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style="text-align:justify;">지금까지 설명해 온 글들은 머릿속으로 골똘히 생각해야 하는 추상적인 내용에 가까웠다면, 이번에 설명할 내용은 바로 손이 움직이는 구체적인 내용이다. 내 아이디어를 상대방에게 쉽게 전달하기 위해서 다듬는 시간은 지난 것이다. <span style="color:#00a878;">이제는 그 사람의 머릿속에 구체적으로 디자인을 집어넣을 수 있어야 한다.</span></p><div class="page-break" style="page-break-after:always;"><span style="display:none;"> </span></div><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디자인 실무를 진행하며 가장 많이 봐온 유형이 있다.</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바로 어떤 것도 놓지 못하는 유형이다. 제안서든, IR자료이든, 깨알 같은 글씨들이 한 면을 가득 채워야 성에 차는 사람들. 지금까지 해온 모든 역사들을 전부 넣어야 직성이 풀리고, 생각해낸 마지막 한 줌의 아이디어까지 모두 구겨 넣어야 비로소 안심하는 사람들이 엄청나게 많다. 결국 폰트 크기가 6pt나 5pt도 좋으니 전부 넣어달라는 요청을 하는 것이다. (마음을 이해 못 하는 것은 아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런 분들은 보통 제안서에 글이 굉장히 많다. 그래서 여기 도움되는 글을 하나 적으려고 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center;"><i><strong>글 말고 디자인으로 보여주는</strong></i></h4><h4 style="text-align:center;"><i><strong>맥락&임팩트</strong></i></h4><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제안서에 쓴 줄글을 얼마나 읽을까?</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재밌는 이야기를 들었던 적이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똑같은 글을 쓰더라도 제목에 [.jpg]를 붙이는 것이면 조회 수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 그 이미지가 그냥 텍스트를 캡처한 거라도 상관없었다. jpg/gif와 같은 이미지를 우리 뇌가 더 선호한다. 이미지와 텍스트의 집중도는 차원이 다르다. 심지어 우리 뇌는 이미지를 텍스트보다 60% 넘게 오래 기억한다고 한다. <span style="color:#00a878;">이쯤 되면 디자인을 잘 활용한다는 건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것이다.</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1.jpg" alt="제안서 디자인의 중요성"><figcaption>우리 뇌는 이미지를 더 잘 기억한다.</figcaption></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그러니까 더 똑똑하게 디자인하자. 깔끔하고 심플하게 디자인하자고 말하는 게 아니다. 그건 당연한 거다. <strong>글을 읽지 않아도 맥락이 이해되는 디자인이 제안서를 위한 좋은 디자인이다.</strong> 구체적인 사례를 덧붙여 설명해 보려 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1. 설명이 필요 없는 똑똑한 이미지?</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제안서에 사진이 들어가야 되는 경우는 반드시 생긴다. 어떤 사진을 넣어야 될까? 선명한 사진, 사물이 구체적으로 잘 보이는 사진을 쓰는 것은 기본이다. 조금 더 생각해 보자.</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우리가 이미지로 상품을 넣어야 되는 상황이라고 생각해 보자. <strong>예를 들어 알이 큰 게 포인트인 마늘 종자를 소개한다고 생각해 보자.</strong> 그럼 우리 상품인 마늘 사진을 넣어야 된다. 많은 분들이 아래와 같이 촬영을 할 것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2-vert.jpg" alt="마늘 종자 소개"></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깔끔하고 내 상품이 잘 보이도록. 그리고 왠지 허전할 때 사용할 연출 사진도 여러 컷 찍을 것이다. 이렇게 찍은 촬영 사진들을 제안서 이곳저곳에 넣어서 내 상품을 강조할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pan style="color:#00a878;">하지만 위 사진들에 어떤 맥락이 담겨 있지는 않다.</span> 앞서 설명했듯이 이 마늘 예시의 포인트는 '알이 크다'라는 점이다. 사진만 봐서는 마늘의 크기를 알 수 없다. 어떤 페이지에서 이 마늘의 강점을 소개해야 된다면 위와 같은 사진을 쓰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4.jpg" alt="다른 대상이 있는 이미지"></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위와 같은 이미지를 붙여주면 강조하고 있는 포인트를 바로 알 수 있다. <strong>크기를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다른 대상'이 있는 이미지를 넣는 것이다.</strong> 그래서 사진만 보고도 상품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손뿐만 아니다. 계란이라던지, 핸드폰, 작은 물병, 예시는 우리 주변에 엄청나게 많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cm와 같이 구체적인 수치를 텍스트로 넣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이런 이미지를 넣게 되면 상품 크기를 cm나 글로 구구절절 적지 않아도 상품을 강조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를 강조해서 넣고 부가적인 정보는 텍스트를 줄여서 붙여주면 기억에도 오래 남고 임팩트를 줄 수 있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컨셉 사진이 나쁜 이미지라는 뜻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여러 구도의 이미지로 아이디어를 보여주면 좋기 때문에 사진은 다양하게 찍는 것이 좋다. 여기서 하려는 말은 <span style="color:#00a878;">맥락이 있는 이미지를 써서 읽는 사람의 기억하는 수고를 덜어주자는 얘기를 하는 것이다.</span> <strong>이미지는 비언어 정보를 많이 전달할 수 있다.</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2. 비교, 비교, 비교!</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문제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비교를 해야 한다. 디자인할 때도 마찬가지다. 수치를 수치로만 보여주지 말고 비교해야 한다. <strong>비교해야 강조하려는 내용이 더 강조된다.</strong></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앞서 설명했던 마늘로 예시를 들어보자. 우리나라 사람들이 마늘을 엄청나게 많이 먹는다는 것을 모두가 알 것이다. 어느 정도냐면 마늘을 대략 연간 6kg이나 먹는다고 한다. 이 내용을 제안서 안에서 강조하려고 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5.jpg" alt="연평균 마늘 소비량"></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이런 식으로 수치를 강조해서 넣게 된다. 이 디자인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정말 우리나라가 유달리 마늘을 많이 먹는지는 알지 못한다. <span style="color:#00a878;">왜냐하면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8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6.jpg" alt="내용 비교"></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기준이 있어야 그 문제가 도드라져 보인다. 비교에도 종류가 있는데, 아래의 세 가지 분류로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다.</p><figure class="table"><table><tbody><tr><td><p style="text-align:justify;">1) 시장 비교</p><p style="text-align:justify;">2) 대상 비교</p><p style="text-align:justify;">3) 시간 비교(흐름 비교)</p></td></tr></tbody></table></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trong>어떻게 비교해야 우리 아이디어가 더 돋보일까? 그건 상황에 따라 다르다.</strong> 아이디어의 잠재 가치가 크다면 시간 비교를 통해서 강조할 수 있을 것이다. 수치가 커서 압도적으로 보여주고 싶다면 대상 비교를 통해서 비유적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span style="color:#00a878;">각자의 아이디어에 적합한 표현을 선택하여 똑똑하게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3 style="text-align:justify;"><strong>3. 일단 기본은 무채색입니다.</strong></h3><p style="text-align:justify;">디자인에 관심이 없거나 배우지 않은 분들이 자주 하는 실수다. 바로 허전함을 참지 못하는 것이다. 어떤 분들의 제안서는 형형색색 수많은 가짓수의 색상을 써서 꾸며져 있다. 답은 다들 알고 있다. 고치는 게 어려울 뿐.</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아이디어를 제안하는 입장에서는 그 아이디어만 오랜 시간 동안 고민했기 때문에, 중요도를 구분하기가 어려워진다. 곰곰이 생각할수록 모든 아이디어가 중요하고 모든 아이디어를 강조해야 될 것 같은 생각이 든다. 하지만 결국 모든 아이디어를 강조함으로써 어떤 아이디어도 강조하지 못하게 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justify;"><strong>무슨 색 쓸까? 할 땐 무채색</strong></h4><p style="text-align:justify;">제안서를 디자인해야 할 타이밍이 왔다면 마음먹는 게 중요하다. <strong>일단 무채색으로만 디자인하자.</strong> 브랜드 색상을 정했다면 너무 남발하지 말자. 그리고 강조할 색상을 한 가지만 정해서 <span style="color:#00a878;">책의 중요한 부분에 형광펜을 긋듯 디자인하자.</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예시의 그래프에서도 보여줬지만, 중요한 수치는 한두 가지 색상만 활용해도 충분하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7.jpg" alt="제안서 디자인"></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pan style="color:#00a878;">덜 중요한 것도 몇 가지로 나눠서 칠하여 디자인하면 좋다.</span> 덜 중요한 대상 간의 구분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뭔가 허전한 느낌이 들어서 이런저런 색상을 칠해보는 실수도 줄어들게 된다.</p><p style="text-align:justify;"> </p><figure class="image image_resized" style="width:100%;"><img src="https://yozm.wishket.com/media/news/1395/image008.jpg" alt="디자인을 통한 제안서 업그레이드"></figure><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위에서도 언급했지만 이런 내용들을 아이디어 제안자 본인이 수정하는 건 쉽지 않다. 굉장히 디테일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이미지와 디자인에 대해 긴 시간 고민해야 가능한 내용이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기본적인 디자인 내용까지 전부 직접 한다고 생각하면 더 힘들어질 것이다. <strong>게다가 제안자는 아이디어에 매몰되어 있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strong> 아이디어에 집착하다 보면 본인 생각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h4 style="text-align:center;"><i><strong>“핵심은 디자인의 맥락”</strong></i></h4><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span style="color:#00a878;">이 글에서 설명한 내용의 전체 핵심은 '디자인의 맥락'을 생각하자는 것이다.</span></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디자이너가 아니기에 모든 디자인을 직접 할 수 없을지라도, 어떤 목적으로 디자인해야 하는지 방향을 알면 어떤 것이 제안서를 위한 좋은 디자인인지 구분 가능하다. <strong>내가 쓴 텍스트와 이미지가 서로 내용을 보강해 주는지</strong> 이걸 꾸준히 체크하면 제안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이다.</p><p style="text-align:justify;"> </p><p style="text-align:justify;"><참고한 책></p><p style="text-align:justify;">1. 카피책, 정철</p><p style="text-align:justify;">2. 산으로 가지 않는 정리법, 박신영</p><p style="text-align:justify;">3. 나만의 비주얼 아이디어 인포그래픽, 랜디 크</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