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IT
위시켓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최근 검색어가 없습니다.

마이데이터에 대해 잘 모를 때 가지는 오해가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 마이데이터 사업자라는 단어 때문에 마이데이터를 ‘사업’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물론 장기적으로 다양한 BM이 구동될 때는 그럴 수 있으나 현재의 마이데이터는 사업보다는 인프라 구축 측면이 훨씬 강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크래핑을 API로 바꾸면서, 각 사업자들의 정보가 신용 정보원을 허브로 하여 연결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회원가입을 하면 원하는 문장을
저장할 수 있어요!

다음

회원가입을 하면
성장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스크랩할 수 있어요!

확인

기획

마이데이터를 잡아라: ②금융권 마이데이터 사업 동향

년차,
어떤 스킬
,
어떤 직무
독자들이 봤을까요?
어떤 독자들이 봤는지 궁금하다면?
로그인
마이데이터
출처: unsplash

 

마이데이터에 대해 잘 모를 때 가지는 오해가 있다. 마이데이터 사업, 마이데이터 사업자라는 단어 때문에 마이데이터를 ‘사업’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물론 장기적으로 다양한 BM이 구동될 때는 그럴 수 있으나 현재의 마이데이터는 사업보다는 인프라 구축 측면이 훨씬 강하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크래핑을 API로 바꾸면서, 각 사업자들의 정보가 신용 정보원을 허브로 하여 연결되는 것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또한 여러 법규와 제재로 인하여 아직 신규 BM을 구현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기에, 대다수의 사업자들은 가장 기본이 되는 PFM(Personal Finance Management, 개인 자산관리) 구현부터 서두르고 있다. 

 

PFM
PFM은 한 화면에서 자신의 자산현황을 모두 보는 것을 말한다. 출처: 현대카드 PFM

 

PFM은 핀테크 기업들이 스크래핑 기반으로 오랫동안 제공하여 많은 고객을 확보한 바 있다. 따라서 핀테크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여유를 가지고 마이데이터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반면 금융권 사업자들은 마음이 급하다. 그동안 하지 않았던 새로운 업무를 고객에게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권 앱들은 각자의 역할에 충실해왔다. 은행 앱은 해당 은행과 관련된 정보를 보여주는 게 주목적이었고, 카드 앱은 카드 정보를, 보험 앱은 보험 정보를 보여주는 식이었다. 이러한 공식에 균열이 생긴 것은 오픈뱅킹부터이다. 오픈뱅킹 시행으로 A 은행 앱으로 B 은행의 계좌를 확인하고, 이체할 수 있게 되면서 은행 앱들은 계좌에 대해서는 PFM을 구현하게 되었다. 이로부터 약 1년 후, 마이데이터를 시작하면서 전면적인 경쟁에 들어선 것이다.

 

금융권의 조급함은 다름 아닌 마이데이터 마케팅에서 드러나고 있다. 마이데이터 가입 혜택으로 스타벅스 쿠폰 제공은 당연한 수준이 되었으며, 아이패드부터 현금까지 다양한 마케팅이 동원되고 있다. 잘 살펴보면 대부분 금융권이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초기 마케팅으로 가입자 선점이 중요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렇다면 금융권의 마이데이터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모든 금융사 마이데이터를 리뷰할 수 없으니, 필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특징적인 3개사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살펴보고자 한다.

 

 

눈여겨볼 만한 금융권 마이데이터 사업자

 

마이데이터 사업자
출처: 비씨카드 페이북

 

1) 비씨카드의 페이북

마이데이터 참여사들은 모두 대동소이한 자산관리 서비스를 보여주고 있다. 비슷비슷한 가입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이 부분은 법규와 기관의 지침으로 어쩔 수 없다.) 대부분 자산현황과 소비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자그마한 그릇(모바일 화면)에 동일한 요리 재료(마이데이터 연동 데이터)를 가지고 차별화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데 비씨카드의 페이북은 처음부터 차별화된 서비스를 보여주고 있다. 요리를 다채롭게 내기 전에 재료를 많이 확보한 것이다.

 

마이데이터는 600개에 가까운 기관과의 연동이 가능하며 기관은 지금도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신용 정보원의 표준규격에 맞추어 제시간 내에 API를 연동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일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많은 언론에서 지적했던 것처럼 12월 시범서비스 기간과 1월 정식 오픈 이후 연동 에러가 많이 나타났던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래서 몇몇 사업자는 업종별로 최소한의 연동을 구현하여 오픈하기도 했다. 반면 비씨카드의 페이북은 독보적인 연결 가능 기관수를 자랑하며, 현재 280여 개의 기관과 연동을 완료해 고객이 연결할 수 있도록 했다.

 

마이데이터 거래내역
페이북 내에서는 본인이 소유한 지역화폐 잔액과 거래내역의 확인이 가능하다.

 

글로만 읽어서는 이 차이를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니 피부에 와닿는 예시를 살펴보자. 코로나 이후로 국내에서 급성장한 결제방식 중에 지역화폐가 있다. 지역별로 상이하나 3~5년 차가 되면서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 경험을 가지고 있다. 필자가 거주하는 경기도의 경우, 매우 활성화되어 일부 지역에서는 이제는 월별 지원금액을 개인별로 제한할 정도이다. 

 

지역화폐가 당당히 소비의 한 축이 되었고 개인별로 수십에서 수백만 원까지 충전해 사용하고 있기에 자산관리 대상에 당연히 들어가야 한다. 그러나 필자가 아는 한 지역화폐 현황을 마이데이터 연동으로 보여주는 것은 페이북뿐이다.  

 

페이북 알뜰폰 업체
페이북에서 본인이 가입한 알뜰폰 업체를 선택하여 조회할 수 있다.

 

많은 사업자들이 통신사와 연계를 지원하지만 대부분 메이저 통신 3사만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반해 페이북은 알뜰폰 대부분을 지원하여, 요금 청구 내역과 납부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비슷비슷한 자산관리 서비스들의 경쟁이기에 페이북은 강력한 차별점을 확보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 KB금융그룹

KB금융그룹
출처: KB금융그룹

 

KB는 은행, 증권, 보험, 카드 등 14개의 금융 계열사를 보유한 거대 금융그룹이다. 필자는 KB증권과 KB카드를 잘 쓰고 있던 터라 마이데이터 사업을 KB 그룹 전체에서 어떻게 추진할지 궁금했다. 계열사가 많은 것은 물론 각 계열사마다 적지 않은 고객이 있는 터라 앱 전략을 어떻게 가져갈지 주목했던 것이다. 

 

KB 그룹은 계열사별로 각개전투를 선택한 모양새다. 일단 KB스타뱅킹(은행)이 마이데이터를 서비스 중이다. 2021년 하반기 기준 스타뱅킹 앱 가입자는 1,762만 명에 달한다. KB스타뱅킹 앱을 시작하면 하단 가운데의 ‘마이데이터 자산관리’ 메뉴가 눈에 띈다. 

 

KB스타뱅킹 마이데이터
KB스타뱅킹 첫 화면. 하단 중앙의 마이데이터 메뉴가 눈에 보인다.

 

여러 마이데이터 앱을 비교해 보면 재미있는 걸 알 수 있는데, 바로 직접적으로 ‘마이데이터’라는 단어를 메뉴에 넣는지 보는 것이다. 지난 1편에 이어 필자의 글을 읽는 독자분들에게 갑자기 ‘마이데이터’에 대해 설명해 보라고 하면 얼마나 잘 말할 수 있을까. IT에 어느 정도 식견이 있는 독자들도 이러한데 일반 유저들에게 마이데이터란 여전히 어려운 개념일 것이다. 그래서 많은 앱들이 ‘자산’이라는 단어를 활용하고 있다. (물론 자산도 쉬운 말은 아니다.) 그런데 KB스타뱅킹은 이를 과감히 마이데이터라고 표현했다. 폰트까지 줄여가면서 맞춰 넣은 것이 눈에 띈다.

 

그러나 조금만 살펴보면 이상한 점이 있는데, 바로 옆 메뉴의 ‘주식/카드/보험/자동차’ 메뉴 때문이다. 이들은 모두 마이데이터를 통해 수합할 수 있는 항목이다. 본인의 계좌, 카드 사용내역과 투자(주식) 현황, 보험 현황, 자동차 시세 등을 같이 보여주는 것이 마이데이터인데 옆에 해당 항목이 또 있는 것이다.

 

금융권 마이데이터 현황을 소개하면서 KB스타뱅킹을 다룬 이유 중 하나가 이 때문이다. 앞서 말한 것처럼 KB그룹은 국내 최정상급의 금융그룹이다. 거의 모든 금융 사업을 다 하고 있다 보니, 자사 상품만으로도 고객의 전 생애 주기 Full-line up 이 가능하다. (이게 가능한 금융그룹이 생각보다 많지 않다.) 

 

이렇다 보니 KB 입장에서는 앱 안에서 자사 상품을 앞장 세우면서 마이데이터도 들어오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그 결과 하단의 메뉴는 전체 계좌(KB은행 관련), 금융상품(KB그룹 금융상품), 마이데이터 자산관리(PFM 기반의 정보제공), 주식, 카드, 보험, 자동차(KB그룹 상품)의 구조가 되었다. 마이데이터를 앱 안에서 다루고는 있지만, 본질적으로 자사 상품 위주로 보여주려는 의도가 보인다. 고민의 흔적이 보여 이해는 가지만, 이로 인해 고객 불편을 야기하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KB스타뱅킹 SSO
KB스타뱅킹은 증권 등 자회사의 서비스를 SSO(Single Sign On)로 연결하여 앱 안에서 보여준다.

 

한편 KB는 스타뱅킹 외에도 복수의 계열사 앱들에서 동시에 마이데이터를 서비스하고 있다. KB증권 M-able, KB증권 마블링, 리브메이트는 이미 출시된 상황이며, KB캐피털, KB손해보험은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핀테크의 거센 공습 이후로 금융권에도 한때 One App · Super App(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만 있으면 별도로 다른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 바람이 불었다. 생각해 보면 One App을 위해서는 마이데이터 App도 그룹에서 하나를 밀어야 바람직해 보인다. 그러나 KB는 스타뱅킹을 Super App으로 하면서도 마이데이터는 개별 앱에 동시 적용이라는 특이한 전략을 보이고 있다. 이것이 KB를 다룬 두 번째 이유이다.

 

KB그룹 마이데이터
KB그룹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들. 왼쪽부터 스타뱅킹, M-able, 마블링, 리브메이트

 

KB는 마이데이터를 각 앱의 보조적 기능으로 정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마이데이터가 어떤 BM이 허용될지 아직 모르나, 현재는 PFM으로 강제되고 있는 만큼 이는 꽤 영리한 전략이다. 

 

3) 웰컴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왼), 저축은행 모바일 통합 앱 SB 톡톡 플러스(오)

 

저축은행은 대형은행들에 비해 규모나 인지도 측면에서 비교가 되지 않았으나, 모바일에서는 상황이 조금 다르다. SBI 저축은행이나 페퍼 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등은 비대면 환경을 적극적으로 준비하여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저축은행은 중앙회에서 모바일앱을 동시에 서비스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개별 브랜드의 자체 모바일 앱을 론칭하고, 고금리의 자유입출금 계좌를 제공하여 MZ 세대에게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다.

 

웰컴저축은행 마이데이터
웰컴저축은행 앱의 기본 구성(좌), 마이데이터 메뉴 진입 시 모습(우). 화면 캡처 불가로 외부 사진촬영.

 

웰컴저축은행(이하 웰컴)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저축은행 최초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저축은행이라는 특이점도 있지만 필자는 다른 두 가지 특징에 주목했다. 하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 메뉴의 배치이고, 또 하나는 PFM 메뉴 중 부채관리를 주목한 점이다.

 

웰컴은 다른 마이데이터 사업자들과 달리 기존 앱 메뉴 구조를 건드리지 않았다. 대신 아예 새로운 메뉴 구조를 부르는 방식을 택했다. 1개 앱이지만 마치 2개의 앱이 공존하는 형태이다. 이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충분히 새롭게 설계할 수 있게 해주지만, 기존 앱 사용 고객을 마이데이터 서비스까지 유입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양날의 검이기도 하다. 그런 면에서 웰컴은 당장 마이데이터 서비스 유입이 급하지 않다는 듯한 모습이다. 

 

또한 마이데이터 서비스 중 신용관리와 부채관리를 전면에 내세운 점도 눈에 띈다. 저축은행 고객의 특성상 중금리 대출에 관심이 많다는 점을 노린 것으로 보인다. 기 보유한 대출의 평균 금리와 이자를 계산하여 나와 유사한 그룹과 비교해 주는 부분이 특히 유용했다.


각 금융사별로 각자의 전략을 추구하고 있기에 한정된 지면에서 모두 다룰 수 없는 점이 아쉽다. 그래서 이번 편에서는 평범한 마이데이터 전략을 수행 중인 사업자보다는 특이한 전략과 차별점을 보이는 사업자를 우선으로 소개했다. 다음 편에서는 금융권에 대항하는 핀테크 진영의 플레이어들을 소개해 보고자 한다.

 

요즘IT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좋아요

댓글

공유

공유

댓글 0
대형 카드사 핀테크 컬럼니스트
35
명 알림 받는 중

작가 홈

대형 카드사 핀테크 컬럼니스트
35
명 알림 받는 중
통신사와 카드사에서 17년째 핀테크를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카드사에서 금융전략을 담당하고 있으며 토스카드, 인터넷전문은행 카드계구축, 정부재난지원금의 PO을 했습니다. 브런치(https://brunch.co.kr/@jinsekil)에 핀테크와 직장생활에 대한 글을 씁니다. '왜 지금 핀테크인가', '더이상무리하지않겠습니다'라는 책과 몇 편의 핀테크 논문을 냈습니다. fintechmaker@gmail.com

좋아요

댓글

스크랩

공유

공유

지금 회원가입하고,
요즘IT가 PICK한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회원가입하기
요즘IT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요즘IT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요즘IT의 멤버가 되어주세요!
모든 콘텐츠를 편하게 보고 스크랩해요.
모든 콘텐츠를 편하게 보고 스크랩 하기
매주 PICK한 콘텐츠를 뉴스레터로 받아요.
매주 PICK한 콘텐츠를 뉴스레터로 받기
로그인하고 무료로 사용하기