민 중인 직장인·대학생·취준생, 코드 없이 프로덕트를 제작하고 싶은 분.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재밌게 읽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2만 명이 다녀간 노코드 홈페이지 제작기를 공유합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개인 프로젝트, 노션 템플릿 사이트</strong></h3><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5개월, 광고 없이 2만 명이 다녀갔습니다.</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개인 프로젝트로 노션 템플릿 무료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작년 10월부터 운영을 시작했고 어느덧 5개월 정도가 지났다. 지난 5개월 간 약 2만 명이 다녀갔다. 별도로 광고나 마케팅도 하지 않았고 새로운 템플릿이 나올 때마다 페이스북 노션 커뮤니티에 글을 업로드하는 정도였다. 아래의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 약 50%가 검색(Organic Search)을 통해 유입됨을 알 수 있다. <a href="https://brunch.co.kr/@famelee/40">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가 궁금하면, 과거 글을 참고하자</a>.</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1.png" alt="노션 템플릿 사이트"></figure><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2.png" alt="무한도전 노홍철"><figcaption>이게 되네? (출처: 무한도전)</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개발? 그게 뭐죠?</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노션 템플릿 무료 사이트, <a href="https://notionbox.oopy.io/">노션박스</a>는 <strong>어떠한 개발도 없이 SaaS 툴을 적절히 조합해서 만들었다.</strong> 노션을 사용하는 누구나 사이트에서 템플릿을 무료로 다운 받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유저는 사이트에 적은 금액을 바로 후원할 수 있고 필요한 템플릿을 댓글로 요청하거나 이메일을 이용하여 구독을 할 수도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사이트를 만드는 데 아래와 같은 SaaS 툴을 사용했다.</strong> 노션으로 홈페이지 형식과 모든 콘텐츠를 제작하고, <a href="https://www.oopy.io/">우피 서비스</a>를 통해 도메인을 생성해 홈페이지로 변환시켰다. 우피로 변환된 홈페이지에 HTML 코드를 추가 설정할 수 있기에 (1) GA, Search Console 등의 데이터 트래킹 툴을 연동시키고 (2) Meta 태그를 설정 SEO 작업을 진행했다. 추가적으로, 방문객 PV 배지는 <a href="https://hits.seeyoufarm.com/">HITS 서비스</a>로, 댓글창은 <a href="https://joey.team/">Joey 서비스</a>, 후원 기능은 <a href="https://toss.me/">토스 아이디 기능</a>을 사용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3.png" alt="노션박스 이용 서비스"><figcaption>노션박스 이용 서비스 정리</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사이트 구조 설계하기</strong></h3><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고객 여정은?</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유저는 노션 박스에서 다양한 노션 템플릿을 둘러보고 마음에 드는 템플릿을 다운 받을 수 있다. 고객 여정을 그려보면 (1) 유저는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2) 카테고리 페이지에 접속한다. 이 후, (3)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템플릿 중 관심 있는 템플릿을 클릭하고 (4) 템플릿 페이지에서 세부 정보를 확인하고 (5)마지막으로 해당 템플릿을 다운 받는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4.png" alt="고객 여정"></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홈페이지 구조(IA)</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strong>고객 여정을 바탕으로 사이트의 IA</strong>는 설계하면 최하위 뎁스에 템플릿 페이지가 있고, 그 상위 뎁스로 템플릿을 그룹화하는 카테고리 페이지가 존재해야 한다. 즉, <strong>다양한 노션 템플릿을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해서 보여주는 구조로 IA가 설계돼야 한다.</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5.png" alt="홈페이지 구조"></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첫 인상을 사로잡는 홈페이지 만들기</strong></h3><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홈페이지 최상단의 목표</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strong>첫 접속에서 사이트의 이미지가 결정된다.</strong> 사이트에 접속했는데 어딘가 어색하거나, 부족한 점이 보이면 이후의 모든 여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홈페이지의 최상단의 목표를 통해 <strong>(1) 사이트가 제공하는 핵심 가치</strong>와 <strong>(2)사이트가 충분히 신뢰성 있음을 고객에게 전달</strong>하기로 설정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6.png" alt="홈페이지 최상단 목표"></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타겟 고객에서 시작하는 헤드 카피</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사이트의 헤드 카피는 첫 방문 고객에게 우리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 바로 전달해준다. <strong>즉, 헤드 카피의 목적은 고객 후킹이며 이를 위해 타겟 고객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strong> 고객이 명확할수록 이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하며 그에 맞는 헤드 카피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타겟 고객으로 <strong>(1) 일상을 기록하고 싶은 대학생</strong>과 <strong>(2) 생산성을 추구하는 스타트업 플레이어</strong>로 설정했다. 그리고, 이들은 개인 계정 혹은, 회사 지원으로 노션을 무료로 사용하고 있기에 '무료'가 후킹 포인트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노션을 자신의 목적에 맞춰 더 잘 사용하기 위해 템플릿을 찾을 것이다. 따라서, '노션을 200% 더 잘 쓰고 싶다면?', '스타트업, 학교, 집에서 모두 써먹는 노션 무료 템플릿'을 헤드 카피로 삼았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7.png" alt="노션 템플릿"><figcaption>핵심 문구를 검색 노출 문구에도 사용했다.</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헤드 카피는 노션의 Head 블록을 사용했다.</strong> 노션에서 '/head’를 입력하면 Head 블록 생성창이 출력된다. Head 블록을 만들어 텍스트를 입력 후, 강조하고 싶은 부분만 검정으로 그 외는 회색으로 설정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8.png" alt="노션 head 블록"></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Head 텍스트를 2줄 입력하고 싶다면, 줄 내림 기능을 사용하면 된다.</strong> Head 블록은 차지하는 면적이 크다 보니, Head 블록을 2개 만들어서 위아래로 배치시킨 경우에 큰 공백이 생긴다. 그 대신, 1개의 Head 블록을 만들고 줄 내림을 사용한다면 공백을 줄일 수 있다. 'shift + 엔터'를 치면 줄 내림이 가능하다. 오른쪽 이미지 같이, 1개의 헤드 블록에 줄 내림을 적절히 사용해서 공백 없이 헤드 카피를 보여줄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09.png" alt="줄 내림 기능"><figcaption>두 줄을 이용할 때의 여백과 줄 내림 기능을 이용할 때 여백과 카피</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신뢰성을 보여주자! PV 배지</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유명한 서비스라면 모르겠지만, 노션으로 만든 사이트는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은 사이트다. 따라서, 고객이 사이트에 처음 접속했을 때, 사이트가 이미 망해서 관리가 안 되는 유령 사이트인지, 아니면 잘 돌아가는 따끈한 사이트인지 알 도리가 없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따라서, <strong>첫 방문 고객에게 사이트가 잘 돌아가고 있음을 알려줘야 한다. 이를 위해 PV 배지를 헤드 카피 아래에 심었다.</strong> 해당 배지는 <a href="https://hits.seeyoufarm.com/">링크</a>에서 무료로 생성할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HITS 사이트에 접속해서 홈페이지로 만들 노션 페이지 링크를 [TARGET URL] 필드에 입력한다. 페이지 링크는 노션 우측 상단의 [Share] 버튼을 클릭하면 확인 가능하고, 'Ctrl + L'로 현재 노션 링크를 바로 복사할 수도 있다. 복사한 링크를 [TARGET URL]에 입력하고, [OPTIONS]에서 세부 디자인 설정을 하면 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0.png" alt="노션 페이지 링크"></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후, <strong>[EMBED URL(NOTION)]에 적힌 링크를 복사해서 노션에 임베디드하면 된다.</strong> 링크를 복붙 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 칸이 자동으로 나온다. 여기서 [Embed]를 클릭하면 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1.png" alt="노션 임베디드"></figure><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2.png" alt="노션 임베디드 이미지"></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간혹 인터넷 등의 문제로 링크가 임베디드 되지 않을 때도 있다. 이런 경우, <strong>노션에서 /embed를 치면, embed 블록이 생성된다.</strong> 해당 블록을 생성하고, 링크를 직접 입력하면 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3.png" alt="embed 블록 생성"></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데스크탑과 모바일 레이아웃, 모두 고려했나요?</strong></h3><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2 Grid 레이아웃</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strong>블록을 좌우로 배치해 2 Grid 레이아웃의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strong> 페이지의 좌측은 텍스트 블록을, 우측은 이미지 블록을 넣어서 홈페이지를 보여주는 2 Grid 레이아웃 형식으로 만들었다. 가운데 회색 선은 좌우에 블록이 위치함을 보여주는 선인데 이를 조절해 그리드의 상대적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이미지를 더 강조하고 싶다면, 가운데 레이아웃 선을 왼쪽으로 이동시켜서 이미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넓히면 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4.png" alt="2 grid 레이아웃 페이지"></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만약 <strong>2 Grid 레이아웃을 사용할 거면, [Full width] 기능의 사용도 염두에 두자!</strong> 우측 상단의 속성 버튼을 클릭하면, [Full width]라는 설정 칸이 나온다. 해당 설정을 통해 페이지의 좌우 여백을 남길지 설정할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5.png" alt="full width"></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상단 이미지는 Full Width를 킨 상태고 하단은 그렇지 않은 상태이다. Full Width를 켜, 유저의 윈도우 뷰 크기에 따라서 컴포넌트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달라진다. 반면, Full Width를 끈 상태에서는 좌우 여백이 생겨서 윈도우 뷰가 아무리 커져도 컴포넌트 위치에 변화가 없다. 따라서, <strong>페이지의 레이아웃과 콘텐츠 크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Full Width 유무를 결정</strong>하자</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6.png" alt="full width 유무"></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모바일도 생각하셨나요?</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위 설정은 데스크탑 유저에게만 유효하다. 반응형 서비스에서 윈도우 뷰가 작아지면, 2 Column의 배열이 1 Column으로 바뀌는 상황이 여기서도 일어난다. 즉, <strong>모바일에서 2 Grid 레이아웃이 자동으로 1 Grid 레이아웃으로 바꿔서 나온다.</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상단 이미지는 데스크탑에서 보인 화면이고 하단 이미지는 모바일에서 보이는 화면이다. 2 Grid 레이아웃이 1 Grid 레이아웃으로 바뀌었고 우측 노션 박스 이미지가 하단으로 이동됨을 볼 수 있다. 이처럼 <strong>2 Grid 레이아웃을 사용할 거면 모바일에서 보일 순서도 함께 생각해 좌측과 우측에 콘텐츠를 배치해야 한다.</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8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419/image017.png" alt="2 grid 레이아웃"></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IA와 레이아웃을 알아봤으니, 그에 맞춰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법을 알아보려 한다. 다음 글에서는 서비스의 첫 인상을 좌우하는 홈페이지에 필요한 요소들을 하나 하나 살펴보겠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